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육아
27개월 남자아기 물건에 집착이ㅜ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윤정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가 숟가락에 애착을 많이 가지고 있는 것 같네요. 일단은 아이가 숟가락에 집착을 하기 시작한 시기나 어떠한 일을 계기로 시작되었는지 알 수 있을까요? 그러한 행동한 계기를 먼저 알아야 단순한 물건에 집착인지 아니면은 감정보상을 받기 위한 일종의 자기 위안의 방식인질 구분 할 필요가 있어보입니다. 또한 하루에 소지하거나 찾는 빈도와 어느때 주고 더 찾는지도 알아야 이야기를 정확히 해드릴 수 있을듯합니다. 의미있는 대상이 준 것이거나 어떠한 행동의 대가 또는 슫가락을 가지고 있을때마다 기분좋은 일이 생겼거나.. 등의 이유로 집착을 할수도 있으니 한번 아이의 일상을 관찰해보시기를 권해듭니다. 보통의 경우 다른 흥미꺼리가 생기면 조금씩 집착이 줄어들수 있으니 조금 더 새로운 흥미꺼리를 찾아 보는것도 좋습니다.아이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여 정확한 답변은 드리기가 어렵습니다. 더 궁금하신 내용이 있으시면 댓글 남겨 주시면 답변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육아 /
기타 육아상담
22.11.02
0
0
아이가 대화를 잘안해서 걱정입니다.
안녕하세요. 윤정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우리 아이가 나와 소통하려 하지 않고 속으로 묵혀두는거 같아서 불안하고 걱정되시죠? 일단은 아이의 기질을 살펴보세요. 엄마아빠에게 시시콜콜한 이야기까지 쫑알쫑알 이야기하며 하루 일과를 모두 이야기하는 아이가 있는 반면에 자기에 대한 이야기를 하지 않고 조용히 지내는 아이가 있습니다. 부모님께서는 아이가 어떤 성격인지를 먼저 파악을 하시고 전자가 아닌 후자인 경우 억지로 말을 시키거나 이야기를 해달라고 강요하지 말아주세요. 어머니 하루 일과를 아이에게 이야기를 하며 엄마는 **이모랑 ###을 했는데 너무 좋았어. @@이는 오늘 뭐했니 오늘은 누구와 놀았는지 궁금해 라고 질문을 하며 단답형이 대답을 하더라도 아 그랬구나 그래서 너는 즐거웠니 아~ 속상했울꺼 같은데 어땠어? 등 아이의 기분을 물어주며 공감해주며 천천히 대화를 나눠주세요. 그래도 말하기를 거부한다면 표정을 보니 너도 기분이 좋았구나? 엄마 생각이 맞니? 등의 이야기로 조금씩 대화를 시작해보시기바랍니다. 사소한 비밀을 공유하며 꼭 지켜 달라고 하며 연대감을 심어주는것도 좋아요~ 혹시 아이에게 형제자매가 있다면 아이들과의 대화 중 자연스럽게 끼어들어 이야기 나누는방법도 좋습니다. 하지만 우리 아이가 혼자 있고 싶어한다면 가끔은 혼자만의 시간을 허락해주고 엄마에게 하고싶은 말이 있음 언제든지 이야기 해줘라고 하며 기다려주시면 좋겠어요. 답변이 되었을까 모르겠네요. 아이의 성향이나 가정환경 등을 알수 없어 자세하게 도움은 못 드린것 같네요. 추가 질문 있으시면 댓글 남겨주세요~
육아 /
양육·훈육
22.11.02
0
0
5개월 이앓이인것같은데 도움이될만한 행동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윤정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치아는 태반에서부터 형성되어 출생시에는 잇몸안에 있어서 육안으로는 잘 보이지 않아요 생후 6개월쯤부터 첫니가 나기 시작하면서 유치가 올라오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통증을 이앓이 라고 한답니다.잘 자던 아이가 울면서 자주 일어나거나 먹는 양이 줄어들고 이유없이 계속 보채기 시작하고 다른사람을 거부하고 엄마만 찾기도하고요특히 침을 부쩍 많이 흘려요. 쥘쥘~~입술을 오물오물거리거나 손가락을 빨기도 하고 .. 이런 증상이 보인다면 이앓이가 시작됐다고 보면 된답니다. 일단 이앓이 통증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차가운 치발기나 공갈젖꼭지 사용해보세요. 그리고 가재손수건이나 핑거 칫솔로 잇몸을부드럽게 닦아주고 마사지해주는게 좋습니다. 그리고 이가 나기 시작하면 몹시 가려워하며 이것저것 입에 넣고 스스로 잇몸을 자극하기도 하니 이때는 닐카롭게나 한 놀잇감들은 멀리 해주세요, 잇몸을 다칠수 있답니다. 충분한 답변이 되었는지 모르겠지만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
육아 /
양육·훈육
22.11.02
0
0
아이가 손톱발톱을 너무 뜯어요
안녕하세요. 윤정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의 연령을 모르겠어서 보편적인 방법을 알려드릴께요. 먼저 손발톱의 손질을 수시로 해주세요. 그리고 손을 이용하는 놀이나 신체 활동으로 무료한 시간이나 정적인 활동을 하는 시간을 줄여주세요. 손이 한가하고 무료하니 다른 행동이 느는겁니다. 손과 몸을 바쁘게 해주세요~ 그리고 어느정도 이해 할 수 았눈 연령이라면 위생과 연결지어 이야기를 나눠주세요. 물론 한두번으로 안됩니다. 될때까지 지속적으로 이야기하고 지도 해야 합니다.
육아 /
양육·훈육
22.10.26
0
0
유치원에서 받아오는 물건들 어떻게 처리할까요?
