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자격증
보험료 공제 금액이 얼마인지 이해가 안 가요
안녕하세요. 박경태 보험전문가입니다.보험료 공제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삼성화재 실비보험의 경우, 의료비 청구 시 실제 발생한 비용에서 보험사가 정한 공제금액이 차감됩니다.여기서 "재료비"는 일반적으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때 발생하는 비용 중 하나로, 주사나 치료에 사용되는 재료에 대한 비용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주사를 맞을 때 사용하는 주사기나 약품의 비용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다만 이런 약품비용은 주사료에 포함된 것으로 여기에 대한 재료비까지 구체적으로 청구서상에 나오지는 않습니다.공제 금액이 3만원으로 나온 것은, 가입자의 자기부담금 중에서 보장대상 의료비의 30% 또는최소자기부담금 3만원 중 큰 금액을 보상하기 때문에 3만원으로 나오는 건데 3대 비급여 혹은 통원 특약의 경우 그렇습니다. 정확한 사항은 보험회사와 보험계약자의 권리와 의무를 기재한 보험 약관이나 고객센터에 문의하시면 더 구체적인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그리고 2만원은 기본형의 경우에 통원이 보장대상의료비의 20% 또는 최소 자기부담금 1,2만원 중 큰 금액을 공제하는데 그 기본형에서 공제된 거라 보면 됩니다.
보험 /
상해 보험
24.12.10
0
0
연금저축에 대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경태 보험전문가입니다.연금저축은 노후를 대비하기 위해 개인이 자발적으로 저축하는 금융 상품입니다. 주로 세액 공제를 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어, 개인이 일정 금액을 정기적으로 저축하면 노후에 연금 형태로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연금저축은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1. 연금저축보험: 보험사의 상품으로, 보험료를 납입하고 일정 기간 후 연금으로 지급받습니다.2. 연금저축신탁/펀드: 금융기관에서 제공하는 상품으로, 주식이나 채권 등에 투자하여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연금저축은 연말정산에서 세액 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개인이 연금저축에 납입한 금액에 대해 일정 한도 내에서 세액을 공제받을 수 있어, 세금 부담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2023년 기준으로 연금저축 납입액의 종합소득 4.5천만원 총급여액 5.5천만원 이하 600만원 16.5% 초과의 경우 13.2%를 세액 공제받을 수 있으며, 퇴직연금에 납입한 부담금은 최대 300만 원까지 가능합니다.참고https://m.blog.naver.com/reisfree/221452978809
보험 /
저축성 보험
24.12.09
0
0
실손보험1세대 ?2세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경태 보험전문가입니다.실손보험은 의료비를 보장해주는 보험으로, 세대별로 차이가 있습니다. 간단히 설명드리면1. 1세대 실손보험: 가입자마다 보장내용이 각각 다르다는 특징이 있습니다.2. 2세대 실손보험: 모든 보험사가 비슷한 보장상품을 판매해서 가입자 대부분 보장내용이 비슷합니다.3. 3세대 실손보험: 도수치료, 주사제, MRI 등 3대 비급여 특약에 제한이 있습니다.4. 4세대 실손보험: 저렴한 보험료라 특징인 보험인데 1세대에 비해 약 75%가 저렴하며, 개인별로 상황에 따라 보험료가 차등화된다는 것이 특징입니다.각 세대별로 보장 내용과 보험료가 다르므로, 자신의 필요에 맞는 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참고https://m.blog.naver.com/lendit/223067493882
보험 /
의료 보험
24.12.09
0
0
전세보증보험은 보증금 얼마부터 가입되며 수수료가 몇% 인가요?
