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고용·노동
자격증
퇴사예정인 사람도 육아휴직을 쓸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지훈 노무사입니다.육아휴직은 요건에 맞는 근로자가 신청하는 경우 당연히 부여하여야 합니다. 퇴사일이 예정되어 있는 근로자라도 퇴사일까지는 휴직의 사용이 가능합니다. 감사합니다.
고용·노동 /
휴일·휴가
23.07.16
0
0
이 경우 수습기간이 적용 된 거라고 볼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지훈 노무사입니다.근로계약서 작성시 인사과 직원이 수습기간을 적용하지 않겠다고 하였으므로 수습기간을 별도로 적용하지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수습기간이 3개월로 기록되어 있으니 7월 3일 수습기간은 종료된 것으로 볼 수 있을것입니다. 기간의 정함이 없는 근로자이므로 정규직 직원에 해당합니다. 감사합니다.
고용·노동 /
근로계약
23.07.16
0
0
실수령액과 통장에 입금되는 금액이 다른 이유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김지훈 노무사입니다.임금은 전액지급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사용자가 임금계산의 착오 등으로 인하여 임금이 초과로 지급된 경우에는 급여계산상의 문제이므로 임금 전액지급 원칙과 상관없이 급여나 퇴직금에서 정산이 가능합니다. 감사합니다.
고용·노동 /
임금·급여
23.07.16
0
0
몸이 안좋아서 질환을 증명하고 퇴사를 할 때도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지훈 노무사입니다.체력의 부족, 심신장애, 질병, 부상, 시력·청력·촉각의 감퇴 등으로 피보험자가 주어진 업무를 수행하는 것이 곤란하고, 기업의 사정상 업무 종류의 전환이나 휴직(병가)이 허용되지 않아 이직한 것이 의사의 소견서, 사업주 의견 등에 근거하여 객관적으로 인정되는 경우에는 실업급여 수급이 가능합니다. 질병으로 취업이 곤란한 경우에는 '수급기간 연기사유 신고서'를 제출하여 치료가 종결된 후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고용·노동 /
산업재해
23.07.16
0
0
현재 인턴으로 재직 중인데요.
안녕하세요. 김지훈 노무사입니다.회사의 일방적인 휴업지시를 받았다면 휴업수당의 청구가 가능합니다. 평균임금의 70%이상이 수당으로 지급되지 않는 경우 임금체불에 해당하고 진정을 제기할 수 있습니다. 직장내괴롭힘이란 ① 사용자 또는 근로자가 ② 직장에서의 지위 또는 관계 등의 우위를 이용하여 ③ 업무상 적정범위를 넘어 다른 근로자에게 신체적ᆞ정신적 고통을 주는 행위를 말합니다. 직장내괴롭힘 행위요건에 해당한다면 괴롭힘 신고도 가능합니다. 감사합니다.
고용·노동 /
휴일·휴가
23.07.16
0
0
주말알바고 오늘 저녁에 그만둔다하면 바로 그만둘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지훈 노무사입니다.사장님께 그만둔다는 의사를 명확히 표시하시어 퇴사일을 협의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보건증과 통장사본은 회사에 제출한 것이라면 사장님의 동의없이 무단으로 가져가서는 안됩니다. 감가합니다.
고용·노동 /
근로계약
23.07.16
0
0
알바 3일하고 그만뒀는데요..
안녕하세요. 김지훈 노무사입니다.근로계약서가 없더라고 일한 시간에 대한 임금은 청구가 가능합니다. 알바를 구인할때의 채용공고와 주고 받은 문자나 카톡등이 증거가 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고용·노동 /
임금·급여
23.07.16
0
0
계약서에 근로기간이 명시안되면?
안녕하세요. 김지훈 노무사입니다.원청 계약이 해지되어 부득이 사업을 영위할 수 없게 되는 경우라도 근로기준법에 따른 정리해고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적법한 절차에 따르지 않는 일방적인 해고의 경우는 부당해고 구제신청이 가능합니다. 감사합니다.
고용·노동 /
근로계약
23.07.16
0
0
퇴직연금 DC형 가입자 퇴사시 세액계산
안녕하세요. 김지훈 노무사입니다.퇴직금 중간정산 이후에는 정산이후부터 신입사원과 동일하게 계산합니다. 퇴직금 중간정산 이후 정산일 이전으로 소급하는 임금인상이 있었다고 하여도 당사자간 특약이 있지 않은 이상 소급된 인상율로 퇴직금을 다시 계산하여 지급하지는 않습니다. 감사합니다.
고용·노동 /
임금·급여
23.07.16
5.0
1명 평가
0
0
실업급여는 며칠씩 나오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지훈 노무사입니다실업급여 수급신청을 하면 수급신청일로부터 7일을 대기기간으로 봅니다. 이 이후에 1차 실업인정일을 정하게 되는데 보통 4주단위로 정합니다. 감사합니다.
고용·노동 /
임금·급여
23.07.16
0
0
1855
1856
1857
1858
1859
1860
1861
1862
18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