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의료상담
학문
사랑니 뽑을려고 하는데 동네 치과에서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꼭 대학병원에 가셔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병원마다 차이는 있지만 사랑니 발치를 많이 하는 동네치과에도 매우 많습니다.사랑니 발치는 보험진료항목이며 치아의 매복정도, 지혈제의 필요여부 등 몇가지 요소를 고려하여 진료비가 책정됩니다.대학병원의 경우 상급의료기관 수가가 적용되기때문에 일반 동네치과의원에 비해 진료비가 더 나오게 됩니다.도움되셨길 바랍니다.
의료상담 /
이비인후과
21.03.17
0
0
이 교정을 할때 이를 몆개 뽑아야되는가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발치 교정을 해야할지 비발치 교정을 해야할지 그리고 발치를 하게되면 어떤 치아를 뽑게되는지는 사전 진단검사 과정에서 결정됩니다.교정을 위한 진단검사에는 측방두부규격방사선사진을 찍고 이를 바탕으로 환자분의 윗턱과 아래턱이 얼마나 돌출되어있는지 여부를 계측하여 발치 여부를 판단하게됩니다.만약 측방두부규격방사선사진상에서 평균적인 대한민국 남녀에 비해 질문자님의 상태가 돌출로 판단될 경우 소구치를 발치하여 발치된 공간으로 앞니를 후방으로 당겨서 입이 들어가게끔 교정치료를 계획하게되며, 만약 돌출되지 않았다고 판단될 경우 비발치 교정만으로 치료가 가능한 것입니다.도움되셨길 바랍니다.
의료상담 /
성형외과
21.03.17
0
0
항생제와 소염제는 어떤 차이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항생제는 세균이나 진균을 죽이는 약제입니다. 즉 직접적으로 유해한 미생물을 공격하여 증식하지 못하도록 만드는 약물입니다. 일반적으로 정균성 항생제와 살균성 항생제로 나뉘는데, 정균성의 경우는 세균의 숫자가 늘지 못하도록 막는 기전이며 살균성을 세균 자체를 죽여서 숫자를 줄이는 기전을 갖는 약제입니다. 각각의 적응증이 따로 있기때문에 적시적소에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한편, 소염제는 일반적으로 진통소염제라고 합니다. 말그대로 통증을 줄여줌과 동시에 염증반응을 감소시키는 소염효과를 갖는 약물입니다. 따라서 진통소염제를 복용한다고하여 미생물을 죽이는 것은 불가능합니다.보통 감염으로 통증이 생긴 환자분께 항생제와 진통소염제를 함께 처방하는 이유는 항생제를 이용하여 감염의 원인인 미생물을 제거함과 동시에 감염으로 인한 통증을 감소시키 체내 염증반응을 조절하기 위해 진통소염제를 처방하는 것입니다.도움되셨길 바랍니다 ㅎㅎ
의료상담 /
이비인후과
21.03.17
0
0
어금니 한개 교정하는데 비용이 얼마인가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경우에 따라서는 어금니 하나만 부분적으로 교정치료할 수 있습니다.그러나 비용은 병원마다 상이합니다. 이는 교정치료가 비보험진료이기때문에 병원에서 치료비를 정해서 받을 수 있기때문입니다.진료비도 중요하지만 치료가 잘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먼저 어느 정도의 치료기간이 예상되는지 가까운 치과의원에 내원하셔서 상담을 받아보실것을 추천드립니다.
의료상담 /
성형외과
21.03.17
0
0
골다공증약 복용시 임플란트 부작용..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비스포스포네이트(bisphosphonate)계열의 약물 또는 암치료를 위해 처방되는 혈관형성억제제를 경구복용 혹은 주사제로 맞으셨던분들에서 드물게 악골괴사가 보고되고 있습니다. 이를 MRONJ(Medication related osteonecrosis of jaw, 약물과 연관된 악골괴사)라고 부릅니다. 따라서 치과에서 임플란트나 발치를 하기 전에 환자분들께서 해당 위험성이 있는 약물을 복용했는지 병력조사를 하게됩니다.그러나 일반적으로 MRONJ의 발생확률은 매우 낮은편(1% 미만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에 속하기 때문에 크게 걱정하실 필요는 없으며, 과거에 골다공증약을 복용하셨더라도 일정기간 약을 중단(drug holiday)하시고 임플란트 치료를 받으시면 문제없이 치료받으실수있습니다.도움되셨길바랍니다.
