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고용·노동
자격증
실업급여의 경우 최장 몇개월까지 받을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박정준 노무사입니다.만 50세 이상 및 장애인의 경우 270일, 만 50세 미만 근로자의 경우 240일을 받을수 있지만고용보험 가입기간에 따라 다릅니다.고용보험가입기간에 따라 1년 미만 근로자 120일(만50세 및 장애익 120일), 1년 이상 3년 미만 150일(180일), 3년 이상 5년 미만 180일(210일), 5년 이상 10년 미만 210일(240일), 10년 이상 240일(270일)입니다.
고용·노동 /
임금·급여
24.09.23
0
0
알바종료와 동시에 정직원 재입사를 하게 되었는데 퇴직금 기간산정이 되나요?
안녕하세요. 박정준 노무사입니다.아르바이트로 근무하다가, 특별한 채용절차와 공백없이 정직원으로 전환되신 것이라면 계속근로기간이 단절되었다고 보긴 어렵습니다.
고용·노동 /
근로계약
24.09.22
0
0
근로 계약서를 작성하면 근로자 역시 그 계약서 대로 근무를 해줘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박정준 노무사입니다.1주일만에 퇴사를 하게 되는 경우 특별히 A씨에게 불리한점이 존재한다고 보기는 어려워 보입니다.다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회사와 잘협의하여 퇴직일을 합의하시는게 좋겠습니다.
고용·노동 /
근로계약
24.09.22
0
0
산업재해라고 의심이 되면 어떤 절차를 밟아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박정준 노무사입니다.일단 병원에 가서 진단을 받으시기 바랍니다. 받은 진단을 바탕으로 회사에서 무슨일이 증상에 영향을 끼쳤는지 분석하여야 합니다. 증상과 업무와의 연관성이 있는걸로 보인다면, 연관성을 정리해서 근로복지공단에 업무상질병으로 산재신청을 하시면 됩니다.산재신청은 병원에서 발급받은 산재신청용 소견서와 공단양식인 요양급여 신청서를 제출하시면 됩니다.
고용·노동 /
산업재해
24.09.22
0
0
배우자 출산 휴가 급여 지급에 대해 궁금한게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정준 노무사입니다.사업주가 유급휴가로 부여하여, 임금을 공제하지 않고 지급했다면, 근로자를 대신하여 고용보험에 대위신청 할수 있습니다.사업주가 해당 금액을 제외하고 지급하는 경우 근로자가 신청하면 되고, 사업주가 전액 지급하고 대위신청하는 경우 회사가 신청하면 됩니다.
고용·노동 /
임금·급여
24.09.22
0
0
퇴직금 14개월치는 12개월치와 같나요?
안녕하세요. 박정준 노무사입니다.4주 평균 1주 소정근로시간이 15시간인 것이기 때문에, +- 4주로 근속기간을 산정하여야 합니다.퇴직금은 14개월분을 받는 것입니다. 12개월에 대해서 1년치, 2개월분에 대해서는 비례적으로 계산해서 약 한달치월급의 16%정도를 더 받아야 하는 것입니다.
고용·노동 /
임금·급여
24.09.22
5.0
1명 평가
0
0
요양승인대상자가 과실이 있는 경우 장애급여는 그 금액의 절반을 감액 지급된다는 규정이나 근거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박정준 노무사입니다.산업재해보상보험의 특징은 무과실책임주의입니다. 근로자의 고의가 있거나 자해하거나, 범죄행위가 아니라면 산재보상에서 과실이 있다 하더라도 감액하여 지급하지 않습니다.(전액 지급)
고용·노동 /
산업재해
24.09.22
4.0
1명 평가
0
0
알바비를 계속 계좌로만 받았는데 퇴직금을 받을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박정준 노무사입니다.퇴직금은 세금신고여부, 4대보험 가입여부와 관계없이 4주평균 1주 소정근로시간이 15시간 이상인 근로자가 1년 이상 근무하면 받을수 있는 것입니다. 계좌로 알바비를 매월 받아왔다면 1년 이상 근무했음이 수월하게 인정될 것입니다.
고용·노동 /
임금·급여
24.09.22
5.0
1명 평가
0
0
공휴일 수당 2.5배 계산이 맞나요?
안녕하세요. 박정준 노무사입니다.아닙니다. 정직원과 알바의 차이가 아니라, 월급제와 시급제의 차이로 1.5배, 2.5배라는 이야기가 나오는 것입니다.월급제의 경우 월급제 근로자는 월급과 별개로 15만원을 추가로 받는 것이며시급제의 경우 본래 근무를 하지 않아도 받는 일급 10만원에 더하여 15만원(총 25만원)을 받게 되는 것입니다.
고용·노동 /
임금·급여
24.09.22
5.0
1명 평가
0
0
연차는 입사후에 1년뒤에 생기는건가요?
안녕하세요. 박정준 노무사입니다.입사한지 1년이 되지 않은 근로자는 입사한 후 1개월 개근할때마다 1일의 연차유급휴가가 발생합니다.1년 이상 근무한 근로자는 매년 입사일이 될때마다 15+@일이 발생합니다.
고용·노동 /
휴일·휴가
24.09.22
5.0
1명 평가
0
0
37
38
39
40
41
42
43
44
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