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고용·노동
자격증
주말 추가 근무시 급여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류형식 노무사입니다.토요일이 휴일(유무급 불문)에 해당한다면 질문자님이 계산한 바와 같이 8시간까지는 1.5, 이를 초과하는 5시간은 2배의 가산이 이루어지나, 무급 휴무일이라면 연장근로에 해당하므로 13시간 전체에 1.5배를 가산하여 지급하여야 합니다.
고용·노동 /
임금·급여
24.04.09
0
0
일요일근무시 52시간초과근무가 되나요?
안녕하세요. 류형식 노무사입니다.근로기준법 53조1항은 “당사자 간 합의하면 1주 간에 12시간을 한도로 제50조의 근로시간을 연장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최근 대법원 판결에 따라 해당 법 위반 여부는 1주 40시간이 초과한 나머지를 연장근로시간이 12시간을 초과하는지에 따라 달라지므로, 질문자님과 같이 1주 총 근로시간이 52시간 이내라면 (연차휴가는 실 근로시간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법 위반에 해당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고용·노동 /
휴일·휴가
24.04.09
0
0
중도퇴사자 월차 나 연차 갯수 계산 문의
안녕하세요. 류형식 노무사입니다.입사 후 1년이 지나지 않았으므로, 매월 개근으로 발생한 연차휴가만 발생됩니다. 따라서, 소정근로일을 모두 개근하였다면 매월 10일 1일의 연차휴가가 발생되어, 총 11일의 연차휴가가 발생되므로 기 정산한 7일을 제외하고 4일에 대한 미사용 수당만 지급하시면 될 것입니다.
고용·노동 /
임금·급여
24.04.09
0
0
그만 둔 식당알바에서 정해진 급여일 지났다고 다음 달에 준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류형식 노무사입니다.1. 임금은 매월 정기적으로 그 전액이 지급되어야 하므로 법 위반에 해당합니다.2. 퇴사 후 14일 이내에도 잔여 임금 등의 지급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면 사업장 관할 노동지청에 진정 등을 제기하시기 바랍니다.
고용·노동 /
임금·급여
24.04.09
0
0
공휴일 수당 이렇게 계산하는거 맞나요?
안녕하세요. 류형식 노무사입니다.사업장의 상시근로자수가 5인 이상 사업장에서 유급휴일(공휴일 등)에 근로를 하였다면,1) 월급제의 경우 : 유급휴일 100%(월급에 포함), 당일근로 100%+ 휴일가산 50%2) 시급제의 경우 : 유급휴일 100%+당일근로 100%+ 휴일가산 50%위와 같이 지급되어야만 합니다.
고용·노동 /
휴일·휴가
24.04.09
0
0
월급 300만원과 월급 250만원+야근 수당 50만원 퇴직금 차이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류형식 노무사입니다.실제 야간근로 등과 관계없이 고정적으로 지급되는 야근수당이라 하더라도 근로의 대가로 지급 받는 임금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평균임금 산정에 있어서 포함되는 임금이므로 퇴직금 산정에 있어서의 차이는 없을 것입니다.
고용·노동 /
임금·급여
24.04.09
0
0
국가검진을 받으면 유급휴가인가요?
안녕하세요. 류형식 노무사입니다.산업안전보건법에 따른 일반건강진단을 대신하여 국민건강보험법상 건강검진을 하는 경우라면 건강검진에 소요되는 시간은 유급으로 인정하여야 할 것이나, 산업안전보건법상 건강진단과 별개로 국민건강보험법상 건강검진을 하는 경우라면 사용자가 이를 반드시 유급으로 처리해야하는 것은 아님니다.
고용·노동 /
휴일·휴가
24.04.09
0
0
연차 갯수가 근로계약서랑 다른데...
안녕하세요. 류형식 노무사입니다.법정 유급휴가는 대표적으로 근로기준법 제60조에 따른 연차유급휴가가 있으며, 하계휴가, 경조휴가(배우자출산휴가는 유급) 등은 유급으로 보장되지 않습니다. 다만, 하계휴가의 경우 전 직원을 공통적으로 연차휴가로 대체하려면 근로자대표와의 서면합의가 필요함을 알려드립니다.
고용·노동 /
휴일·휴가
24.04.09
0
0
권고 사직을 당하면 불이익이 있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류형식 노무사입니다.권고사직의 경우 사용자가 일방적으로 근로관계를 종료시키는 해고와는 달리 당사자간 합의 하여 근로관계를 종료시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에, 권고사직으로 근로관계가 종료되었다 하더라도 별다른 불이익은 없습니다. (근로자의 경우 타 요건을 충족하였다면 실업급여 수급사유에 해당합니다)
고용·노동 /
구조조정
24.04.09
0
0
입사후 한달 근무해도 연차가 발생 하나요?
안녕하세요. 류형식 노무사입니다.근로기준법에 따라 1년 미만의 재직기간 동안은 1개월 개근 시 1일의 연차유급휴가가 발생됩니다. 예컨대, 1월 1일 입사지의 경우 1개월 개근 후 2월 1일까지 재직한다면 2월 1일에 연차휴가가 1일 발생됩니다.
고용·노동 /
휴일·휴가
24.04.09
0
0
784
785
786
787
788
789
790
791
7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