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연어들은 왜 귀소본능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연어가 민물 혹은 바닷물에 살기 위해 삼투조절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담수어는 몸 밖인 민물의 농도가 낮으므로 보다 농도가 높은 몸 안으로 물이 들어옵니다. 그래서 몸 속에 물이 너무 많아지는 것을 막기 위해 최대한 수분은 내보내고 염분은 흡수합니다. 반대로 해수어는 바깥인 바다가 염분이 더 높기 때문에 몸 속의 수분이 밖으로 빠져나갑니다.귀소 본능은 각인에서 비롯된다고 분석하고 있습니다. 태어난 곳을 본능적으로 찾아가는 행위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1.01
0
0
같은 온도로 끓였는데 커피보다 녹차가 더 뜨겁게 느껴지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먹는 방식의 차이가 아닐까 합니다. 커피는 일반적으로 내려먹기 때문에 그만큼 열손실이 발행하는게 아닐까요?만약 믹스 커피를 말씀하신다면 녹차 티백에 비해 믹스커피에는 다른 물질들이 더 함유 되어 있고 우러나는 녹차와는 달리 녹여야 하는 믹스커피가 아무래도 열 손실이 생겨 덜 뜨겁다고 느껴지는것 같습니다.
학문 /
화학
23.01.01
0
0
과학현상 삼투압현상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삼투압은 쉽게 말해서 고립되어 있지 않는 양쪽이 평형을 맞추기 위해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학문 /
물리
22.12.26
0
0
과학분야에서 표면 장력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액체상의 물질은 자유로이 팽창할 수 없으므로, 다른 액체나 기체와의 사이에 표면을 생성하게 됩니다. 이 때 액체표면에 존재하는 장력을 표면장력이라 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2.26
0
0
언어에 따라 발성의 차이가 생기나요?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언어에 따라 발음할 수 있는 발성 자체가 달라집니다. 일본말의 경우 150 여개의 발음이 가능하고 영어의 경우 230여개정도가 가능하다고 합니다. (정확하지 않지만 대략 이정도라고 합니다.)본인의 모국어의 발음대로 굳어지다 보니 다른 언어를 표현할때 본인 언어의 발음을 기반으로 하다보니 발성도 달라지는 것입니다. 참고로 한글은 2000개 넘게 가능하다고 합니다.
학문 /
화학
22.12.26
0
0
소금이 만들어지는 과정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바닷물을 염전에 가둬두고선 수분을 증발 시키는 것입니다. 그렇게해서 조금식 소금이 생기기 시작하면 한쪽으로 소금을 몰아물이 좀더 빨리 증발되게 하고 최대한 증발된 염전에서 소금을 떠서 최종 간수를 빼는 작업을 진행합니다.
학문 /
화학
22.12.26
0
0
아세톤 관련된 궁금증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아세톤은 화학물질로써 수용성입니다. 특유의 취를 갖는 무색의 액체이지요. 아세톤 성분이 스티커등에 사용되는 물질을 녹일수 있게 때문에 지울수 있는것입니다.
학문 /
화학공학
22.12.26
0
0
달은 태양보다 훨씬 작은데 왜 일식이 일어날 때 태양이 달에 가려지나요?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달은 태양보다 훨씬 작지만 태양은 달보다 지구에서 훨씬 멀리 떨어져 있습니다. 우리가 손가락으로 눈을 가릴경우 손가락 보다 훨씬 큰 건물도 가릴수 있는것과 같은 이유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2.26
0
0
주유시 정전기 패드는 어떤원리인가요?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정전기는 전하가 흐르지 않고 머물러 있는 상태를 뜻합니다. 정적인 전기이지요. 몸에 있던 전자가 패드를 통해 선을 타고 빠져나가게 하는 원리 있니다. 머물로 있던 전하를 제거하여 주는 것이지요.
학문 /
기계공학
22.12.26
0
0
과학 용어 파장의 정의는 무엇일가요?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파장이란 공간을 진행하는 파동의 형태가 주기적으로 반복된 모양을 나타내는 구간의 길이를 말합니다. 파장의 SI단위는 길이의 단위와 같은 미터(m)이며, 파장의 마루(가장 높은 변위)가 인접하는 다른 마루를 형성할 때까지 진행한 거리, 또는 골(가장 낮은 변위)과 골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여 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 파장은 진동수, 진폭 등과 함께 파동의 공간적 특성을 기술하는 데 중요한 물리량이며 수식에서는 주로 람다로 표기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2.26
0
0
577
578
579
580
581
582
583
584
5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