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자본화 차입금이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혹시 자본화 차입금을 잘못 사용하신게 아닐까 생각됩니다.일반적으로 차입금을 자본화한다는 말은 돈을 빌려줬던 채권자가 돈을 받지 않고 빌려준 회사 즉 차입금이 있는 회사의 주식으로 받아가는 것을 의미합니다.주식시장에서 제일 많이 사용되는것은 주식매수권을 옵션으로 추가한 CB의 경우인데요. CB 즉 채권을 발행해서 돈을 빌렸지만 XX가격에 주식으로 전환할 권리를 부여해서 주식으로 전환되기 전까지는 부채로 잡히지만 주식으로 전환하게 되면 주식이 추가 발행되며 자본화가 되고 부채는 사라지게 됩니다.좋은하루 되세요!
경제 /
대출
22.08.23
0
0
잭슨홀 회의는 무엇을 의미하나요?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잭슨홀 미팅은 미국 연방은행인 캔자스시티 연방은행이 매년 8월 주요국 중앙은행 총재 및 경제전문가들과 함께 와이오밍주의 휴양지인 잭슨홀에서 개최하는 경제정책 심포지엄을 이야기하게 되며, 1년에 한번 8월달에 개최됩니다. 이 심포지엄에는 은행가, 학계, 재무장관 등 저명한 인물들이 참석하여서 경제문제나 주식,통화문제 전반에 대한 공개 토론을 하고 허용되는 심포지엄이며 참가인사들의 입에서 나오는 내용과 어느 쪽의 말이 더 받아들여졌는지 등의 것들이 크게 영향을 미칠수 있습니다.좋은하루 되세요!
경제 /
경제동향
22.08.23
0
0
한국의 태양광과 풍력업의 인플레감축법 수혜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바이든 대통령이 시행한 인플레이션 감축법에는 탈탄소와 풍력 태양광 배터리 그린수소 산업의 미국 내 생산 확대등을 위해 3천 740억달러(한화 502조원)를 지원한다고 발표했습니다.그 중에서 풍력태양광 부문 지원액은 300억달러(약 40조원)에 이르며, 한화솔루션은 미국태양광 모듈 시장 점유율 1위로 이 인플레이션감축법에 의해서 매년 2억달러이상의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수 있기 때문입니다.좋은하루 되세요!
경제 /
경제정책
22.08.23
0
0
미ㆍ 연준의 통화 정책 방향이 궁금합니다ㆍ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미 연준의 현재 목표는 2%대의 인플레이션수준에 도달하는 것이며, 2%대의 인플레이션률에 도달하기 위해서 연준이 얘기하고 있는 금리 수준은 내년 상반기까지 4%중반까지입니다.그렇기 때문에 현재 상황에서는 내년 상반기까지는 금리인상속도가 조절될 가능성은 낮아보이며, 만약 미국의 CPI지수가 빠르게 낮아지게 되거나 혹은 상상하기 힘든 경기침체가 온다면 금리인상속도가 완화될 가능성도 있습니다.하지만 내년까지는 금리인상속도가 조절되기는 힘들 것으로 판단됩니다.좋은하루 되세요!
경제 /
대출
22.08.23
0
0
미국 국채 금리와 경제의 연관성?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미국국채금리의 상승에 따라서 시중에 유통되는 자금의 흐름을 거두어들일지 혹은 풀지가 결정되며이에 따라서 인플레이션율의 수치를 조절하게 됩니다.과정을 풀어보면인플레이션에 대한 상승예측 -> 명목채권에 대한 인기가 떨어짐 -> 명목채권 입찰 경쟁률 저하 및 명목채권의 가격 인하-> 채권의 가격인하=채권금리(수익률) 상승현재처럼 인플레이션이 상승하는 시기에는 그래서 채권금리가 상승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됩니다.좋은하루 되세요
경제 /
경제동향
22.08.23
0
0
1주택자 주택청약통장 해지해도 괜찮을까요??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차후에 현재 보유하고 있는 주식을 매도하고 새로운 집을 청약할 생각이 없으시다면현재 주택청약통장은 해지하시고 다른 예금으로 가입하시는게 조금 더 유리합니다.현재 주탁청약통장의 금리는 1.8%로 매우 낮아서 금리적인 메리트가 없어서 투자용로는 적합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경제 /
예금·적금
22.08.23
0
0
환율이1345원을 갔네요..무섭습니다. 시장은 어찌될까요?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 증시는 단기적으로는 하락할 가능성이 높아지고,부동산시장은 장기적으로는 침체에 들어설 가능성이 높아집니다.환율의 상승은 곧 한국기준금리의 상승을 촉진시킬 수 밖에 없기때문입니다.
