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파라핀은 뜨거운데 왜 화상을 입지 않나요?
안녕하세요. 염정흠 과학전문가입니다.파라핀 온열치료도 화상을 입을 수 있습니다. 시중에 나오는 제품들 중에는 적정온도 이상으로 올라가는 제품들이 있는데 그럴 경우 화상의 위험이 있습니다. 파라핀 치료 시 45~50도 정도를 유지하는게 좋습니다. 의료기기 허가 번호를 꼭 확인하셔야 합니다. 류마티스관절염, 대상포진, 당뇨병 등의 환자들은 파라핀 치료를 삼가야 합니다. 오히려 상태를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의사를 통한 치료를 우선으로 하고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학문 /
화학
22.12.13
0
0
회사 공장내 화장실에 실내기옆 물건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염정흠 과학전문가입니다.사진 상에 보이는 것은 배수펌프로 보입니다. 보통 에어컨에서 생긴 결로를 배수호스를 통해서 흘려보내는데 에어컨이 설치된 곳의 여건 상 호스를 통해서 자연배수가 불가능하거나 어려운 상황에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결로가 모여서 자연배수 할 구배가 안 나오거나 배수한 물이 최종적으로 빠져나가는 지점이 너무 멀 경우 등의 문제가 있을 때 설치합니다. 펌프의 힘으로 배수하는데 대신 소음이 발생합니다. 무소음 펌프도 있지만 약간의 소음이 발생합니다. 화장실이면 배수가 쉬울 것 같은데 여러모로 더 신경쓴 것 같네요.
학문 /
기계공학
22.12.13
0
0
비오는 밤에 차선을 잘 볼수 있는 방법은~~!?
안녕하세요. 염정흠 과학전문가입니다.일단 우천 시 속도를 줄이십시오. 현재 우리나라 도로 상항에서는 우천 시 차선이 잘 안 보일 겁니다.원래 도로 노면 표시물들은 반사 성능 기준이 있습니다. 그 성능을 지켜야지 야간이나 우천 시 식별이 잘 되니까요. 하지만 그것이 잘 지켜지지 않고 있는 곳이 매우 많습니다. https://v.daum.net/v/20221007105502995여러 기사들이 수년 전부터 올라오고 있는데 그 중 하나의 링크를 올리겠습니다. 참고 바랍니다.기사에는 없지만 반사 성능을 내려면 사용하는 도료의 성능을 높여서 그 위에 뿌리는 유리가루가 잘 부착되고 오래 유지되게 해야 합니다. 하지만 그런 도료는 단가가 높아집니다. 시공사는 더 많이 남기고 싶고, 용역 발주하는 관공서는 용역비를 아끼려고 하다보니 생겨난 부실시공이 아닐까 추측해봅니다. 실제 모 기사에서도 나왔던 내용입니다. 이미 오래 전부터 기사화 되고 있지만 여전히 고쳐지지 않는 상황입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12.12
0
0
내진설계는 어떤 건축공법을 말하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염정흠 과학전문가입니다.내진설계는 대부분이 알고 있듯이 지진에 의해서 구조물이 파괴되지 않게 설계하는 것입니다. 내진설계 시 지역에 따라 반영하는 지역계수가 있고 용도와 규모에 따라 반영하는 중요도계수 등이 있습니다. 우리나라 법적 기준 상 여러 상황에 맞춰 많이 세분화된 것은 아니지만 지역과 건축물의 내용에 따라 어느 정도 차이를 두고 있습니다. 그리고 구조 안전의 확인 대상인 건축물은 지반조사보고서를 제출해야 하는데 해당 대지의 지반 조사에서 나온 지내력도 구조계산에 반영되어야 합니다. 해당 대지(지역)에 실제 발생하는 지진의 강도 보다 높은 강도로 가정한 값으로 구조계산을 합니다. 지진이라는 것이 기록에 나온 최대 강도를 넘지 않을 것이라는 보장이 없기 때문에 여유치를 두는 것입니다. 그런 것들이 지역계수나 중요도계수 등에 반영되어 있습니다.구조계산을 할 때 내진 뿐 아니라 풍하중이나 건축물 자체 하중, 구조체는 아니지만 구조체에 부착되어지는 요소들(주로 마감재나 장식구조물 같은 요소로 비구조요소라고 함), 지역에 따른 적설하중 등 여러가지 값들이 다 반영이 되어야 하기 때문에 내진 뿐 아니라 구조체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요소까지 고려하여 구조설계가 이루어 집니다. 그렇게 최종 구조체의 구체적인 형태가 결정됩니다. 단순히 지진에만 대응하는 것이 아니며, 구조 안전의 확인 대상 건축물이라면 위와 같이 여러가지 내용들을 적용한 구조설계가 이루어진 건축물이라 볼 수 있습니다. 내진 설계 이외에 내용도 언급하게 되어서 내용이 길어졌습니다. 내용이 도움되길 바랍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12.12
0
0
콩 먹으면 탈모 예방이 되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염정흠 과학전문가입니다.콩에는 단백질 함량이 높습니다. 머리카락 또한 80~90% 정도의 케라틴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는데 콩에 함유된 다량의 단백질이 머리카락에도 공급이 됩니다. 그리고 콩에는 피토에스트로겐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서 여성 호르몬과 비슷한 물질입니다. 그렇다보니 콩을 통해서 들어온 여성호르몬과 유사한 성분이 신체 내 남성호르몬과 경쟁해 탈모를 억제해주는 효과가 있다고 봅니다. 콩 외에도 항산화 성분이 많은 음식(식재료)을 섭취해주는 것도 탈모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2.12
0
0
공사장이나 공장 근로자들이 착용하는 발목밴드의 역할은?
