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연준의 통화긴축 정책에는 어떤것들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통화 긴축은 시중에 풀린 돈을 회수하는 과정으로 대표적으로 금리 인상과 채권발행 세금인상 등이 있습니다.연준에서 할 수 있는 방안은 금리조정이 가장 큰 정책입니다. 코로나 때 경기 부양으로 금리인하로풀었던 돈을 회수하는 것이기에 올해 말까지는 지속적으로 금리 인상예정입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예금·적금
22.08.19
0
0
금리가 몇 차례 더 인상된다는데 언제까지 인상될까요?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올 연말까지 3번의 금통위가 더 남아있고 약 3%까지 올릴 가능성이 높습니다.미연준에서 3% 금리까지는 인상을 한다고 발표했고 우리나라도 이러한 상승 기조를 따라갈 예정입니다.다행인 점은 미국 cpi가 꺾이는 지표로 발표 되었기 때문에 앞으로도 물가가 잡히는 듯한 지표가 발표되면내년 초쯤에는 금리인하 발표가 있을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대출
22.08.19
0
0
금리를 올려서 소비심리가 위축되면 미국금리와 반대로 움직일수도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미국금리와 반대로 움직일 가능성은 매우 낮습니다.현재 금리인상은 경기상황 보다 높은 물가를 잡기 위함으로 물가가 잡힐 때까지지속할 예정이고 더욱이 미국보다 기준금리가 높아야 하는 우리나라는 최소 연말까지는금리를 더 상승할 예정에 있습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대출
22.08.19
0
0
미국에서 금리인상 이야기가 나오는데요.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미국에서는 fomc 회의에서 금리의 인상여부를 결정합니다.매년 말에 내년의 fomc 일정을 정하여 발표합니다.올해는 총 8번의 fomc 일정이 있으며, 앞으로 9,11,12월 총 3번의 회의가 남았습니다.필요할 때 마다 올릴 수 없어서 미리 앞으로의 경제상황을 예측하여 조정을 진행합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경제동향
22.08.18
0
0
원달러 환율이 지속해서 상승하면 금융위기가 올 수도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환율이 상승하면 외국 자본이 유출되고 국내의 외환 보유액이 감소하게 되어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다만 환율이 상승해서 금융위기가 발생한다기 보다 금융위기로 인한 환율상승이 인과관계가 맞다고 볼 수 있습니다.최근의 환율 상승은 미연준의 급격한 금리인상으로 인해 달러 수요가 몰린 탓에 상승한 것이여서 이번 상승이금융위기를 불러올 것으로 보이진 않습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경제동향
22.08.18
0
0
금리를 인하할 경우 국가의 경제에 어떤 영향을 주나요?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중국은 인플레이션을 잡기 보다 경기부양에 좀 더 신경을 쓰겠다는 의미로 해석됩니다.금리를 인하하면 상대적으로 투자와 소비가 증가하고 경기가 활성화 되는 효과를 가져옵니다.추가적으로 외환시장에서 위완화의 약세가 지속되고 수출경기에 호재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예금·적금
22.08.18
0
0
코스피, 코스닥 지수는 무조건 높으면 좋은가요?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전반적인 주식시장으로 놓고 본다면 높을 수록 좋은 지표가 맞습니다.다만 개별종목과 지수의 상관관계는 대부분 맞지만 전혀 상관 없는 종목들도 있기 때문에모두에게 무조건 좋다는 가정은 틀리다고 할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08.18
0
0
큰돈이 있을때 은행에 저축할때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저축은행에 예적금을 맡기신다면 안전하게 은행별로 5,000만원 한도 내에서 분리하여 저축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물론 최대 이자를 받을 수는 없겠지만 은행별로 0.1~0.2% 정도 차이가 나기 때문에안정성을 고려한다면 분리하여 저축하는 것이 좋습니다.참고로 SB톡톡 어플(저축은행중앙회)에서 저축은행 예적금 비교 및 가입이 한 번에 가능합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예금·적금
22.08.18
0
0
저축할때, 복리 계산하는방법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월복리로 계산한다면 1년기준으로 매달 이자를 더한 금액에 다시 이자를 매기는 방식입니다.계산의 편의를 위해 매월 이자가 10%라고 가정하고 1,000,000원을 1년 월복리로 계산하면 아래와 같습니다.1달 - 1,000,000+(1,000,000*0.1)2달- 1,100,000+(1,100,000*0.1)3달- 1,210,000+(1,210,000*0.1)..12달- 2,853,117+(2,853,117*0.1)=3,138,428감사합니다.
경제 /
예금·적금
22.08.18
0
0
2년차 20대 후반 직장인 여성입니다. 돈 모으는 것 관련 질문 드려요~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연봉에 따라 현재 모으신 금액의 높낮이를 알 수 있습니다.남들의 기준을 따라가다 보면 사람별로 천차만별이기 때문에 본인의 기준을 세우는 것이무엇보다 중요합니다.개인적으로는 매월 고정지출 및 비상금을 정액으로 정해두시고 나머지 금액을 모두저축하는 방법을 사회초년생 부터 습관을 들이신다면 향후 연봉이 인상되면서저축 금액도 늘어나는 효과를 보실 수 있을 것입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대출
22.08.18
0
0
3241
3242
3243
3244
3245
3246
3247
3248
32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