안녕하세요. 박경태 보험전문가입니다.전세보증보험은 보증금이 HF, HUG는 지방은 5억 원이하 수도권 7억원 이하 SGI는 일반주택 10억 이하 아파트는 제한없이 가입할 수 있습니다. 구체적인 가입 기준은 보험사마다 다를 수 있으니, 각 보험사의 약관을 확인하는 것이 좋겠습니다.수수료는 보통 보증금의 0.1%에서 0.2% 정도로 다양하게 책정됩니다. 또한, 보증금의 규모나 보험사의 정책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니, 직접 상담을 받거나 각 보험사의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하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참고https://lonelyplanetstory.tistory.com/entry/%EC%A0%84%EC%84%B8%EB%B3%B4%EC%A6%9D%EB%B3%B4%ED%97%98-%EA%B0%80%EC%9E%85%EC%A1%B0%EA%B1%B4-%EA%B0%80%EC%9E%85%EB%B0%A9%EB%B2%95-%EC%A0%84%EC%84%B8%EA%B8%88-%EB%B3%B4%EC%A6%9D%EA%B8%88%EC%95%A1-%EC%89%BD%EA%B2%8C-%EC%A0%95%EB%A6%AC%ED%95%B4%EB%B4%A4%EC%8A%B5%EB%8B%88%EB%8B%A4
보험 /
재산 보험
24.12.09
0
0
보험 지급 확인서를 받아도 다시 조정할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박경태 보험전문가입니다.보험 지급 확인서를 받은 후에도 재조정이 가능한 경우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보험사에 청구한 금액이 지급된 금액보다 적다고 판단되면, 추가적인 서류나 증빙 자료를 제출하여 재조정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다음과 같은 절차를 고려해 보세요1. 사유 확인: 왜 더 많은 비용을 청구해야 하는지 구체적인 사유를 정리합니다.2. 서류 준비: 추가로 필요한 서류나 증빙 자료를 준비합니다. 예를 들어, 치료비 영수증, 진단서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3. 보험사에 문의: 보험사 고객센터에 연락하여 재조정 요청 절차를 안내받습니다.4. 신청서 제출: 필요한 서류와 함께 재조정 신청서를 제출합니다.각 보험사마다 정책이 다를 수 있으므로, 정확한 절차는 해당 보험사에 직접 문의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다만 하시기 전에 내가 고지사항에서 빠뜨린 것은 없는지 확인해보시고 이후 통지사항에서 변경된 내용을 통지하였는지 등 꼼꼼히 살펴보시고 보험사와 상의해서 알아보시는 것도 필요합니다. 약관 내용도 살펴보셔야 합니다.참고https://m.lotteins.co.kr/web/C/M/L/cml373refer_step1.jsp
보험 /
상해 보험
24.12.09
0
0
산정특례 적용을 그제 날짜로 받았습니다.
안녕하세요. 박경태 보험전문가입니다.산정특례는 특정 질병에 대해 보험 혜택을 확대해주는 제도인데, 일반적으로 산정특례 적용 전에 발생한 병원비는 환급이 어렵습니다. 하지만 몇 가지 확인해볼 수 있는 사항이 있습니다1. 병원에 문의: 산정특례 적용 이전에 발생한 비용에 대해 병원에 직접 문의하여 환급 가능성을 확인해보세요. 일부 병원에서는 환급 절차를 안내해줄 수 있습니다.2. 보험사 상담: 가입한 건강보험의 고객센터에 연락하여, 산정특례 적용 전의 비용 환급 가능성에 대해 문의해보세요.3. 관련 서류 준비: 만약 환급이 가능하다면, 관련 서류(영수증, 진단서 등)를 준비해야 할 수 있습니다.산정특례 적용에 대한 구체적인 정책은 변동이 있을 수 있으므로, 관련 기관이나 전문가에게 직접 상담받는 것이 가장 정확한 정보를 얻는 방법입니다.산정특례 정부24 참조https://sotong.go.kr/front/otherPlatform/otherPlatformViewPage.do?similar_propse_id=128167&miv_pageNo=159&miv_pageSize=&searchPlatform=&search_write_bgnde=2023-09-19&search_write_endde=2024-09-19&search_title_contents=&search_gubun=&search_orgNm=&search_tag=&search_writer=&date_range=1year&bbs=otherPlatform
보험 /
의료 보험
24.12.08
0
0
실손보험 오르지않는 보험회사 있나요?
