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약·영양제
학문
추운곳에서 열량이 많이 소모되나요?
안녕하세요. 조진우 약사입니다.우리몸에서는 활동 및 체온을 유지하기 위한 에너지를 만드는 사이클이 있습니다.그것은 체내의 미토콘드리아에 있는 '세포호흡'과 그 결과로 에너지가 생성되면서 활동을 위한 ATP에 에너지로 저장되고 나머지는 열에너지로 되어 체온 유지를 하는데 사용됩니다.추운곳에서는 체온의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해 아무래도 몸에서 열을 계속 내야하기때문에 세포호흡을 하게 됩니다.땀이 나는것은 이와 반대작용으로 몸의 체온이 올라가면 다시 일정 체온으로 유지하기 위해 몸의 수분을 이용해 몸을 식히는 작업입니다.다이어트 관련하여 인터넷 기사에 있는 연구들을 보니 다음과 같은 글들이 있어 공유 드립니다. 1) "15분 추위노출 = 1시간 운동효과" ( 호주 시드니 대학의 폴 리 박사의 연구결과 발표내용)이 내용은 위 말씀드린 체온 유지를 이해 세포호흡을 하는 것과 연관되어 있습니다.하지만 반대로 이와 반대되는 기사도 있습니다.2) "추운 곳보다 따뜻한 실내에서 운동해야 살 빠져" ( 영국 대학 연구팀 발표)이는 온도에 따라 식욕 촉진하는 호르몬 그렐린의 혈중농도에 영향으로인한 발표입니다.위의 두 기사는 서로 반대되는 내용처럼 보입니다만, 각각 요인이 다르기 때문에 둘다 틀린말은 아니라고 판단됩니다.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라봅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물리
21.12.31
0
0
전자레인지에 얼음 넣어서 돌리면 왜 녹지않나요?
안녕하세요. 조진우 약사입니다.전자레인지의 작용 원리에 의해 얼음은 전자레인지에서 녹지 않습니다.전자레인지는 음식을 가열하는 원리가, 극초단파를 이용해 물 분자들을 진동 시켜음식을 데우게 됩니다.음식들은 대부분 물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전자레인지에 돌리면 데워집니다.하지만 물이 얼음과 같이 고체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라면 이야기가 달라집니다.얼음은 물 분자끼리 견고하게 결합하고 있기때문에 전자레인지의 극초단파를 맞더라도 진동하지 않습니다.쉽게 생각해서 우리가 몸을 떨면 온도가 올라가듯, 전자레인지에 의해 떨게 되어야 하는데, 얼음의 상태는 서로 결합하고 있느라 떨지 못하기 때문에 데워지지 않고 녹지 않습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화학
21.12.31
0
0
현실에서 빨갛지 않은 피도 있나요?
안녕하세요. 조진우 약사입니다.현실에도 빨간 피를 가지지 않은 생물들이 있습니다.피의 색깔을 결정하는것은 혈액 안에 들어있는 산소운반체의 구조에 따라 달라집니다.피의 색깔은 크게4개 정도로 구분되는데빨간색, 파란색, 녹색, 보라색 등이 있습니다.빨간색 피의 경우 헤모글로빈이라는 성분이 적혈구에 있고 산소의 결합 여부에 따라선홍색 혹은 검붉은 빨간색으로 보입니다.파란색 피는 갑각류, 일부 연체동물에서 나타나며헤모글로빈 말고 헤모시아닌이 들어있습니다. 헤모시아닌에는 구리가 결합합니다.산소를 흡수하면 파란색으로 보이고 산소를 잃으면 투명색으로 보입니다.다음으로 초록색 피는 클로로클루오린이라는 화합물이 있어서 초록색으로 보이고보라색 피는 많지는 않지만 헤모라이서린이 있어서 다르게 보입니다.다음과 같이 색깔이 다르게 보이는 이유는위에서 설명한 산소 운반 화합물들이 이중결합을 다량 보유하고 있어서빛을 흡광 파장을 가지기 때문입니다.물질의 고유 흡광 파장에 따라 눈에 보이는 색이 달라집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1.12.30
0
0
