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세금·세무
자격증
경제
프리랜서는 소득신고 어떻게 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남궁찬호 세무사입니다.소득을 지급하는 자가 3.3% 원천징수하고 소득을 받으면 사업소득자에 해당합니다.이 경우 다음연도 5월말 종합소득세 신고납부를 해야합니다.수입이 크지않아 홈택스에서 셀프로 간단히 해도 환급이 나올 것으로 보입니다.
세금·세무 /
종합소득세
22.08.18
0
0
부모님 증여 상한액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남궁찬호 세무사입니다.질문에 답변드립니다.부모 합산 5천만원까지 증여세 없이 증여할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
세금·세무 /
취득세·등록세
22.08.18
0
0
먹방비제이는 음식값을 소득공제 받을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남궁찬호 세무사입니다.먹방비제이의 음식값은 사업에 직접 사용한 경비에 해당되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따라서 사업의 필요경비에 해당합니다.
세금·세무 /
종합소득세
22.08.17
0
0
사업소득은 다 원천징수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남궁찬호 세무사입니다.일반적인 사업소득자는 다음연도 5월 말에 종합소득세를 신고납부합니다.예외적으로 프리랜서와 같은 인적용역 사업소득자들이 매월 사업소득을 지급받으면서 3.3% 원천징수하는 것입니다.3.3% 사업소득자의 예로는 학원강사, 보험모집인, 작가, 모델 등이 있습니다.이들 사업소득자들은 매월 소득을 지급받을 때 3.3%를 떼고 지급받게 되는데 미리 소득세를 납부하는 것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일반적인 사업소득자와 마찬가지로 다음연도 5월 말에 1년간 소득과 각종경비, 소득공제, 세액공제를 반영하여 정산한 후 이미 원천징수로 납부한 세액과 비교하여 추가 납부 또는 환급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세금·세무 /
종합소득세
22.08.17
0
0
부모님 부동산 매매에 필요한 돈을 차용증 쓰고 지원해드릴때 기간은?
안녕하세요. 남궁찬호 세무사입니다.질문에 답변 드립니다. 0. 질문에 답변드리기 전, 형식이 차용이더라도 실질이 증여라면 증여세 과세가 될 수 있습니다. 즉 부모님이 상환하지 않거나 부모님이 자력으로 원금을 상환할 만큼 경제력이 없으시다면 증여에 해당하는 것이 타당합니다.1. 증여세 없이 무이자로 금전 대여시 2.17억 정도까지 가능하며, 초과하는 경우 증여재산에 해당하여 증여세 과세문제가 발생합니다. 증여가 아닌 차용이 되기위해서는 결국 원금상환과 주기적인 이자 지급이 있어야 합니다. 질문 1과 같은 방향이라면 증여에 해당할 소지가 있습니다.2. 직계 비속이 존속을 부양하기 위하여 지급하는 생활비 상당액은 증여세 비과세입니다. 5천만원은 직계존비속간 증여세 없이 증여할 수 있는 금액입니다. 3. 해당 주택을 질문자 본인 명의로 옮기는 과정에서 양도세, 증여세, 상속세, 취득세 등 과세문제가 발생합니다. 조세부담측면에서 처음부터 질문자 본인명의로 취득하는 것이 낫다고 판단됩니다.4. 금전 대여행위 자체는 가능하지만 해당 법인에 법인세가 추가 과세될 여지가 있습니다.5. 사전증여가 없다면 약 3,500만원 예상됩니다.
세금·세무 /
취득세·등록세
22.08.17
0
0
사업소득세 법인대표가 납부하는데..?
안녕하세요. 남궁찬호 세무사입니다.사업소득자가 납부하는 것이지만 법인이 원천세 신고시 대신 납부하는 것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세금·세무 /
법인세
22.08.17
0
0
자녀 증여세 추가 신고 문의?
안녕하세요. 남궁찬호 세무사입니다.미성년자인 직계비속에게 증여하는 경우 증여공제는 2천만원인 것은 맞습니다. 이때 2천만원은 10년 이내 증여한 재산을 합산합니다. 따라서 { ( 이미 신고한 증여재산 4천만원 + 추가 2천만원 ) - 증여공제 2천 } * 증여세율 - 이미 납부한 194만원으로 신고납부하는 것입니다.
세금·세무 /
증여세
22.08.17
0
0
8월에 부가세 신고 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남궁찬호 세무사입니다.일반과세자인 경우에는 7월부터 12월까지 거래에 대해서 다음연도 1월 25일까지 부가가치세 신고납부하시면 됩니다.감사합니다.
세금·세무 /
연말정산
22.08.16
0
0
증여관련 영농자녀 조건에대한 질문
안녕하세요. 남궁찬호 세무사입니다.영농자녀 등이 증여받은 농지 등에 대한 증여세 감면 규정을 적용받기 위해서는 다음 요건을 모두 충족해야합니다.1. 증여자 요건(농지를 증여하는 자) : 농지(농지가 주거, 상업, 공업지역에 있으면 감면 불가)가 소재하는 시군구(연접지역포함) 또는 농지로부터 30km이내 거주하면서 증여일부터 소급하여 3년 이상 계속 직접 영농에 종사할 것2. 수증자 요건(농지를 받는 자) : 증여일 현재 성년자로 증여세 신고기한까지 농지가 소재하는 시군구(연접지역포함) 또는 농지로부터 30km이내 거주하고 직접 영농에 3년 이상 종사할 것1. 아르바이트를 한다고 무조건 감면을 받을 수 없는 것은 아니나 수증자 본인이 직접 영농에 종사하지 않았다고 볼 만한 수입이 발생하는 타소득이 있다면 감면 대상이 아닙니다. 단시간, 소액 아르바이트는 감면요건 충족에 문제가 없다고 판단됩니다.2. 아르바이트 지역이 다르더라도 문제는 없을 것으로 판단되나 거주는 해당 농지가 있는 시군구 또는 그 연접한 지역 또는 그 농지로부터 30km 이내에서 하여야 합니다.증여세 감면은 구체적 사실관계를 충분히 검토해야할 사항이기 때문에 의사결정 전 반드시 세무사와 개별상담하시길 바랍니다.
세금·세무 /
양도소득세
22.08.16
0
0
증여받은 토지의 취득가액금액에 대해
안녕하세요. 남궁찬호 세무사입니다.증여로 취득한 토지의 취득원가는 증여신고가액입니다. 따라서 취득가액을 높일 방법은 따로 없습니다.증여 신고 前 단계에서 해당 토지 양도시점의 양도소득세까지 고려하여 계획을 세웠어야 합니다.
세금·세무 /
양도소득세
22.08.16
0
0
1135
1136
1137
1138
1139
1140
1141
1142
11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