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학문
일본이라는 국호의 시작은 중국중심의 세계관의 결과라는데 맞나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저도 찾아봤는데 그걸 입장할만한 내용은 없는 것 같습닌다. 삼국사기의 신라본기에 일본이란 국호가 처음나오고, 701년 다이호율령으로 공식적으로 일본이됩니다. 이거는 왜라는 말이 작다, 추하다 라는 의미도 있어서 바꾼 것이지 중국중심의 세계관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건 잘 모르겠습니다ㅠ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3.07.25
0
0
송나라는 역대 중국 제국과 달리 왜 이리 군사력이 약했나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과련 기록물은 '송사'등을 들 수 있는데, 약한건 사실로 얘기되고 있습니다. 송나라는 군사비가 너무 많이 들어 군사비를 엄격히 관리하고 군인을 억압해서 정치를 강화했습니다. 나라각지에 있는 준군사집단이라 할 수 있는 절도사들을 없앴습니다. 그래서 송나라는 문화적으로는 많이 발전했지만 군사력은 약하다고 말합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3.07.25
0
0
만리장성이 정말로 진시황의 명령으로 전부 쌓은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진시황때 다 지어진 것은 아닙니다. 그때 흉노족을 막기위해 시작한 건 맞는데, 당시에도 있었던 기존 성곽을 활용해서 잇고 채우고 보수하고 신축하고 해서 이 과정이 명나라때까지 이어졌다고 합니다. 역사학자에 따라 30만명 정도가 동원되지 않았나 추측도 하고요. 노예 죄수를 강제로 동원했다고도 말합니다. 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3.07.25
0
0
고구려는 왜 평양성으로 천도했나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일단 위치적인 면이 있습니다. 국내성은 내륙쪽이고 또 고구려 영토가 확장되기 전에 수도라서 확장된 후에는 중앙과 좀 떨어지는 위치가 되었습니다. 그리고 국내성이 산악지대라 군사방어적으로는 괜찮았는데, 농업적으로는 안좋았습니다. 그래서 평야지대도 있고 땅도 비옥한 평양으로 옮겼습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3.07.25
0
0
자동차 행사가 열리는 굿우드하우스의 소유주인 리치몬드 공작은 누구인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리치몬드 공작(찰스 헨리 고든-레녹스)은 영국 귀족이자 자동차 애호가입니다. 1993년부터 굿우드 하우스에 있는 저택 앞마당에서 세계적인 자동차 축제인 굿우드 페스티벌 오브 스피드를 주최하고 있습니다. 모든 시대의 클래식 자동차는 물론 최신 슈퍼카와 경주용 자동차를 전시하고 힐클라임 코스를 달리는 자동차 경주를 관람할 수 있는 자동차 애호가들의 메카로 자리 잡았습니다.굿우드 하우스에서 열리는 자동차 행사의 역사는 리치몬드 공작의 할아버지인 제9대 리치몬드 공작 프레드릭 찰스 고든-레녹스(Frederick Charles Gordon-Lennox)가 비행기와 자동차에 대한 열정을 갖고 굿우드 저택에 비행장과 서킷을 건설한 데서 거슬러 올라갑니다. 하지만 2차 세계대전 이후 안전 문제로 공식 레이스가 열리지 못했고, 이 부지는 쇠락의 길을 걸으며 잊혀져 갔습니다. 굿우드를 되살리고 싶었던 제11대 리치몬드 공작은 자신의 영지에서 특별한 자동차 축제를 개최하기로 결정했습니다. 그래서 지금의 세계 최대의 자동차 축제로 성장한 굿우드 페스티벌 오브 스피드가 탄생했습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3.07.25
0
0
아관파천이 일어나게 된 계기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일본군들이 경복궁을 습격하고 왕비를 시해한게 1895년 을미사변입니다. 이 때 부터 고종은 불안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그리고 사실상 거의 궁에 가둬진 상태라고 봐도 무방했습니다. 그래서 당시에 기댈 수 있었던 러시아로 거처를 옮겼습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3.07.25
0
0
언제부터 우리나라 사람들은 상투를 자르고 한복을 입지 않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개화기(1800년대 후반에서 1900년대 초반 정도) 이후에 점점 한복은 양복으로부터 밀렸다고 합니다. 공업화되고 도시화되면서 농경사회에 맞던 한복보다는 직장을 다니고 할때 더 실용적인 양복으로 점점 바뀌었습니다, 그리고 나중에 섬유산업이 발달하고 산업혁명에 의해 대량생산이 가능해지면서 옷이 좀더 싸지고 해서 더 가속화 되었다고 볼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3.07.25
0
0
외국에서 우리나라를 언제부터 '코리아'라고 부르기 시작한것일까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가 고려일때 서양에 알려져서 이게 당시 Corea로 알려지고 영어권에서 K로 바뀌어서 Korea가 되었습니다. 이때가 19세기 후반정도입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3.07.25
0
0
요즘 신냉전기라고 합니다. 과거 미국과 소련의 냉전기였는데 지금은 미국과 중국의 신 냉전기라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일단 과거의 미소련 냉전은 자본주의 사회주의 대립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데올로기 측면이 강했습니다. 근데 지금은 미국 중국 누가 더 실질적인 이익을 거두냐는 실리적인 측면이 강합니다. 그리고 미소련은 서로 대립이었다면 지금은 세계 1등 미국에 중국이 도전하는 느낌이 강합니다. 과거 미소련은 과학기술로도 대립해서 우주과학 대결도 했는데 지금은 그런거 보다는 미국의 달러화의 위상에 중국이 도전하고 전기차시장에서 또 대결하는 등 경제적면의 대결이 강합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3.07.25
0
0
절에서 모시는 부처님(불상)은 세계공통인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아닙니다. 일단 시작은 불교의 창시자 석가모니(고타마 시드다르타)를 그리고 조각한 인도에서부터 시작됐지만, 다른 나라로 퍼지면서 그나라 문화에 맞게 조금씩 바뀌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중국은 웃상이 많고 일본은 좀 날씬한 편입니다. 이런 느낌으로 각각 그나라가 생각하는 부처님의 모습이 조금씩 반영되어 현재는 세계 각국의 부처님들이 조금 다를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미술
23.07.25
0
0
28
29
30
31
32
33
34
35
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