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의료상담
무릎통증 원인이 궁금합니다. 치료를 받아도 통증지속돼요.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엑스레이상 이상이 없는데 무릎 통증이 1개월 이상 지속되고 있고 초음파 상으로는 활막에 물이 차면서 염증일 가능성이 있는 상태이고 체외충격파 및 PDRN, 스테로이드 주사를 맞아도 크게 효과가 없었다면 여러가지 문제를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MRI에서는 큰 이상이 안보이지만 스랙고로가 허벅지 뼈 사이의 마찰 때문에 통증 및 문제가 발생했을 수도 있고 또는 미세한 연골의 손상이나 활액막 자극으로 인해서 문제가 발생했을 수도 있으며 혹은 근육의 불균형으로 인해서 무릎에 하중이 쏠리면서 문제가 발생했을 수도 있습니다.추가적으로 재활 및 운동치료를 받아보시면 좋을 것으로 생각되며 무릎에 부하가 가해질만한 동작들을 피해보시면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의료상담 /
정형외과
25.10.02
0
0
왼발 뒤끔치 수술하고 왼발목에서 소리가 나요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발 뒤꿈치쪽 수술을 하셨고 이후에 발목에서 소리가 나는 증상은 생각보다 흔하게 발생하는 증상 중에 하나로 발목 수술 후 구조가 조금 변하거나 부종 흉터조직 때문에 그럴 수도 있고 또는 손가락 관절을 뽑을 때 똑 소리가 나는 것 처럼 발목 관절액에 기포가 생기면서 나느 소리일 수도 있습니다. 또는 수술 당시나 회복과정에서 연골 손상이 있엇을 가능성도 있으며 뒤꿈치 수술에서 금속을 사용했다면 발목 움직임에 따라 이물감이나 소리가 날 수도 있습니다.통증 및 붓기가 없이 소리만 있다면 큰 문제는 아닐 것으로 생각되며 시간이 지나면서 조직이 유연해지면 소리가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고 재활 과정에서 관절 인대에 무리가 가고 있을 수도 있으니 만약 통증 및 붓기 불안정성이 동반된다면 가까운 병원에 방문하시어 상태 검사 받아보시고 상태에 맞는 치료 및 처치등을 받아보시는게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의료상담 /
정형외과
25.10.02
0
0
몇 개월째 한 쪽 다리가 저린데 원인이 뭘까요?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몇 개월째 한쪽 다리가 저리다면 여러가지 문제를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허리 디스크 문제로 인해서 다리 신경이 눌리면 엉덩이 허벅지 종아리 발까지 저리고 찌릿한 느낌이 들 수 있고 또는 척추관 협착증으로 인해서 오래 서거나 걸으면 저림 및 통증이 발생했을 가능성도 존재합니다.또는 말초 신경의 문제로 인해서 다리 신경 자체가 눌리거나 손상이 되었을 수도 있고 혈관의 문제로 인해서 붓기 및 찌릿함 냉감 및 피부색의 변화가 발생했을 수도 있습니다.정확한 상태를 알 수 없기 때문에 가까운 병원에 방문하시어 상태 검사 받아보시고 상태에 맞는 치료 및 처치등을 받아보시는게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의료상담 /
정형외과
25.10.02
0
0
목디스크에 어떤 운동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목 디스크일 경우 무리한 운동은 오히려 통증을 악화시킬 수 있기에 가벼운 스트레칭 및 운동을 해보시는게 좋으며 의자에 앉아 등을 곧게 세워 목 옆 근육을 이완해보시면 좋으며 턱 당기기등을 통해 목뼈의 정렬 교정 및 디스크의 압력을 줄여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또한 가벼운 어깨 돌리기 및 가슴을 열어 스트레칭등을 해보시면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의료상담 /
재활·물리치료
25.10.02
0
0
보통 손가락 골절이 되는 경우 증상이 6개월 이상 오래가나요?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손가락 골절 후 증상이 6개월 이상 지속되는 경우는 드물지만 상태에 따라서 가능성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며 보통 골절같은 경우 6~8주정도면 뼈가 붙고 재활을 거쳐 2~3개월 정도면 정상 기능회복이 가능하지만 관절을 침범한 골절이나 유합 지연 및 불유합 인대 및 힘줄의 손상이 동반되거나 재활이 부족하거나 한 경우에는 이보다 시간이 더 걸릴 수 있고 개인마다 회복 능력에 차이가 있다보니 회복되는 기간 또한 조금씩 차이가 있을 수는 있습니다.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의료상담 /
