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이산화탄소 포집, 저장 기술의 핵심 방은 메커니즘은?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현재 대기중의 이산화탄소를 줄이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개발중입니다. 그중에서 현재 사용중인 기술인 CCS 는 이산화탄소를 지하에 격리시키는 방식입니다.크게 지하의 공간을 만들어 포집하는 방식 / 공극이 많은 암석에 포집하는 방식 / 액체에 이산화탄소를 녹여 포집하는 방식 / 물에녹인 이산화탄소를 광물과 반응시키는 방식 이 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학문 /
화학공학
25.10.14
0
0
지열발전 시스템이 지구 내부 열 에너지를 안정적으로 전력으로 변환하는 방식은?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지열발전은 지구 내부의 에너지를 활용하여 물을 끓여 터빈을 돌려 발전을 하는 방식 입니다.크게 2가지 방식이 있습니다. 건증기 / 습증기 방식 입니다.건증기 방식은 지하에 존재하는 고온의 증기를 지상으로 끌어올려 터빈을 돌려 발전하는 방식 이며 습증기 방식은 지하의 뜨거운 물을 지상으로 끌어올려 증기로 바꾼 뒤 터빈을 돌려 발전하는 방식 입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학문 /
환경·에너지
25.10.14
0
0
수소결합이 단백질의 3차 구조 형성과 생물학적 안정성에 기여하는 방식은?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네 알고계신데로 수소결합은 단백질의 구조를 유지시키고 형성하는데 주요한 역할을 합니다. 단백질은 아미노기, 카르복시기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여기서 수소가 산소, 질소, 플로오르 등과 수소결합을 만들어 유지하고 있기에 안정된 구조를 유지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수소결합이 공유결합보다는 약하지만 훨씬 많은 수소결합을 형성하여 전체구조가 안정되게 해줍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학문 /
화학
25.10.13
0
0
우리나라에서 노벨과학상을 받을 가능성을 얼마나 될까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충분히 가능하다고 봅니다.현재 한국에서 만들어지는 논문들읜 논문인용지수인 sci 에서도 상위권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연구개발 투자비 역시도 세계 상위권이지만 우리나라의 연구비 지원 경향이 단기적인 결과물에 집중되어 있기에 노벨상을 받기 위한 장기간의 연구개발과는 결이 좀 다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장기간 연구를 하기 위한 대학교에서도 아직 도제문화가 남아있기에 창의적인 연구보다는 돈이 되거나 기존연구와 유사한 연구를 하지 않으면 지원이 되지 않기도 합니다. 연구풍토를 쉽게 변화하는게 가능할지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이런 연구풍도 때문에 오히려 단기간에 기술을 개발하고 세계 혁신 기술을 만들어내기도 하기 때문입니다. 단지 노벨상을 위해 한국 전체의 연구풍토를 바꾸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현재 일본이 노벨상을 받았지만 반도체나 배터리의 세계 주도 국가 인가요? 세계최대 반도체나 배터리 제조기업을 가지고 있나요?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학문 /
화학
25.10.13
0
0
요즘에는 기상청에서도 AI 등을 통해서 기상 예측을 하기도 할까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사실 기상관측은 아시다시피 슈퍼컴퓨터에 의존하는 데이터 통계 방식이기에 이것은 과거의 인공지능과 같았으며 현재는 이러한 통계와 인공지능의 예측을 함께 사용하고 있습니다. 한국의 경우는 현재 인공지능을 활용하고 있지 않지만 딥웨더라는 이름으로 개발중이며 유럽과 일본의 경우는 인공지능을 활요하여 현재 예보중입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학문 /
환경·에너지
25.10.13
0
0
