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고용·노동
자격증
1년에 월급이 몇 %씩 오르는지 궁금해요.
월급을 반드시 인상시켜야 하는 법적인 의무는 없습니다. 다만, 최저임금보다 적게 지급해서는 안됩니다. 따라서 월급이 최저임금보다 많다는 전제 하에 기존 월급 동결 내지 근로자 동의 하에 삭감도 가능합니다.
고용·노동 /
임금·급여
24.05.04
0
0
주 35시간 근로자(단시간 근로자가 아닌 통상근로자)가 5시간 연장 근무를 했을 때 주휴수당 가산 여부
주휴수당은 소정근로시간을 기준으로 하므로 주휴수당을 추가로 지급할 필요는 없습니다. 따라서 토요일 5시간 근무 대한 연장가산수당만 추가로 지급하시면 됩니다.
고용·노동 /
임금·급여
24.05.03
0
0
어린이날 아르바이트 급여 질문있습니다
5인 이상 사업장인 경우 휴일가산수당이 발생합니다. 8시간 이내의 휴일근로는 통상임금의 1.5배 8시간을 초과한 시간부터는 연장가산까지 더하여 2배가 적용됩니다.
고용·노동 /
임금·급여
24.05.02
5.0
1명 평가
0
0
하루 근무하는 근로자도 근로계약서작성 해야 하나요
일용직 근로자에게도 근로계약서 작성 의무는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임금, 소정근로시간 등 주요근로조건을 구체적으로 작성하여 해당 근로자에게 교부하시면 되겠습니다.
고용·노동 /
근로계약
24.05.01
5.0
1명 평가
0
0
무기계약직은 몇살까지 근무가 가능한건가요??
정년 나이는 회사마다 다르게 규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고령자 고용법상 회사에서 만 60세 미만으로 정년을 규정한 경우에도 만 60세를 정년으로 정한 것으로 봅니다.
고용·노동 /
기타 노무상담
24.05.01
0
0
근로자가 퇴사의사를 밝혔는데 사직서를 제출하지 않고 통화가 안되는 경우 어떻게 처리하나요?
노동관계법령상 퇴사 시 사직서 제출 의무 규정은 없습니다. 따라서 근로자가 구두로 사직의사를 통보하여도 유효하게 사직처리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직서를 수령하지 않는 경우 추후 근로관계 종료와 관련한 분쟁이 발생할 수 있으니 가급적 사직서를 수령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고용·노동 /
기타 노무상담
24.05.01
0
0
퇴사를 할 때 연차를 금전으로 다 보상받을 수 있나요?
연차유급휴가를 퇴사 시까지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 미사용분에 대하여 금전으로 보상해주어야 합니다. 미사용한 연차를 금전으로 보상하지 않는 경우 임금체불에 해당합니다.
고용·노동 /
기타 노무상담
24.05.01
0
0
근로자의날인 5월 1일 근무할경우 질문입니다.
근로자의 날 근로를 제공하는 경우 휴일가산수당이 지급됩니다. 8시간 이내 근무 시 통상시급에 1.5배, 8시간을 초과한 시간부터 2배가 적용됩니다.
고용·노동 /
임금·급여
24.05.01
0
0
퇴직금은 근무시간 상관없이 입사일로부터 계산하나요?
퇴직금은 1주 소정근로시간 15시간 이상인 근로자가 1년간 계속근무한 경우 발생합니다. 소정근로시간이 1주 20시간으로 1년 이상 근무하셨다면 퇴직금이 발생합니다.소정근로시간은 근로기준법 제17조 제1항 제2호에 정한 근로조건으로서 변경 시 근로계약서를 재작성해야합니다.
고용·노동 /
임금·급여
24.04.30
0
1
근로자의 날에는 수당을 얼마나.더빋을수 있나요?
5인 이상 사업장의 경우 휴일가산수당이 발생하여 근로자는 근로제공 시 통상임금 1.5배를 가산하여 임금을 지급받게 됩니다. 사용자가 가산수당을 지급하지 않으면 임금체불에 해당합니다.
고용·노동 /
임금·급여
24.04.30
0
0
1
2
3
4
5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