안녕하세요. 윤정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의 추억은 소중하죠~ 열심히 만든 것이 버려진다면 아이의 마음에도 상처가 될꺼에요. 아이에게 상자를 하나 마련해 주고 상자에 보관을 함께 해 보세요. 보물 상자 또는 상자의 애칭을 아이와 함께 지어보세요. 그리고 소중한 물건으로 상자를 채우고, 가득 채워졌을때 더이상 새로운 것을 담을 수 없으니 함께 정리를 하고 그 중에 젤 남기고 싶은거 한두개만 남기고 나머지는 정리 하는걸로 해요. 다 정리하고 새로 담는곳도 좋습니다. 대신 상자에서 뺀 것들은 사진으로 남겨서 사진을 보관하면 부피도 줄고 추억을 보을 수도 았답니다. 단, 아이와 대화를 통해 약속을 하고 함께 정리 하세요. 그럼 즐거운 추억 많이 남기세요~^^
육아 /
놀이
22.10.26
0
0
7살아이 저녁에빨리재우는방법있을가요?
안녕하세요. 윤정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일단은 분위기가 중요합니다. 부모나 다른 형제는 잘 준비를 하지 않으면서 아이만 재우려 한다면 당연히 짐들려고 하지 않습니다. 조명을 낮추거나 자장가를 트는 등 잠들 분위기를 만들어주시고 잠들기 전에는 격한 운동이나 신체 활동은 피해주세요. 조용히 잠자리 동화를 읽어주거나 내일의 일과를 알려주는 등의 대화를 나누면서 천천히 잠들게 해주세요~ 잠을 편히 충분히 자야 짜증도 줄고 다음날 활기차게 지냘수 았답니다.
육아 /
기타 육아상담
22.10.26
0
0
6개월 아기 등대고 잠자기
안녕하세요. 윤정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가 뒤집기를 하는 것은 보통의 정해진 개월수가 있으나 아이가 등을 대고 자는것이 습관으로 아이가 편한 자세로 자게 되는것입니다. 보통 가슴 부위를 살짝 눌러주면 안정감을 갖는데 옆드려 자면서 유독 편안함을 갖는듯하네요. 자세를 고쳐주며 재우거나 잠이 들면 자세를 고치고 베개 등을 가슴 부위에 올려주어 살짝 무게감을 주는것도 좋습이다. 또한 베고 자는 베개도 너무 푹신하지 않은 것으로 골라 엎드려 자도 코나 입이 파묻히지 않도록 해주세요. 그리고 아이가 잘때에도 눈을 떼지 않고 호흡이 일정한지 봐 주시는 방법으로 케어를 해서 사고를 방지 하도록 해주세요.
육아 /
양육·훈육
22.06.22
0
0
소변을 제때 보지않아 옷입은채 소변 보는 행동
안녕하세요. 윤정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가 놀이를 지속하고 싶거나 집중을 했을때 보통 아런 소변실수를 하게 됩니다. 일단 놀이를 멈추더라도 다시 시작하고 지속 할 수 있음을 알리고 시간마다 화장실을 가도록하고 지도 해 주세요. 내가 놀이를 중단 했을때 다시 못 할수도 있다는 마음에 참고 놀이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또한 혹시 화장실이란 공간이 아이에게 두려움을 주지는 않는지 소변을 볼때 성기부위가 아프진 않는지 등 다양한 불편 요소들도 살펴주셔야 합니다. 공간에 대한 두려움이라면 요소를 없애주거나 함께 가는 것도 방법이며, 소변 배출시 통증이 있어 참다가 하는 실수라면 염증이나 상처 여부등 병원 진료를 통해 근본적인 해결이 필요합니다.심리적인 이유로 변화된 환경요인이나, 양육자와의 분리 등의 불안감을 느낄때도 실수를 하기도 하니 일단아이의 불편 사항이 무엇이며 심리상태가 어떤지 세심한 관찰을 우선 하시기 바랍니다.
육아 /
기타 육아상담
22.06.22
0
0
4살은 왜 말을 안듣는거죠?????
안녕하세요. 윤정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영영아기의 아이들은 스스로 할 수 있는 것이 적기 때문에 성인(주양육자)에게 의지를 하죠. 그래서 어른들은 말을 잘 듣는다고 착각(?)을 하죠.그런데 만1세~2세로 넘어가면서 자기 중심적 사고를하며, 스스로 할 수 있는 일들이 많아지면서 자신이 하고자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그래서 고집도 늘고 말을 안 듣는다고 표현을 하죠.할수 있는 일들이 많아졌고 스스로 하고 싶어하는 것들을 인정해 주고 기다려준다면 미운 4살이 아닌 멋진 4살을 기대할 수 있지 않을까요? ㅎㅎ
육아 /
기타 육아상담
22.01.03
0
0
두돌지난 아이 훈육은 언제부터가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윤정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훈육에 대한 부분은 개인 마다 방법과 정도의 차이가 크기때문에 글쓰신분이 말씀하시는 훈육의 정도가 가름되질 않네요. 일단은 어떤 상황에서든 일관성 있는 부모의 태도가 중요합니다. 그리고 아직 선악의 명확한 구별이 어렵기 때문에 아이는 부모의 태도를 보고 행동을 하게 되므로 어떤 상황에 대한 두 부모의 동일한 태도도 중요합니다. 다만, 아이가 죄책감이나 좌절을 느끼게 하지는 말아야 합니다.예시 상황이 있다면 구체적인 방법 제시가 쉬웠을텐데 훈육의 범위가 너무 방대해서 적절한 답변이 어려워서 도움이 되실런지 모르겠네요. 필요하시면 다시 문의 주세요
육아 /
양육·훈육
21.12.24
0
0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