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교황은 어떻게 생기게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교황(敎皇)은 로마의 주교이자 가톨릭 전체의 영적 지도자이며 바티칸 시국의 국가원수이다.이는 천주교 전승에서 예수 그리스도로부터 교회의 첫 수장으로 임명되어 천국의 열쇠를 부여받았다는 성 베드로의 정통 후계자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전 세계 14억 신자들이 있는 로마 가톨릭교회의 수장인 교황은 세계적으로 정치적, 외교적으로 매우 큰 영향을 끼친다.--자료출처: 위키백과
학문 /
역사
23.01.30
0
0
MZ세대에서 말하는 MZ는 뭔 말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MZ세대는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를 통틀어 지칭하는 대한민국의신조어이다. 서방세계의 세대 구분. 밀레니얼 세대는 X세대와 Z세대 사이의 인구통계학적 집단이다.-출처: 위키백과
학문 /
역사
23.01.30
0
0
우파 좌파라는 말이 생긴 이유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좌파와 우파 개념은 절대적이지 않으며 상대적인 것이다. 또, 기득권과 기존 질서의 옹호를 주장하느냐 변화를 주장하느냐로 우파 좌파를 가르는 것은 비교정치학이나 사회학에서 좋지 않은 개념이기 때문에 이를 기준으로 나눌 때는 진보파나 보수파로 부른다. 따라서 좌파, 우파를 가르는 기준으로는 진보-보수라는 구도를 삼는 건 무리가 있다. 한마디로 진보와 좌파를 동일선에 놓을 수 없고 마찬가지로 보수와 우파를 동일선에 놓을 수 없다.--자료출처: 나무위키
학문 /
철학
23.01.30
0
0
마도산 전투는 어떠한 전투 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733년 발해가 마도산(馬都山)에서 당나라 군과 싸운 전투. 역사적 배경.발해 제2대 무왕 때, 흑룡강 하류에 있던 흑수 말갈의 지배권을 둘러싸고 당나라와 대립하였다 .-출처: 세계한민족문화대전
학문 /
역사
23.01.30
0
0
최초 문명의 발생은 언제 일어났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세계 4대 문명(世界四大文明)》 인류 역사상 최초로 일어난 문명 중 메소포타미아 문명, 이집트 문명, 인더스 문명, 황하 문명의 네 문명이 현대 인류 문명의 원류가 된다는 관점 하에 네 문명을 일컫는 말이다. --자료출처: 위키백과
학문 /
역사
23.01.30
0
0
중국이 중화사상을 가지게된 이유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중화사상이란, 한족이 한족의 문화를 자랑스러워하는 사상이다. 여기서의 ‘중화’는 한족의 문화를 뜻하며 또는 화이사상이라고도 한다. 이 사상은 춘추전국시대부터 진(秦)· 한(漢) 시대에 걸쳐 형성되었다. 특히 한대 공양학에서 두드러졌다. -출처:위키백과
학문 /
역사
23.01.30
0
0
사수대첩은 어떠한 전쟁 이였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사수 전투는 제2차 고당전쟁 중이던 고구려 보장왕 21년 고구려의 대막리지 연개소문이 이끄는 고구려군이 당의 임아상, 방효태가 지휘하는 패강도행군, 옥저도행군을 몰살시킨 싸움이다. -출처:위키백과
학문 /
역사
23.01.30
0
0
동지에 팥죽을 먹는 이유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우리 선조들은 붉은색을 띤 팥을 태양, 불, 피 같은 생명의 표식으로 여겼고 음의 기운을 물리치기 위해 동짓날 팥죽을 쒀 먹었다 합니다.
학문 /
역사
23.01.30
0
0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종교는 어디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2021년 진행한 23번의 조사결과를 종합하면, 전체 인구의 20%가 개신교를 믿고 있으며, 불교를 믿는 사람은 전체의 17%이다. 천주교를 믿는 사람은 전체의 11%, 기타 종교를 믿는 사람은 2%이다. 그리고 전체 인구의 50%는 믿는 종교가 없다고 합니다.
학문 /
역사
23.01.30
0
0
제야의 종을 33번 타종하는 이유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에는 보신각 종을 쳐 성문을 여닫는 걸 알렸다. 새벽 4시께 종을 33번 쳐 문을 여는 것을 ‘파루’, 밤 10시께 28번 쳐 문을 닫는 걸 ‘인정’(보통 ‘인경’이라고 함)이라고 했다. 1898년 전차가 개통되면서 밤낮 없이 문을 열게 돼 보신각은 시각 알림이로써의 기능을 잃었다.-출처: 한겨레
학문 /
역사
23.01.30
0
0
874
875
876
877
878
879
880
881
8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