페닐과 페놀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조진우 약사입니다.페닐기는 작용기 입니다.영문으로 Phenyl group으로 표기되며 화학식으로는 -C6H5 (-Ph) 로 표기됩니다.페닐기 중에서 가장 단순한 화합물의 형태가 페놀 (C6H5OH) 입니다.결론적으로 '페닐기'는 '작용기'로 큰 그룹이며 R-C6H5로 R에 어떤것이 오느냐에 따라 달라지고'페놀'은 페닐기의 R 부분이 OH인 C6H5OH 인 '물질'입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화학
21.12.30
0
0
음주 후 숙취가 발생하는 이유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조진우 약사입니다.숙취의 원인에 대해 질문 주셨습니다.술은 알코올 (에탄올) 성분을 가지고 있으며,체내에서는 알코올을 분해하는 효소로 알코올분해효소(Alcohol dehydrogenase, ADH)를 통해 알코올을 분해합니다.알코올(에탄올)은 효소에 의해 1)아세트알데히드를 거쳐 2)아세트산으로 최종 산화되어 체내에서 빠져나가게 됩니다.이때 우리가 일반적으로 말하는 숙취는 아세트알데히드와 아세트산 때문에 발생을 하게 됩니다.먼저 1)아세트알데히드는 체내의 신경들 (미주신경, 교감신경 등)을 자극하여 구토 및 어지러움, 두통등을 유발합니다.다음으로 2)아세트산의 경우 산성물질로 과다하게 있을시에 속쓰림등 복통을 유발 할 수 있습니다.개인마다 가지고 있는 알코올분해효소(ADH)가 다르게 되고, 효소의 경우 분해하는데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효소가 분해할수 있는 양보다 알코올이 많이 체내에 존재하게 되면 숙취가 오래 그리고 심하게 느낄수 있게 됩니다.이런 숙취를 줄이기 위해서 숙취해소제가 개발되었습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화학
21.12.30
0
0
얼음이 물에 뜨는 이유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조진우 약사입니다.물체가 물 위에 뜨는것은 ‘부력’이라는 힘에 의해서 결정이 됩니다.물이나 공기와 같은 유체에 잠긴 물체는 중력과 반대 방향인 윗방향으로 힘을 유체로부터 받게 되고 이 힘이 부력입니다.부력에 대해서는 아르키메데스가 목욕탕에서 ‘유레카’를 외치며 알게 된것으로도 유명합니다.부력에 연관되어 있는 것은 유체의 밀도, 물체가 밀어낸 유체의 부피, 중력가속도 등이 있습니다.(자세한 식은 인터넷에 부력이라고 입력하시면 나올것입니다)이때 물체가 받는 알짜 힘은 중려고가 부력의 차이인데요.이 힘의 차이를 결정하는것은 물체와 유체(물)의 밀도 차이 입니다.유체를 물로 한정 했을때, 물과 물체의 밀도차이에 따라서 물에 뜨고 가라앉는것이 결정됩니다.물은 수소결합이라는 특수한 화학적 결합으로 인해얼음의 밀도가 물보다 작아지게 됩니다.이러한 이유로 얼음이 물에 뜨는 성질을 가집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1.12.28
0
1
불은 액체인가요 고체인가요 기체인가요?
안녕하세요. 조진우 약사입니다.물질은 크게 4가지 상태로 나뉜다고 생각합니다.원자 혹은 분자들이 결합을 얼마나 강하게 하고 있는지를 기준으로고체, 액체, 기체, 플라즈마 상태로 크게 4가지로 나뉩니다.이때 불이라는 것은 물질의 ‘상태’ (고체, 액체, 기체, 플라즈마)라기 보다는화학 반응에 따른 ‘현상’으로 구분됩니다.불은 격렬한 산화 반응의 일종인 연소가 일어나는 과정에서 생기는 뜨거운 열과 빛이 방출되는 ‘현상’입니다.불의 원인인 연소는 3요소로 나뉘며 (산소 공급 , 가연성물질, 발화점 이상으로 열을 가할 원인)이 있습니다.불의 경우 플라즈마의 일종으로 보는 학자들도 있습니다만, 불 자체가 플라즈마라기보다는 불이 일으키는 산화반응을 통해 플라즈마를 만들어내는 현상으로 생각하시면 될듯 합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화학
21.12.28
0
1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