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의료상담
감기만 걸리면 몸살이 오는 이유를 알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최원제 의사입니다.최대한 간단하게 쓰도록 하겠습니다.감기는 인체 내에 들어온 바이러스나 세균으로 인해 생기게 됩니다. 이런 바이러스들이 인체에 침입하면 방어기제로 몸안의 면역을 담당하는 백혈구가 싸우게 됩니다. 이렇게 외부물질 (바이러스, 세균) 과 몸안의 백혈구가 싸우는 과정에서 염증반응이 일어나게 되고 이로 인해 열이 나고 몸살기운이 생기게 됩니다. 거꾸로 생각하면 열나고 몸살이 나는 것은 몸안의 백혈구가 바이러스와 열심히 싸우고 있다는 뜻입니다. 푹 쉬시고 약 드시면서 몸안의 백혈구의 싸움을 응원해주세요😁
의료상담 /
기타 의료상담
23.05.12
0
0
혈소판 감소증 확인하려면 어느 병원으로 가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최원제 의사입니다.첨부해 주신 사진만으로 혈소판 감소증을 바로 의심하기에는 무리가 있습니다.걱정이되셔서 검사을 해보고 싶으시면 혈액종양내과로 가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의료상담 /
신경과·신경외과
23.05.12
0
0
명치가 자주 한번씩 아픈데 병원가서 정밀진단을 받아봐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최원제 의사입니다.명치부위가 아픈 증상에는 여러가지 질병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심장 (협심증), 위장 (위염, 과식 등), 담낭 (담낭염), 췌장 등의 질환의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단순히 아프면서 답답하다는 증상으로 무슨 질환이다 라고 말씀은 드릴 수 없겠습니다.증상이 계속 지속되고 걱정이 되신다면 가까운 내과에 가셔서 진료를 받는 걸 추천드립니다.
의료상담 /
신경과·신경외과
23.05.12
0
0
ADHD도 유전에 의한 건가요?
안녕하세요. 최원제 의사입니다.ADHD도 일부 가족력과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습니다. 아빠쪽과 엄마쪽 혹은 둘다 가능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의료상담 /
소아청소년과
23.05.12
0
0
독감 걸렸을 시 주의해야할 점은 어떤 것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원제 의사입니다.독감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매년 독감 예방접종을 꾸준히 맞는 것을 추천드립니다.그외에도 코로나가 한창 심할때 하듯이 마스크와 손위생을 신경쓰시면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독감으로 굳이 격리를 할 필요는 없습니다.
의료상담 /
내과
23.05.12
0
0
폐 관련 진료를 받으려면 어디로 가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최원제 의사입니다.기침이 나고 숨이 찬 느낌이 드는 경우에는 호흡기내과에 가보시는걸 추천드립니다.가셔서 전문의의 진료를 받고 흉부 엑스레이나 CT 검사도 문의해보시기 바랍니다.
의료상담 /
내과
23.05.12
0
0
발목을 삐었는데 이 삐었다는 말은 의료적으로 근육파열인가요 골절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원제 의사입니다.근육파열도 아니고 골절도 아닙니다.발목을 삐였다는 것은 의학적으로 염좌(sprain)라고 합니다.
의료상담 /
정형외과
23.05.12
0
0
요즘 독감이 유행이라는데요..
안녕하세요. 최원제 의사입니다.요맘때가 봄에서 여름으로 넘어가는 환절기이고 슬슬 에어컨늘 틀기 시작하는 시기이기 때문에 면역이 성인보다 약한 아이들이 감기에 잘 걸리는 시기입니다. 또한 코로나가 풀린 영향으로 이전만큼 마스크를 잘 안끼고 생활하게 된 영향도 있죠.예방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마스크 및 손위생을 철저히 하는 것입니다.
의료상담 /
기타 의료상담
23.05.12
0
0
무릎 연골판 파열 진료시 피검사 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최원제 의사입니다.기본적으로 병원에 방문하여 수술의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는 피검사를 진행합니다.환자의 몸상태를 반영하는 기본적은 검사들을 진행해서 이상이 없는걸 확인해야 안전하게 수술을 진행할수 있기 때문입니다. (예; 빈혈 등 보는 혈액수치검사 등) 수술을 바로 진행하지 않더라도 정형외과에서 관절을 볼때는 류마티스나 감염과 연관된 수치들을 보기위해 혈액검사를 진행하는게 원칙입니다. 결과에 따라서 치료방침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의료상담 /
정형외과
23.05.12
0
0
소변을 너무 자주 보는데 건강에 문제가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최원제 의사입니다.일반적으로 보통의 성인은 하루에 4-6회 소변을 보고 주로 낮시간대에 보게 됩니다. 이 이상 소변을 자주 본다거나 밤에 자다가 깨서 소변을 보는 일이 많다고 한다면 비뇨기과에 가셔서 진료를 받아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의료상담 /
비뇨의학과
23.05.12
0
0
82
83
84
85
86
87
88
89
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