정형외과
25.10.02
0
0
스트레칭은 어떤식으로 하는게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스트레칭은 근육의 긴장을 풀고 혈액순환을 개선하며 부상 예방에도 효과적일 수 있는 운동으로 전신 스트레칭을 해주시면 좋은데 의자에 앉아 등을 곧게 펴고 어깨를 내린상태에서 오른손으로 머리 왼쪽을 잡고 고개를 옆으로 늘려주는 스트레칭 및 가볍게 어깨를 돌려주는 스트레칭 그리고 양발을 어깨 너비로 벌리고 서서 오른손을 허리에 두고 왼팔을 머리 위로 올려 상체를 오른쪽으로 기울여 옆구리를 늘려주는 스트레칭 및 종아리 허벅지뒤 쪽 근육에 대한 스트레칭등을 해보시면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의료상담 /
재활·물리치료
25.10.02
0
0
걷기운동을 하면 치매에 도움이 되지 않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걷기 같은 유산소 운동은 치매 예방과 진행 억제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걷기는 심장이 활발히 뛰면서 뇌로 가는 혈액 산소 공급을 증가시키고 뇌세포 대사가 좋아지고 노폐물 제거도 원활해질 수 있습니다. 또한 규칙적인 유산소운동은 뇌에 단백질 분비를 늘려주어 신경세포를 보호하고 새로운 연결 시냅스를 만들어 기억력 유지에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또한 혈관성 치매 예방에도 도움이 될 수 있고 뇌혈관 건강이 좋아져서 뇌졸중성 치매 위험도 낮아질 수 있습니다.주 3~5회 정도 30분이상 약간 숨이 찰 정도로 걸어보시면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의료상담 /
재활·물리치료
25.10.02
0
0
노화가 되면 왜 근육이 뻣뻣해지고 굳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30대 이후부터는 매 10년 마다 근육량이 줄고 근육섬유가 가늘어집니다. 또한 속근이 먼저 줄어들어 유연성 및 반응성이 떨어지게 되고 근육을 감싸고 있는 콜라겐 및 탄력섬유가 나이들수록 딱딱해질 수 있습니다. 그래서 쭉쭉늘어나는 고무줄에서 딱딱해진 고무줄로 변할 수 있으며 관절을 매끄럽게 움직이게 하는 연골 활액이 감소하여 움직임이 둔하고 뻣뻣해질 수 있습니다.또한 근육에 공급되는 혈류가 줄어들면 산소 영양 공급이 부족해지고 회복속도가 늦어질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의료상담 /
재활·물리치료
25.10.02
0
0
목근육을 간단하게 풀어주는 방법으 뭐가 있을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집에서 가볍게 할 수 있는 목 스트레칭으로는 의자에 앉거나 바로 서서 어꺠를 내리고 턱을 살짝 당긴 상태에서 오른손으로 머리를 왼쪽으로 잡고 오른쪽을 살짝 당겨 늘려주는 흉쇄유돌근 및 사각근의 스트레칭 및 벽에 등을 붙이고 턱을 살짝 당겨 앞쪽 목에대한 스트레칭 및 가볍게 어깨를 돌려 목을 이완시켜보시면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의료상담 /
재활·물리치료
25.10.02
0
0
오래 앉아 있으면 허리가 아픈데요 이유가 뭘까요?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좋은 의자여도 오래 앉아 있으면 허리가 아플 수 있으며 자세 유지로 인한 근육 피로 때문일 가능성이 높습니다.특히 허리 주변의 작은 근육들이 긴장 상태로 오래 버티다 보니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장시간 같은 자세를 오래 유지하면 허리디스크 및 근육 인대에 지속적인 압박이 가해질수 있고 코어 근육이 약하면 척추를 잡아주는 근육이 약해지면서 쉽게 피로해질 수 있습니다.평소 앉은 자세의 교정 및 30~40분 마다 한번씩 자리에서 일어나 몸을 움직여 주시면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또한 허리 및 척추의 중립을 잡아주는 코어근육의 강화운동등을 해보시면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의료상담 /
재활·물리치료
25.10.02
0
0
10
11
12
13
14
15
16
17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