안녕하세요. 염정흠 과학전문가입니다.보온을 위해서 차는게 아니라 활동의 편의성과 안전을 위해서 착용하는 것입니다. 대부분 작업복이 발목 밴드가 없는 것들이 많이 있는데 그런 옷들이 통이 큰 편입니다. 그렇다면 활동할 때 바지 밑단이 펄럭이겠죠? 그렇게 펄럭이면 현장 바닥면과 가까이 떨어진 날카로운 것이나 기계 등에 걸릴 수 있습니다. 만약 기계 톱니 등에 걸린다면 그대로 빨려 들어가듯 감길 수도 있으니 위험하죠. 그런 이유에서도 밑단을 잡아줌으로써 바지의 펄럭임을 줄여줄 필요가 있습니다. 그러다보면 움직일 때 바지의 펄럭임이 줄어서 활동도 편해질 수 있습니다. 바지 밑단에 밴드가 들어간 작업복을 입을 경우 별도의 밴드를 착용하지 않는 것도 볼 수 있을 겁니다. 하지만 작업복에 발목밴드를 넣을 정도로 비용과 제작 시간을 쓰는 것 보다는 별도의 밴드를 착용하는게 더 타이트하고, 제작하는 과정이 단순해져서 비용적으로도 효율적일 수도 있습니다.
학문 /
기계공학
22.12.12
0
0
다음주에 벽화 재생 봉사 행사를 가는데..
우선 사진만 봤을 때 드는 의문은 기존 페인트가 수성이 맞나요? 만약 수성이었다면 벽체에 스며들면서 발라지기 때문에 저렇게 되는 경우는 적을 겁니다. 수성인데도 저렇게 됐다면 한 번 바를 때 두껍게 발랐을 것 같아요. 그리고 벽체에 수분을 많이 머금고 있을 때 였을 것 같기도 하고요. 이건 유성을 썼다고 해도 비슷합니다.기존의 도료를 다 긁어내는 작업이 선행 되어야 하고, 되도록 맑은 날이 지속 되어서 벽면에 수분이 거의 없을 때 작업하는게 좋습니다. 벽화 봉사를 많이 해보셨다면 아시겠지만 페인트는 부족하게 발라졌다고 느껴지더라도 항상 얇게 2~3회 발라주셔야 합니다. 바탕면이 될 페인트로 적어도 2회 발라주시고 벽화를 그려주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12.11
0
0
왜가리가 멸종위기종이 맞나요?
안녕하세요. 염정흠 과학전문가입니다.왜가리가 도심하천에서도 가끔씩 보일 정도이지만 멸종위기등급 관심대상입니다. 흔히 말하는 멸종위기종은 멸종위기 I급, II급을 많이 얘기하는데 그 정도는 아니지만 멸종위기종에 속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흔히 보이는 것 같지만 개체수가 줄고 있으니 보호 받을 수 있게 하는 겁니다. 왜가리는 천적이 거의 없고, 환경 적응력이 뛰어납니다. 지속적인 보호가 이루어진다면 개체수가 늘어날 수 있을 것으로 봅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2.11
0
0
계란 삶을 때 소금을 넣으면 간이베는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염정흠 과학전문가입니다.껍질 속에 있는 달걀에 간이 배는 것은 삼투압현상에 의한 것으로 염도가 높은 소금물이 비교적 염도가 낮은 달걀로 스며드는 것입니다. 달걀 껍질은 외부의 공기나 수분을 100% 차단해주는 것은 아니고 매우 작은 유기체 정도는 통과할 수 있습니다. 소금이 물에 녹았을 경우에는 그것을 통과할 수 있는 정도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렇다보니 껍질로 막혀있는 달걀 속과 소금물 사이에 삼투압현상이 작용할 수 있는 것입니다.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을 뿐 미세한 구멍이 있습니다.참고로 우리나라 옹기(항아리) 또한 미세한 구멍이 있어 안에 있는 장이나 곡물들이 숨을 쉰다고도 표현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2.10
0
0
빌라같은 건물에 내진설계를 했다고 하면 어떤 시공이 이루어진 것이죠?
안녕하세요. 염정흠 과학전문가입니다.대형 건축물이 아니라면 별도의 내진을 위한 장치를 설치하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내진 설계를 한 건축물이라고 하면 구조설계 시 건축물이 지어졌을 때 작용할 지진에 대한 가상 값을 적용하여서 버텨낼 수 있는 철근의 배근 및 콘크리트 강도를 결정하는 것입니다. 지진 뿐 아니라 풍압, 건축물에 하중, 지반 내력 등 여러가지 값들을 종합하여 계산을 하게 됩니다.별도의 장치를 사용하여 지진에 대응하는 경우는 대형 건축물로 규모가 큰 건축물에 적용하는데 건축물이 흔들리는 것을 대신 흡수해 줄 장치 등을 설치함으로써 구조체가 파괴되는 것을 막아주기도 합니다. 그런 경우가 아니라면 내진 설계를 했다는 것을 외관상으로 찾아볼 수 없습니다. 구조계산서, 도면 등을 참고하여 거기에 맞게 지어졌는지 특수 장비로 검사해 보는 수 밖에 없습니다.추가로 알려드리자면 현재는 건축물대장 상에 내진능력을 기재하도록 되어 있어서 내진설계 의무 대상인 건축물은 건축물대장에 내진능력이 등급으로 표기됩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12.10
0
0
118
119
120
121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