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채소와 과일을 나누는 기준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나무에 달려있는 가지는 과일인가요??가지 같은 경우에는 기후 조건이 맞는다면 여러 해에 걸쳐서 살 수가 있어 나무처럼 목질화가 되기는 하지만 가지는 나무와 같은 특징을 갖진 않고 일반적인 초본성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나무가 아니고 채소에 해당 합니다. 그럼 가지나무와 외관상 비슷한 포도는 야채인가요??아니에요. 포도는 나무가 맞아요. 가지와 포도나무가 외관상으로는 비슷해 보이지만 포도는 나무의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포도는 나무가 맞고 그래서 포도는 과일에 해당이 됩니다. 바나나는 나무에서 열리는 것일까요??겉으로 보기에는 나무처럼 보이지만 초본성 식물이에요. 그렇지만 우리나라에서는 바나나를 과일로 보고 있어요.바나나는 나무가 아닌 풀에서 열려요. 이때문에 바나나는 채소로 분류 될 수 있지만 1년생이 아니라 다년생이므로 과일로도 분류가 된다고해요. 딸기딸기 같은 경우에는 국내에서는 채소로 보고 있지만 미국 같은 경우 딸기를 채소로 보지 않고 과일로 보고 있어요
학문 /
생물·생명
22.12.17
0
0
원심력과 구심력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구심력 (Centripetal Force) ☞ 중심력 참조 - 원운동하는 물체가 원형 궤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힘 . 원 중심 방향으로 작용하며, 물체의 직선 운동 방향을 바꾸는 힘 .. 원운동 물체에서 원의 중심방향으로 작용하는 일정 크기의 힘 * 구심력이, 원운동을 유발시키는 힘 임 . 만일 구심력이 없으면, 원운동하던 물체도 직선 운동을 하려 함 ☞ 구심 가속도 참조 ㅇ 원심력 (Centrifugal Force) - 구심력과 크기는 같고 방향은 반대 * 원심력은, 구심력에 대한 반작용으로써, 원운동 물체가 발휘하는 힘 임 ☞ 뉴튼의 제3법칙 참조
학문 /
물리
22.12.17
0
0
식물도 인간처럼 면역시스템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감기에 걸리면 콧물, 재채기, 고열, 몸살 등의 증상이 나타나요. 그러나 이건 우리 몸이 감기에 대응하기 위해 열심히 싸우고 있는 증거예요. 다시 말해 나쁜 바이러스나 세균을 내보내려고 재채기를 하고, 이물질을 씻어 내기 위해 콧물을 흘리는가 하면, 세균과 더 잘 싸우기 위해 체온이 올라가는 거예요. 온몸이 쑤시고 아픈 건, 지치고 힘든 몸을 쉬게 해 병균과 잘 싸우기 위함이고요. 이처럼 우리 몸이 외부에서 들어오는 병원균에 스스로를 보호하는 방어 시스템을 ‘면역’이라고 해요. 우리 몸은 어지간한 세균이나 바이러스에는 스스로 저항해서 이겨낼 수 있도록 면역 시스템이 잘 만들어져 있어요. 그 중 태어날 때부터 갖고 있는 면역 시스템도 있고, 나중에 백신을 통해서나 병을 앓은 후에 얻게 되는 면역도 있지요. 한편, 면역은 심한 자극을 받아도 예민하게 반응하지 않는 ‘무감각 상태’를 나타낼 때도 쓰여요.
학문 /
생물·생명
22.12.17
0
0
버스나 배를 탈때 멀미가 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보통 속귀의 전정기관 기능들이 정상이라 하더라도모든 사람들은 배를 탄다던가 혹은 비행기를타더라도 멀미 증상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그리고 이러한 멀미 증상은 사실 남성 보다는여성에게서 두 배 이상 흔히 나타난다고 볼 수 있어요.그래서 오늘은 멀미가 나는 이유와 대처 방법에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일단, 멀미가 나는 원인을 알아볼까요?특정한 감각이 너무 과하게 자극이 되거나 혹은전달되는 정보 사이에 혼란이 생기면메스껍다거나 혹은 구토나 어지럼증을 동반하는멀미가 발생되는 경우도 발생합니다.보통 사람들이 대부분 멀미를 느끼는 어지럼증을찾아보자면 가장 흔한 예로, 안경을 처음 착용했을때라볼 수 있는데 이렇게 안경을 처음 착용했을 땐 아무래도중심을 잡아주는 기능 자체에 잠시적으로혼란이 생기기때문에 뇌의 보상작용에 의해서어지럼증이 생길 수 있지만 이 어지러움증은금방 없어지니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학문 /
기계공학
22.12.17
0
0
수박이 차면 더 달아지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온도가 낮아지면 과일속 과당의 알파형은 베타형으로 바뀌게 되는데, 이것이 적당히 차가워진 과일이 일반적으로 더 단 이유입니다.이는 우리 실생활속에서 누구나 느껴본 경험일 것입니다.하지만 과일을 너무 차게하면 혀의 감각세포가 둔해져 오히려 단맛을 느끼지 못한다고 하네요.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2.17
0
0
미끄럼틀을 탈 때 엉덩이가 뜨거워지는 과학적인 현상?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나무 도막을 아주 작은 힘으로 잡아당기면 나무 도막이 움직이지 않는다. 나무 도막과 바닥 면 사이에 나무 도막의 운동을 방해하는 힘이 작용하기 때문이다.이렇게 물체가 어떤 면과 접촉하여 운동할 때 그 물체의 운동을 방해하는 힘을 마찰력이라고 한다.
