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신문에 나오는 경제 정보로 상식이 쌓일까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만약에 경제 관련하여 처음 접하시는거라면 신문으로 경제 정보를 얻는 것보다 가벼운 책을 통해 현재 한국의 상황, 원인 등을 쉽게 이해하는 것부터 하시길 권유드립니다.신문은 함축적으로 내용을 작성하여야하기 때문에 어려운 용어가 많고 설명문구를 넣기 어려워서 이해하기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그것보다는 경제전문가분들이 초보자분들을 위해 사례와 접목하여 이해하기 쉬운 책들이 많으니 가볍게 읽으시면서 용어에 익숙해지시면 그 다음부터 신문으로 넘어가셔도 좋습니다.
경제 /
경제동향
22.12.28
0
0
금리가 오르면 경제전반적으로 어떤 영향이 있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금리와 경기는 반비례합니다. 쉬운 이해로 말씀드리면 금리가 많이 오르게되면 가계,기업들의 부채가 증가하고 무역수지, 부동산 가격이 줄어들게 되어 경상수지가 점차 줄어듭니다. 그러므로 투자,소비가 감소하게 되고 이것은 부메랑으로 돌아와 계속해서 악의 순환고리가 형성하게 되죠.반대로 금리가 낮아도 문제이니 금리를 적정선으로 맞추는 것이 연준, 한국은행 등의 역할을 합니다.
경제 /
경제동향
22.12.28
0
0
오늘 배당락인데, 시초가에 매수해서 장마감시 매도하는 전략은 어떤가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시초가 매수, 매도는 권유 드리고 싶지 않습니다. 보통 시초가 많이 떨구고 서서히 오르거든요.배당락때 전략은 미래가치가 있어 보이는 회사가 배당락, 거시악재로 과매도(5~10%이상)에 있다면 저렴한 가격에 사두는 것이 오히려 수익 볼 가능성이 큽니다.짧은 단타보다는 싸게 구입할 수 있는 좋은 기회 놓치지 마시고 잡으시길 바랍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28
0
0
거시 경제학을 공부하고 싶습니다. 관련해서 이해하기 쉬운 책 추천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김광석 경제전문가 저자의 2023년 그레이트리세션이라는 책을 통해 현 경제 상황과 경제를 공부를 권유드립니다.현재 처해져있는 상황과 원인, 나아가야할 방향, 미래 발전 산업 등을 초보자분들도 알기 쉽게 설명해주십니다.미래 경제에 대해서도 관심이 많으시다면 필독이라고 생각합니다.도움이되셨다면 추천,좋아요 부탁드립니다.
경제 /
경제용어
22.12.28
0
0
경제용어 중에 리디노미네이션이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리디노미네이션은 화폐 액면 단위를 축소하는 것을 말합니다.예를 들어 1,000만원 화폐를 1000:1로 축소하면 1만원이 됩니다. 가치는 1,000만원으로 동일하구요.이것을 하는 이유는 금액이 커지면 커질수록 거래, 회계상 처리할 때 불편하고 잘 못 입력될 가능성이 그만큼 높아지기 때문에 간소화를 하기 위해서입니다.근데 반대로 우려하는 부분은 갑자기 축소하여 5,000만원짜리 차가 5만원이 되었는데 사람들은 5만원이라고 싸다고 착각하기 때문에 시장에 혼돈이 올 수 있고 소비가 늘어 물가가 상승할 가능성과 화폐, 금융 시스템 변경에 막대한 돈이 들기때문에 논의 중인 것으로만 알고 있습니다.도움이되셨다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경제 /
경제용어
22.12.28
0
0
금리인상을 미국에서 하고 있는데 곧 그칠것으로 예상되는데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금리를 내리면 시장에 돈이 풀리고 부채가 낮아지고, 기업의 투자가 활성화 되기 때문에 주식시장에는 호재로 작용합니다.금리인상을 멈춘다고해서 내리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고 계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물가가 내려가는 속도에 따라 멈추겠지만 물가가 안정화되기 전까진 올린 %를 계속 유지할 겁니다.파월은 2% 되기전까지는 긴축행보는 이어진다고 얘기했고 시장에서 많은 오해들로 금리오르는게 끝났으니 이제 내리겠구나 생각하시는 분들 많으실텐데 아직 고물가이고 언제까지 올릴진 누구도 장담 못합니다.2023년 하반기, 2024년 상반기나 되서야 전환점 얘기가 나올 것으로 예상됩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27
0
0
경제용어 중 피셔효과라고 아시나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쉽게 말씀드리면 인플레이션율과 실질(시중)금리가 동일하게 가는 현상을 말해주는 이론 입니다.무조건 같을 순 없지만 인플레이션을 잡기위해 명목 금리를 대략적으로 예상을 잡는데 명목금리에서 보통 반절정도를 실질금리로 보거든요.신기하게 실질적 금리와 인플레이션율이 비슷하게 가는 현상을 보고서는 이러한 효과가 있구나는 예상 이론입니다. 어디까지나 이론이고 기대심리로 인해 이러한 현상이 나타날 뿐 현실에선 정확하진 않습니다.도움이되셨다면 추천,좋아요 부탁드립니다.
경제 /
경제용어
22.12.27
0
0
지금 불경기라고 하는데 금리가 계속오르나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고물가이면 한 나라 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경제는 파탄나게 되어있습니다. 그러니 불경기이고 어려운 시기이지만 물가부터 잡고 경기를 잡으려고 하는 것입니다.대공황, 1971년 석유파동 처럼 고인플레이션 상황에서 과거 역사를 봐도 물가를 먼저 잡고 경기를 되살리는 방법이 악의순환고리에서 빠져나오는 길입니다.인플레파이터라고 불리는 폴볼커의 사례를 한번 읽어보시면 이해가 쉬우실 겁니다.도움이되셨다면 추천,좋아요 부탁드립니다.
경제 /
경제동향
22.12.27
0
0
코인에서 현물과 선물은 무슨 차이인가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현물은 현재 시세에 맞게 그 주식이나 코인을 구입하는 것이구요.선물은 미래가치를 미리 끌어다 빌려서 쓰는 것을 말합니다. ㄴ미래에 이 주식이 떨어질 것 같다라고 하면 공매도,숏포지션 / 오를 것 같다라고 하면 롱포지션에 걸고 맞추면 돈 버는 것이고 틀리면 잃는 것입니다. 전문가, 돈 많은 세력이 아니면 50:50 사실상 도박입니다. 현물은 회사가 없어지지 않는 한 계속 가지고 있을 수 있지만 선물은 내가 정한 포지션에서 일정 이상 넘어가면 돈이 삭제됩니다.위험하니 절대 되도록 안하시는 걸 권유드립니다. 처음엔 따도 나중엔 욕심 때문에 무조건 잃게 되어있습니다.도움이되셨다면 추천,좋아요 부탁드립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27
0
0
경제용어 중에 긴축 정책이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긴축은 테이퍼링이라도 쓰는데 점차 통화량을 줄여 화폐가치를 높임으로써 고물가를 잡기 위한 정책입니다.반댓말은 양적완화이구요.코로나로 인하여 시장에 돈을 너무 풀었고 그것의 부작용으로 9% 엄청난 물가상승이 있었습니다.그것을 잡기위해 긴축정책을 피는 것이고 금리인상이 대표적입니다.금리인상시 고금리는 기업의 투자감소, 무역 수지 적자로 경기는 안 좋아집니다. 그러나 물가가 안정되면 다시 시장이 활기를 띠게 되므로 위험을 감수하고 인상을 하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경제 /
경제용어
22.12.26
0
0
406
407
408
409
410
411
412
413
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