의료상담 /
정형외과
21.03.17
0
0
하루 한끼식사하는거 건강상에 문제되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하루한끼만 식사하실 경우 건강을 헤칠 가능성이 높습니다. 체중 조절을 위해서 식단을 조절하시더라고 3끼로 나눠서 조금씩 드시길 추천드립니다. 또한 탄수화물을 과도하게 줄이시는 것보다는 영양소 배분을 고려하여 골고루 드시되 식사의 양을 줄이시는 것이 꾸준한 다이어트 지속에 유리할 것입니다. 급격한 식사량 감소는 건강도 헤칠뿐아니라 스트레스가 상당하기때문에 다이어트를 지속하기 힘들게 만들고 결국 폭식을 유발하여 더욱 심각한 상황을 초래하게 되는 원인입니다.도움되셨길 바랍니다 ^^
의료상담 /
기타 의료상담
21.03.17
0
0
아이가 영구치가 2개 없다고 하는데 꼭 교정을 해 주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영구치가 결손된 경우는 해당 결손치아의 빈공간으로 인해 치열이 고르게 형성되지 못할 가능성이 높습니다.따라서 향후 교정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교정시기에 관해서는 어떤 치아가 결손되었는지, 그리고 환아의 나이와 성장상태가 어떤지에 따라 세부적인 치료계획이 결정되기때문에 현재로서는 답변이 어렵습니다.가까운 시일내에 치과에 내원하셔서 상담을 받아보시고 결정하실 것을 추천드립니다.도움되셨길 바랍니다.
의료상담 /
성형외과
21.03.17
0
0
안아픈 사랑니를 꼭 뽑아야할까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올바르게 자라서 위아래 사랑니가 서로 맞물리며 양치질로 관리가 잘되고 있는 사랑니는 굳이 발치하지 않으셔도 됩니다.그러나 현대인의 경우 일반적으로 턱뼈의 사이즈가 과거 인류에 비해 작아졌고 그에 반해 치아의 사이즈는 비슷하기때문에 상대적으로 늦게 나오는 사랑니가 나올 공간이 적어서 제대로 나오지 못하고 누워서 나오거나 아예 매복된 채 나오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따라서 부분적으로 나온 사랑니의 구강위생관리가 제때 이루어지지 못할 경우 치관주위염이나 치주염에 이환되어 구강건강을 헤치는 경우가 많기때문에 일반적으로 사랑니를 예방적 발치하게 됩니다.즉, 반드시 빼야하는 것은 아니지만 관리가 어렵기 때문에 기능적으로 온전한 소수의 경우는 제외하고는 발치를 권해드립니다.도움되셨길 바랍니다.
의료상담 /
성형외과
21.03.17
0
0
칫솔을 몇주에 한번씩 바꿔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칫솔 교체 주기에 관해서는 여러 선생님들간 이견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한가지 공통된 의견은 칫솔모가 휘어지면 양치질의 효과가 감소한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일반적인 양치질 습관으로 평균적인 칫솔을 사용시 3개월 주기로 교체하시는 것을 추천드리고 있으나 개인의 차이를 감안하여 칫솔모가 3개월 이전에 휘어지는 것이 관찰된다면 교체하는 것을 권해드리고 있습니다.3주에 한번은 너무 빠른 교체 주기인 것 같습니다 :-) 양치질 습관을 점검해보시고 바르지 않은 양치질 습관으로 칫솔모의 변형이 가속화되고 있는것은 아닌지 확인해보시면 도움될것같습니다.
의료상담 /
기타 의료상담
21.03.17
0
0
혀에 하얀색 덩어리가 졌는데 이게 악성조직일까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현재 육안상 병소의 경계가 뚜렷하고 갑작스럽게 크기의 증가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점 등을 볼때 악성병소의 가능성은 낮다고 판단됩니다. 그러나 만약이라도 혀나 구강저에 악성병소가 발생할 경우 예후가 매우 안좋다는 보고가 많기때문에 대학병원 치과에 내원하셔서 검사를 받아보실 것을 추천드리고 싶습니다.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될것같습니다 :-)
의료상담 /
피부과
21.03.17
0
0
838
839
840
841
842
843
844
845
8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