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의료상담
팔에 알이 배겨 불편 할 때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최우영 물리치료사입니다.대부분은 운동하면 낫는다고 이두근육이 알배기면, 그에 길항근인 삼두근 운동을 하면 좋아질거라 하는데, 경험상 그것보다는 근육이완제를 먹고 집에서 온찜질 또는 욕조에서 따뜻한 물 받아서 쉬는게 효과가 제일 컸습니다.
의료상담 /
정형외과
24.08.07
0
0
관절을 꺾어 뚜두둑 소리 내면 왜 시원한가요?
안녕하세요. 최우영 물리치료사입니다.말씀해주신건 카이로프랙틱이라고 하는 치료방법이며, 척추뼈의 분절 움직임을 만들어 관절내 압력과 신경과민성을 줄이고 운동범위를 회복하기 때문에 시원하다고 느낄 수 있습니다.최근 논문에 의하면, 관절의 약간의 움직임을 만들 뿐이지 척추뼈의 교정은할 수 없다고 하며, 교정이된다는 심리적인 플라시보 효과로 인해 좋아지는 거라고 합니다.관절에서 소리가 나는 이유는 관절 활액내에 가스 기포가 터지는 소리입니다.하지만, 후관절에 문제가 있거나 적절한 카이로프랙틱으로 인해 좋아지는 환자분들도 계셔 논문이 말한것처럼 효과가 없다라고는 말할 수 없습니다.
의료상담 /
재활·물리치료
24.08.07
0
0
무릎 강화에 도움이 될만한 운동이 뭐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최우영 물리치료사입니다.무릎은 단독으로 문제가 되는 경우도 있지만, 고관절과 발목의 문제로도 무릎까지 통증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다리 전체의 근육을 하시는 것이 더 도움이 되실 수 있습니다.개인적으로 저는 환자분들에게 허리는 등에 붙이고 무릎관절이 발목보다 앞에 나가지 않게 만든 후 천천히 앉고 일어서 넙다리네갈래근을 조절하는 힘을 많이 길러줍니다.(넙다리네갈래근은 무릎의 안정성에 대한 역할도 합니다.)다른 운동방법으로는 발목과 무릎의 안정성을 위해 한쪽다리로 불안정한 지지면에서 중심잡는 운동을 합니다.
의료상담 /
정형외과
24.08.07
4.3
3명 평가
0
0
제5중족골 골절 붓기 얼음찜질 언제까지 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최우영 물리치료사입니다.골절 후 붓기가 다 빠졌어도, 혹시모를 염증이랑 감염 때문에 5일정도 까지는 냉찜질을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그 후 부터는 대부분 항생제만 먹는 경우가 많습니다.만약 골절 후 제대로 관리를 못한다면 골수염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꼭 관리를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의료상담 /
정형외과
24.08.07
0
0
목이 자주 뻐근한데 이거 디스크일가요??????
안녕하세요. 최우영 물리치료사입니다.목을 뒤로 젖힐 때 손까지 저림이 있거나, 일상생활에도 손저림과 손의 힘빠짐 등의 신경학적 증상이 있다면, 디스크를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지금 말씀하신 증상으로는 한 자세를 오랜시간 유지하거나 흉추의 움직임이 부족해 목 주변 근육에 뻣뻣함으로 목의 뻐근함 증상일 가능성이 큰것같습니다.
의료상담 /
정형외과
24.08.06
2.0
1명 평가
0
0
발이 묵직하고 걷기가 많이 불편한 까닭은
안녕하세요. 최우영 물리치료사입니다.지금 말씀하신 증상으로는 하지정맥류가 의심되며, 아직까지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유전력과 오랜시간 서서 일하시는 분들에게 많이 나타납니다.하지정맥류의 초기 증상으로는 다리의 정맥들이 꼬아져 보이거나 파란색으로 보이는 경우가 많습니다.시간이 되신다면, 밤에 아래 사진처럼 다리를 벽에 올리고 발바닥을 내리고 올려주시면 도움이 되실 수 있습니다.
의료상담 /
정형외과
24.08.06
5.0
1명 평가
0
0
목 뒤, 가슴 쪽 통증은 어떤 병원을 가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최우영 물리치료사입니다.운동을 계속하는데, 체력이 떨어지는건 혹시 수면이 부족하신건 아닌지, 식단이 제대로 되어있지 않은지 확인해봐야 할것같습니다.비타민을 섭취하는것도 체력에 도움이 되실 것 같습니다.병원은 마취통증의학과 또는 신경외과를 방문하시는 것이 좋을것 같습니다.
의료상담 /
정형외과
24.08.06
0
0
허리디스크에 좋은 운동이 어떤게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최우영 물리치료사입니다.아직 다리저림,근육약화 등의 신경학적 증상 또는 허리부터 발까지 나타나는 방사통이 없으시다면, 고관절의 움직임을 만드는 스트레칭과 체간의 안정성(코어)를 강화하는 운동, 수영 등을 추천해드리고 싶습니다.고관절의 움직임을 만들기 위해 아래 사진처럼 고양이 자세에서 천천히 앉아주세요.흉추의 움직임이 부족하다면, 허리와 경추의 과부하로 디스크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흉추의 회전움직임도 꼭 만들어주세요.음식으로는 과도하게 단 음식 또는 체중을 늘리는 트랜스 지방 음식등으로 인해 염증과 체중 증가로 디스크의 압박이 더 심해질 수 있으므로 체중을 유지하는것도 중요합니다.마지막으로 디스크는 주로 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적절한 수분공급도 중요합니다^^!
의료상담 /
재활·물리치료
24.08.06
0
0
허리디스크터졌는데, 치료이후 할만흔 스포츠 취미
안녕하세요. 최우영 물리치료사입니다.개인적인 생각으로는 부상 위험이 낮은 수영이 괜찮으실것 같습니다 왜냐하면 중력에 영향을 받지않아 척추의 압박력을 줄일 수 있고 관절의 가동범위를 늘릴 수 있어서 흉추와 요추, 경추의 적절한 움직임을 만들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의료상담 /
정형외과
24.08.06
0
0
갑자기 오른쪽 옆구리가 욱신거려요.
안녕하세요. 최우영 물리치료사입니다.갑자기 옆구리에 통증이 있는 원인은 다양하게 있으며, 의자에 앉아 있을 때 몸을 오른쪽으로 살짝 기울여 앉아 갑자기 일어나서 통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다른 원인으로는 평소 혈관의 문제로 혈류가 잘 흐르지 않으면, 옆구리에 욱씬거리는 통증을 느낄 수 있습니다.통증이 계속된다면, 혹시라도 맹장염일 수 있어 내과를 방문해보시는 것도 좋을것 같습니다.
의료상담 /
정형외과
24.08.06
0
0
424
425
426
427
428
429
430
431
4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