안녕하세요. 박경태 보험전문가입니다.우선 보험의 특성을 말씀드리면 보험은 여러 사람들이 보험료를 내서 그 보험료를 모아서 아픈 사람이 생기면 그 아픈 사람에게 보험금을 지급합니다. 그래서 1년의 기간 동안 자주 아파서 병원을 많이 찾는 사람이 있을 수 있고 또 1년간 전혀 안 아파서 병원을 안 찾는 사람이 있습니다. 그러면 1년 안 아팠던 사람들은 아팠던 사람들보다 형평성에서 어긋나게 됩니다. 보험금을 많이 타가는 아픈 사람과 똑같은 보험료를 내니 손해인거죠. 그래서 보험사에서는 년간 병원을 이용하지 않은 실손 보험계약자는 보험할인을 주고 실손 보험이용이 많은 보험계약자는 실손보험료를 할증해서 올려서 형평성을 맞추는 것입니다. 실손보험료를 낮추는 것은 기본적으로 병원을 이용하지 않거나 덜 이용하도록 평상시 건강관리를 잘하는 방법도 있겠습니다만 일단 그외에도 다른 요인에 의해서 보험료가 인상되니까 말씀을 드리면실손보험 보험료는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특정 보험회사가 보험료 인상이 없다고 단정짓기는 어렵습니다. 그러나 일부 보험사는 상대적으로 보험료 인상폭이 적거나, 연령대별로 안정적인 보험 상품을 제공하는 경우가 있습니다.보험료를 낮추고 싶다면 다음과 같은 방법을 고려해보세요1. 비교 견적: 여러 보험사의 실손보험 상품을 비교하여 보장 내용과 보험료를 비교해보세요.2. 보장 범위 조정: 현재 가입한 보험의 보장 범위를 줄이면 보험료를 낮출 수 있습니다. 다만 이러면 보장범위가 줄어들어서 다른 보험계약자에 비해서 보장성이 취약해질 수 있습니다.3. 가입 연령대 고려: 연령대에 맞는 상품을 찾아보세요. 특정 연령대를 위한 맞춤형 상품이 있을 수 있습니다.4. 보험사 상담: 직접 보험사에 문의하여 상담받고, 할인 혜택이나 적합한 상품을 추천받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비교 사이트를 이용해 여러 보험사의 실손보험 상품을 확인해보시길 추천드립니다.참고 메리츠화재실비보험 비교사이트 활용법 및 우체국 실비보험 특성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29887820&memberNo=48239539&searchKeyword=%EC%9D%98%EB%A3%8C%EB%B9%84%20%EB%B6%80%EB%8B%B4%EC%9D%80&searchRank=129
보험 /
의료 보험
24.12.08
5.0
1명 평가
0
0
ISA 계좌 한가구에 여러명도 가입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박경태 보험전문가입니다.ISA(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 계좌는 한 가구에 여러 명이 가입할 수 있습니다. 즉, 당신과 당신의 집사람, 그리고 자녀들이 각각 다른 유형의 ISA 계좌에 가입할 수 있습니다.1.아내 혹은 남편: 소득이 1000만원 이하라면 서민형 ISA에 가입할 수 있습니다. 이는 소득 기준에 맞는 경우에 해당합니다.2. 자녀들: 독립하지 않은 자녀들도 각각 ISA 계좌에 가입할 수 있습니다. 다만, 자녀의 소득이 있어야 하며, 소득에 따라 일반형 또는 서민형으로 가입할 수 있습니다.따라서, 가족 구성원 모두가 각자의 ISA 계좌를 통해 가입할 수 있습니다. 일반형의 경우 비과세 한도는 200만원, 서민형의 경우 400만원이라고 합니다.참고https://e-learning.nhi.go.kr/blog/blog/viewPost_D.do?blogId=6263168&artNo=6100서민형으로 전환하는 방법참고https://goldkiwi3.tistory.com/entry/ISA-%EC%84%9C%EB%AF%BC%ED%98%95%EC%9C%BC%EB%A1%9C-%EC%A0%84%ED%99%98%ED%95%98%EB%8A%94-%EB%B0%A9%EB%B2%95-%EC%86%8C%EB%93%9D%ED%99%95%EC%9D%B8%EC%A6%9D%EB%AA%85%EC%84%9C-%EB%B0%9C%EA%B8%89
보험 /
저축성 보험
24.12.08
5.0
1명 평가
0
0
인터넷상으로 하는 보험 철회시간은 언제
안녕하세요. 박경태 보험전문가입니다.인터넷으로 보험 계약을 철회하는 시간은 보험사마다 다를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계약 후 15일 이내에는 청약 철회가 가능합니다. 다만 청약을 한 날로부터 30일 이후 혹은 초과일 경우 청약철회는 불가합니다. 그러므로 15일 이내에 하셔야 하고 이 기간 내에 철회하면 보험료를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1회 보험료가 전액 환급되는지는 보험 약관에 따라 다를 수 있으니, 구체적인 내용은 가입한 보험사의 고객센터에 문의하시거나 약관을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중복 가입의 경우, 철회 절차를 진행하면서 상황을 충분히 설명하면 보다 원활하게 처리될 수 있습니다.
보험 /
의료 보험
24.12.06
5.0
2명 평가
0
0
병원 검사 당일 본인 확인 건강보험 적용
안녕하세요. 박경태 보험전문가입니다.안녕하세요! 검사 후 본인 확인을 하지 않아서 건강 보험이 미적용된 경우, 일반적으로는 본인 확인이 검사 전에 완료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검사 후에 본인 인증을 진행하더라도 건강 보험 적용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하지만 삼성병원에 문의하셔서 상황을 설명하고, 본인 인증을 완료한 사실을 알리면 예외적으로 처리해 줄 수 있는 경우도 있으니, 직접 병원에 연락해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필요한 서류나 추가 정보를 요구할 수도 있으니 미리 준비해 주시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보험 /
의료 보험
24.12.06
0
0
424
425
426
427
428
429
430
431
4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