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스테이플러' 를 고안, 발명한 사람은 누구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종이 여러장에 철심을 박아 묶어주는 도구로 지금 쓰는 현대적인 형태의 스테이플러는 1930년대에 미국의 스윙라인(Swingline)이라는 회사에서 개발했으며,한자어로는 지철기(紙綴器)라고 한다. 국립국어원에서는 (종이)찍개로 순화할 것을 권하고 있다.
학문 /
문학
23.02.09
0
0
이안 감독의 대표작이 어떤게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리안은 타이완의 영화 감독이자 영화 프로듀서, 각본가이다. 《브로크백 마운틴》과 《라이프 오브 파이》로 아카데미 감독상을 2회 수상하였다. 또 《와호장룡》으로 아카데미 외국어 영화상도 수상하였다.-출처: 위키백과
학문 /
미술
23.02.09
0
0
개원의 치를 훌륭한 통치의 예로 보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당 현종은 사찰과 승려의 수를 줄이고, 권력가들을 제압하는 한편, 조정을 정비하여 상벌을 엄정히 나누어 주어서 중종 이현 이후 혼란스러웠던 정치 상황을 안정시켰음에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2.09
0
0
제주도는 왜 삼다도라는 명칭이 붙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옛날부터 제주도는 '삼다도(三多島)'라고 불렸습니다. 세가지가 특히 유명하다는 뜻에서였죠. '석다(石多): 돌이 많고, 풍다(風多): 바람이 많고, 여다(女多): 여자가 많다.' 이렇게 세가지가 많기로 유명했던 제주도는 '삼무(三無)'라고 해서 예로부터 세가지가 없기로도 유명했다 합니다. 도둑, 거지, 그리고 대문, 이 세가지가 없다는 뜻이라고 하네요.
학문 /
역사
23.02.09
0
0
조선시대 경신환국은 어떠한 사건 이였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1680년(숙종 6) 3월 시작된 경신환국(庚申換局)은 당시 집권당이었던 남인(南人)이 서인(西人)에게 축출당한 정치적 사건을 말하며, 경신대출척이라고도 한다. 환국이란 갑작스럽게 정국이 바뀐다는 뜻으로, 역사적 용어로는 숙종 대에 일어난 경신환국, 기사환국(己巳換局), 갑술환국(甲戌換局)을 지칭한다. -출처: 우리역사넷
학문 /
역사
23.02.09
0
0
결혼할때 반지를 서로 맞추는 문화의 역사는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의 전통적인 혼례예물로 사용되는 가락지는 원래 장식물보다는 신분 확인을 위한 신표의 의미로 사용됐으며, 남녀의 애정에 대한 정표로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조선 후기에 이르러서였다. 혼례예물로서의 가락지는 어머니가 딸이나 며느리에게 전해주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며, 남녀 간의 애정을 나타내기보다는 부의 대물림 혹은 선물로서의 상징이 더 크다고 할 수 있다.
학문 /
역사
23.02.09
0
0
책 속에 나온 꽃, 시클라멘의 꽃말과 전설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시클라멘’은 1월 14일의 탄생화로 ‘내성적 성격'이라는 꽃말을 갖고 있다.꽃말의 의미는 “당신은 따뜻한 마음의 소유자이지만, 때때로 합리성을 잃고 시기심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일이 있습니다.”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학문 /
미술
23.02.09
0
0
착호갑사는 언제 만들어진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착호갑사는 말 그대로 호랑이를 잡는 사냥부대였다. 기록상으로 착호갑사가 가장 먼저 등장한 것은 태종 16년(1416) 10월이었다.
학문 /
역사
23.02.09
0
0
왜 서양사람들은 비가 와도 우산을 안 쓰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서양에서는 비가 올 때 우산을 쓰고 다니는 사람들을 샌님처럼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 물론 폭우가 내리면 이들도 우산을 쓰지만 보슬비가 내리는 데 우산을 쓰는 사람은 유난을 떤더거나 촌스럽다고 생각한다는 것이다.
학문 /
음악
23.02.09
0
0
왜 프랑스는 바게트가 유명한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프랑스혁명이 시작되고 1793년, 국민공회는 모두가 평등해진 프랑스에서 빈부의 구분은 없어져야 하며 빵의 평등을 실현하고자 오직 한 종류의 빵만을 만들어 팔도록 선언하기에 이른다. 이때를 시작으로 바게트는 똑같은 규격으로 정해져 구워 먹은 것이 지금의 바게트가 되었다.
학문 /
미술
23.02.09
0
0
838
839
840
841
842
843
844
845
8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