경제 /
경제동향
22.08.23
0
0
분양아파트 잔금대출승계 문의합니다.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주택담보대출은 담보대출로 신용점수에는 크게 영향을 받지는 않습니다.하지만 마이너스 통장은 DSR을 산출시 한도에 잡히기 때문에 담보대출을 받으시는 대출 한도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그리고 캐피탈대출의 경우는 상환하시면 곧바로 대출내역에서 사라지기 때문에 집단대출을 받으시는데는 영향이 없습니다. (전액 담보대출이라서 신용점수에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좋은하루 되세요
경제 /
대출
22.08.23
0
0
환율이 높으면 외국인들은 이득아닌가요?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지금 환율이 올라가는 것은 외국인투자자들이 국내의 금리가 낮아 해외로 자본을 가져갈려는 수요 증가 즉 달러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였기 때문인데요. 지금처럼 외국인들이 국내시장에서 빠져나가기 위한 용도는 결국 외국인투자자들도 손해를 입고 파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서 국내 시장 A주식을 사기 위해서 100만달러를 가지고 와서 1,000원의 환율로 원화로 환전하면 10억원의 원화 자본을 마련합니다. 그리고 A주식을 매수해서 10% 상승 후 매도하면 11억원의 자금이 됩니다. 하지만 해외로 자금을 이동시키기 위해서 원화를 달러로 환전하려고 했는데 환율이 1,300원이 되버렸다면 약 846,153달러를 가지고 가게 되서 결국에는 15만불의 손해를 입고 나가게 되는 것입니다.이렇게 손해를 보는 것에도 불구하고 나가는 것은 앞으로 환율이 더 오를것이라는 생각이 들어서입니다. 지금 탈출하면 15만불 손해를 보지만 1달뒤에 탈출하면 25만불의 손해볼 가능성이 높다면 지금 탈출하는게 유리한 것이지요좋은하루 되세요!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08.23
0
0
1,350원을 넘나드는 원-달러 고환율이 우리 경제에 가져올 효과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먼저 환율이 상승한다는 것은 외국인자본이 급속히 빠져나가고 있으며 국내시장의 매력도가 떨어진다는 것입니다. (미국의 기준금리 상승에 따라서 국내 시장의 매력도는 점차 내려갈 가능성이 높습니다.)그렇다면 먼저 국내 주식시장의 외국인 자본의 매도로 인한 단기적 하락이 불가피 할 것으로 보입니다.그리고 환율 상승에 따른 원자재 매입가격의 상승으로 인하여 생산원가 상승은 곧 판매가격 상승으로 이어져 국내 수출기업들의 국제 무대에서의 가격경쟁력이 악화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는 곧 영업이익의 하락으로 이어지며 심한 경우 장기적으로는 구조조정의 가능성까지 열어두어야 합니다(생산원가를 낮추기 위한 가장 쉬운방법은 구조조정) 그리고 이러한 구조조정은 실업률의 증가로 이어져 결국 국내 경기침체까지 이어질수도 있습니다.이것은 가정의 연속성을 나열한 것으로 중간에 흐름이 끊긴다면 일어나지도 않을 가능성도 높습니다.좋은하루 되세요!
경제 /
경제동향
22.08.23
0
0
1927
1928
1929
1930
1931
1932
1933
1934
19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