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국민연금을 빨리 납부하고 싶은데 몇살부터 낼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자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만18세 이상 60세 미만소득이 있는 국민이라면 의무가입대상입니다. 최소가입기간 120개월(10년)을 채우고, 수급연령이 되면 노령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제 짧은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경제 /
예금·적금
22.12.04
0
0
앞으로 세계경제 국내경제는 어떻게 될까요?
안녕하세요. 김자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너무 거시적인 질문이어서, 짧은 답변에 다 담아내기는 무리가 있음을 먼저 말씀드립니다. 또한 제 주관적인 소견을 정리하여 전달드리자면, 역사적인 사이클로 판단할 때, 현재는 너무나도 어려운 세계 경제는 2년 내로 어려움에서 벗어날 가능성이 큽니다. 내년 초 인플레이션 기조가 잡힌다면 -> 23년 하반기부터 금리를 서서히 하락(코스피 지수 회복 시작) -> 24년 중순에는 금리가 다소 안정화 (코스피 지수 회복 기조 뚜렷)제 짧은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경제 /
경제동향
22.12.04
0
0
일회용컵 보증금제 시행 전국 확산은 언제쯤 될런지요?
안녕하세요. 김자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당장은 전국 단위의 "시범 시행"으로 보는 것이 합리적인 상황입니다. (애초에도 6월 전국 시행 예정이었으나 업계 반발로 6개월 유예된 시행입니다.) 또한 제주 등에서는 제도를 보이콧 하는 업체도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정리하자면 전국 확산 계획은 있으나, 실시 후 제도의 정합성을 판단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예상됩니다. 제 짧은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04
0
0
ICO가 국내에서는 불법이라는데요?
안녕하세요. 김자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코인 ICO는 현재 우리나라에서 금지되어 있지만, 다툼의 여지가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최근 10월 4일의 헌재 판결에 따르면, 행정상의 안내, 권고, 정보제공행위는...직접 작위, 부작위 등의 의무를 부과하는 어떤 법적 구속력도 없다는 해석을 내놓았습니다. 따라서, ICO 금지 방침이 법적 구속력이 없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다만, 현재 자본시장법은 가상자산을 포함한 암호화폐 등을 자본시장법 상의 증권에 해당하여 보고 있지 않으므로, 현행 법률상 ICO는 불가능한 실정이지만, 헌재 결정으로 더 다툼의 여지가 커졌습니다. 해외에서 코인을 발행한 후, 국내 거래소에 상장하는 우회상장의 경우, 현재 명시적으로 막을 수 있는 방법은 없는 실정입니다. 다시말해 싱가포르 등 ICO가 가능한 국가에 회사를 설립하여, ICO를 하고 우회상장하는 진행하는 것은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기는 하여, 국내 ICO 규제의 실효성 논쟁이 일기도 합니다. 제 짧은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04
0
0
화폐 개혁을 하는 날이 올까요?
안녕하세요. 김자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당장 화쳬개혁을 진행하기에는 무리가 있니다. 어려운 경기 침체 시기가 지나고, 경기가 살아나고, 분위기가 좋아지면 그때 논의가 될 수는 있을 것 같습니다.다만, 화폐 개혁은 전 국민의 컨센서스가 필수적이고, 공동의 필요성 공감이 이루어져야 가능한 만큼,당분간 화폐개혁을 드라이브하기 위한 동력은 적다고 예상됩니다.제 짧은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경제 /
경제동향
22.12.01
0
0
암호화페가 다 사라진다는 말이 있는데 사실인지요?
안녕하세요. 김자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모든 암호화폐가 사라지지는 않을 것으로 사료됩니다.다만 특정 암호화폐의 기술적 결함이 있다거나, 여러 가지 사유로 시장 주체의 기대가 없는 암호화폐는 사라지게 될 것입니다. 제 짧은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01
0
0
블럭체인의 향후 전망은 어떨까요?
안녕하세요. 김자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코인 시장은 3개월 간 드라마틱한 회복은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1년의 텀으로 봤을 때에도 코인 시장 가치의 신뢰도를 회복하지 않는 한 코인가치의 회복은 쉽지 않을 수 있습니다. 2년의 텀으로 봤을 때는, 시중에 돈이 많이 풀리거나 or 코인시장에 투자(혹은 투기) 수요가 몰리면 코인의 가격은 급하게 상승할 수 있습니다. 제 짧은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01
0
0
금리가 오르면 우리나라 현금많은 대기업도 문제가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자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보통 어려운 시기에 현금 유보가 많은 대기업의 경우, 회사가 튼실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현금성 자산을 늘리는 이유는 확실한 투자처를 찾지 못했거나, 혹은 회사 재무구조의 안정성을 공고화하기 위함이 ㄹ수 있습니다. 제 짧은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경제 /
대출
22.12.01
0
0
어제 파월 연설에 대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자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1. 주식 시장에 호재로 작용할 수 있는 발언입니다. 물론 당장 미국 시장에는 호재이고, 우리나라까지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실제 금리가 인상하지 않는다는 명확한 사인이 있거나, 금리 하락이 가시화되면 주식 시장에 더 확실한 호재입니다. 2. 코인 시장에도 호재로 작용할 수는 있으나, 코인 투자 자체에 대한 신뢰도가 이전보다는 떨어진 지금, 즉각적인 호재라고 보기는 무리가 있을 것 같습니다. 제 짧은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01
0
0
자동차 금리 지금 시기에 차사는게 맞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자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금리가 전반적으로 높아서 당장 무리한 자동차 구매는 지양하는 것이 더 안전할 수 있습니다. 자동차 최초 계약 시점이 아닌, 지금의 시점에서 차량 유지가 합리적인지 냉정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제 짧은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경제 /
대출
22.12.01
0
0
10
11
12
13
14
15
16
17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