학문 /
물리
22.12.17
0
0
북쪽에서 바람이 불면 겨울에 왜 추운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북풍은 북쪽에서 불어오는 바람이야. 바람의 이름은 바람이 불어오는 쪽을 기준으로 붙이거든. 북풍은 북쪽에서 남쪽으로 불어오는 바람이고, 남풍은 그 반대지.북쪽을 보고 서 있다고 상상해 봐. 그때 찬바람이 얼굴을 향해 불어온다면, 그게 바로 북풍이야. 그러면 북서풍은 어느 쪽에서 불어오는 바람일까? 그래, 북서쪽에서 불어오는 바람이야.이렇게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을 '풍향1)'이라고 해. 우리나라에는 겨울에 북서풍이 불어. 북서풍은 우리나라의 북서쪽에 있는 시베리아 쪽에서 불어오는 바람을 말하지. 시베리아 지역은 춥고 건조해. 그래서 그곳에서 불어오는 바람도 무척 차갑고 건조하지.그리고 속도도 아주 빨라. 여름에는 태평양 쪽에서 남동풍이 불어와. 태평양은 시베리아보다 훨씬 따뜻한 곳이야. 또한 바다인 태평양에서 습기를 머금고 불어오는 바람은 수증기2)가 많고 아주 포근하지.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2.17
0
0
탄소중립이 필요한 시점인데요 탄소중립이 되어가고있는지는 어떻게 확인하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탄소 중립을 실천하기 위해정부가 탄소중립 사회로의 전환을 위해 생활 속 온실가스 줄이기에 대한 구체적인 실행정보를 담은 '탄소중립 생활 실천 안내서'를 2021년 8월 5일 발간했습니다.이번 안내서는 국민들이 온실가스 저감 실천에 대한 필요성을 공감하고, 쉽게 따라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수칙을 제시하고, 이행 방법을 알려줍니다.국내외 사례 조사 결과를 토대로, 지난 3월 '국민생각함*'을 통해 실시한 생활 속 온실가스 줄이기 실천 설문조사 결과와 전문가 자문 등을 토대로 개발됐습니다.최종적으로 탄소중립 청년 응원단(서포터즈), 시민단체, 지자체, 교육청, 관계부처 등의 의견수렴을 거쳐 81개 수칙과 시설개선 등의 부록 내용을 담았습니다.안내서는 가정편, 학교편, 기업편 등 3개 부문별로 실천 주체를 나눠 탄소중립 정책과 연계하여 ▲에너지 ▲소비 ▲수송 ▲자원순환 ▲흡수원 등 5대 분야에서 실천할 수 있는 수칙으로 구성됐습니다.'가정편'은 개인과 가정에서의 생활 실천수칙이 중심이며, '학교편'에서는 실천을 위한 교육 요소를 담았다. '기업편'에는 지속가능경영, 사회적 책임(CSR)과 연계할 수 있는 공익활동 요소를 포함했습니다.공통적으로는 실천 방법, 온실가스 감축 효과 및 관련 사례, 정부지원제도 등 생활 실천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정보도 수록했습니다. 특히, 인식과 행동 개선뿐만 아니라 적극적인 친환경 시설 개선을 통해 더 많은 온실가스를 저감할 수 있도록 '시설 개선' 부문을 부록으로 추가했습니다.
학문 /
화학
22.12.17
0
0
현제 실제적으로 우주에 나가서 근무하는 사람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러시아 우주 정거장에 사람이 근무 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2.17
0
0
계절은 왜 계속 돌고 도는 것일까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일단 지구는 스스로 자전하는 동시에 1년에 한 바퀴씩 태양의 둘레는 도는 공전을 합니다. 그런데 지구가 자전을 하는 축은 지구가 공전하는 축에 대해서23.5도 기울어진 채 태양 주위를 공전을 하기 때문에계절이 생기는 거예요.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2.17
0
0
379
380
381
382
383
384
385
386
3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