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육아
밥을 너무 많이 먹는 아이 어떻게 하나요?
안녕하세요. 서희원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말씀하신대로 적당함이 중요합니다. 눈에 너무 띄게 줄이기 보다는 아이가 눈치채지 못하게 조금씩 줄여가시길 바랍니다.낮동안 충분한 활동과 병행해 건강한 아이로 양육하시길 바래요.
육아 /
유아교육
22.12.21
0
0
아직 출산 전인데 보통 어린 아이 키울때 집안 온도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서희원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신생아의 경우 온습도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보통 20~24도 정도를 적정 온도라고 하는데 너무 더운 환경일 경우 태열이나 땀띠로 인해 아기가 고생 할 수 있습니다. 습도는 50% 전후가 적당하며 아이들은 스스로 온도 조절 하는 능력이 떨어지고 기초체온이 약간 높기 때문에 약간 선선한 정도가 오히려 좋다고 합니다.
육아 /
양육·훈육
22.12.21
0
0
7개월 아기가 안기어요. 어떻게 해줘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서희원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대부분 일반적인 발달 단계를 거치지만 아이의 특성에 따라 배밀이나 엎드리는 것을 싫어하거나 안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아이가 스스로 앉을 수 있다면 필요한 발달과정을 거치고 있는 증거 중 하나이니 크게 걱정하지 않으셔도 될 거 같습니다. 저희 아이도 배밀이 없이 앉고 서고 지금은 누구보다 잘 뛰어다닙니다.
육아 /
양육·훈육
22.12.21
0
0
7세 아이 비염으로 고생하는 아이 공기청정기 영향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서희원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실내 공기의 질이 비염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공기청정기 뿐 아니라 겨울철 환기도 충분히 해주시는게 도움이 됩니다.평소 물도 많이 마시면 코 점막이 촉촉하게 유지되어 비염에 도움이 됩니다.
육아 /
양육·훈육
22.12.21
0
0
아이가 깊게 잠을 못자는데 이유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서희원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5~6세 상상력이 풍부해지고 꿈을 많이 꾸는 시기에 아이들이 잠을 설치곤 합니다. 또는 유치가 빠지고 영구치가 자람에 따라 깊은 잠에 들지 못하는 경우가 있는데요 낮 동안 가급적 많은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해주시고 잠자기 전 미지근한 물을 먹으면 숙면에 도움이 된다고하니 참고하세요.
육아 /
양육·훈육
22.12.21
0
0
아이가 툭하면 삐지고 많이 울어요
안녕하세요. 서희원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2살 아이가 엄마와 떨어진 것 만으로도 스트레스가 심한가 봅니다.한창 부모님의 손길이 필요한 시기에 가족이어도 친 부모님의 빈 자리를 메우기 어렵기 마련입니다.아이와 함께 엄마의 회복을 기원하고 가급적 혼자있지 않도록 해주세요. 지금 시기에 혼을 내면 감정 유무와 관계 없이 돌아올 수 없는 강을 건넌 사이가 될 수 있으니 아이의 말에 귀를 기울이시고 공감과 위로를 해주세요.
육아 /
양육·훈육
22.12.21
0
0
초등학생 4학년에 사춘기가 오나요
안녕하세요. 서희원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사람에 따라 다르지만 요즘 아이들 사춘기가 비교적 빨리 온다고 합니다.대부분의 경우 이유없는 투정이나 반항이 아니기에 우선을 아이의 말을 경청해주시고 공감해 주세요일률적인 해결책을 제시해 주기보다는 여러가지 대안책을 선택 할 수 있도록 해주세요.
육아 /
유아교육
22.12.20
0
0
7살 남자아이 크리스마스 선물 어떤게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서희원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진심이 담긴 편지도 좋고 동생이 좋아하는 캐릭터 관련된 상품이면 다 좋을 듯 합니다.초등학생이라면 캐릭터 교통카드도 요긴하게 쓸수 있어서 좋아요.
육아 /
놀이
22.12.20
0
0
3살딸아이가 엄마밖에 몰라요 아빠를 어떻게하면 좋아할까요?
안녕하세요. 서희원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몸을 노는 것을 전적으로 아빠가 담당해 주시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그 시기의 아이들이 엄마를 따르는 것은 당연한 일입니다. 하지만 부모님의 노력 여하에 따라 달라 질 수 있습니다.
육아 /
양육·훈육
22.12.20
0
0
분유 다 먹고 우는 아기 어떻게 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서희원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필요한 양 이후에 젖병을 눈에 보이지 않는 곳으로 치워주시고 쪽쪽이를 물려주거나 놀이감을 주는 등 아이의 관심을 다른곳으로 옮겨주세요. 때로는 부모님의 단호한 태도가 육아에 꼭 필요한 부분입니다.
육아 /
기타 육아상담
22.12.20
0
0
10
11
12
13
14
15
16
17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