AI가 정말 많이 발전하는데 직업으로서 미술 관련된 미래는 어떻게 될까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전혀 아니라고 말해드리고 싶습니다.하지만 일러스트레이터와 디자이너 같은 상업 미술을 하시는 분이라면 인공지능으로 인해 많은 일자리가 사라지게 될 것 입니다. 창작자로써의 미술가들은 인공지능은 창작의 도구일 뿐 그들의 자리를 절대 대신할 수 없습니다. 인공지능이 아무리 발전을 해도 인간의 지시없이 새로운것을 만들어내지 않고 있으며 현재 인공지능만으로 만들어낸 작품에 대해 저작권을 인정해주고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인공지능을 활용한 작가가 어떤 창작품을 만들어내는지 궁금하시다면 현재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전시중인 올해의 작가상 2025에서 언메이크랩이란 팀의 전시를 한번 보시는걸 추천드립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학문 /
미술
25.10.13
0
0
원자력발전소의 노후에 대한 대책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한국의 원자력 발전소의 설계수명은 30~40년입니다. 한국에서 설계수명이 다한 원자력 발전소는 고리 1호기 인데 1978년에 가동시작되어 2017년에 정지시키고 현재 해체 작업 중입니다.사실 40년이 넘어서도 세계적으로 가동되고 있는 원자력 발전소는 꽤 있습니다. 전세계 원자력 발전소의 30% 이상이 40년 이상된 노후 원전인데 한국의 경우는 원전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이 있어 30년이 설계수명인 경우에도 40년 이상까지 연장을 해주고 있지 않습니다.역시나 사용후 핵연료 및 여러가지 폐기물 문제가 있고 잠재적인 위험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실제로 원자력 발전은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발전이라 화석연료 발전소를 친환경발전소로 대체하기 위한 중간자 역할을 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래서 친환경발전소가 지어질때까지는 원자력 발전소를 가동연장하는 것이 효율적인 상황입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학문 /
환경·에너지
25.10.13
0
0
원자력 르네상스, 한국이 주도할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낙관적인 미래를 가지고 있습니다.현재도 주도권을 놓친 상태가 아닙니다. 실제로 원자력 발전소를 수출한 국가는 6개도 되지 않으며 현재 시장에서 원자력 발전소를 설치 해줄 수 있는 국가는 한국, 미국, 프랑스 3개국 정도 밖에 없습니다.올해에는 유일하게 원전을 수출하였으며 체코 폴란드 사우디와 현재 협상중일 정도로 기술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지금도 선두 자리에 있다고 해도 무방하기에 원자력 수출에 대한 한국의 미래는 밝습니다.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학문 /
환경·에너지
25.10.13
0
0
정부가 2035년까지 내연기관 차량 퇴출을 계획하자 자동차 부품 업체들이 반발하고 있는데 어떤 해결책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2030년까지 전세계적으로 자동차 제조회사들은 내연기관 자동차의 생산을 중단하고 전기차와 같은 친환경 자동차들만 생산을 하도록 협약이 맺어져 있습니다.주요 자동차 회사의 협력 업체들은 이러한 정책을 알고는 있는 상황입니다. 해당 부품이 친환경자동차에 사용되지 않는 다면 부품을 변경하거나 변경에 필요한 비용들은 국가로부터 지원을 받는 등의 산업구조 개편 작업이 진행되어야 합니다.또한 2030년이라는 연도에도 어느정도 유예기간을 둘것으로 예상됩니다.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학문 /
환경·에너지
25.10.13
0
0
먼 미래에 가치 있고 희소성 있는 에너지 자원은 무엇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미래에 사용될 자원이라고 하면 아무래도 배터리나 에너지원과 관련된 자원들 입니다.그중에서 여전히 니켈, 코발트, 백금과 같은 배터리에 사용될 재료들이 주요자원으로 필요할 것이며 핵융합 발전에 사용될 삼중수소 역시도 중요 자원이라 할 수 있습니다.현재 육지에서만 이러한 금속들을 채취하고 있는데 해양에서 채굴하기 위한 도전이 진행중이며 기존 배터리에서 이러한 광물을 리사이클링 하는 산업군들도 요즘 활발히 연구되고 있습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학문 /
환경·에너지
25.10.13
0
0
10
11
12
13
14
15
16
17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