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절을 꺾어 뚜두둑 소리 내면 왜 시원한가요?
안녕하세요, 손가락이나 허리, 목을 꺾어서 뚜두둑 소리내면 되게 시원하던데 왜 이런 시원함이 느껴지는건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이걸 이용한 치료 카이로 뭐시기라고 있던데 그게 관절 맞추는 치료법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덕현 물리치료사입니다.
관절을 꺾으면서 소리를 낼때에는 관절안에 압력이 달라지면서 시원한느낌을받을수있긴하지만 너무 강한강도의 힘을 지속적으로 관절에 가한다면 관절염이나 다른문제가생길수있으니 주의하는것이 좋습니다~
카이로플렉틱의경우 틀어져있는 뼈를 정상위치로 다시 만들기위해서 시행하는 도수교정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
손가락이나 허리, 목을 꺾을 때 나는 소리는 관절 내의 기포가 터지면서 발생하며 이로 인해 일시적인 시원함이나 쾌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카이로프랙틱은 척추와 관절을 조정하여 신경계의 기능을 개선하는 치료법입니다. 치료는 관절 맞추기와 관련이 있고 통증 완화와 기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남희성 재활의학과 전문의입니다.
관절에서 소리가 나는 이유는 관절안에 기포가 생겼다가 터지는거라는 가설이 있고 관절낭 안이 음압이기 때문에 이 관절낭이 움직이면서 나는 소리라는 가설이 있습니다. 손바닥을 맞댄 상태로 진공을 만들었다가 손바닥을 떨어트리면서 뽁~뽁~ 소리를 내는 현상과 같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런 가설들을 보면 소리가 나는게 병을 낫게해주고, 불편감을 해결해주는게 아니라는걸 알 수 있습니다.
관절이 좀 부드럽게 돌아가면서 시원하다고 느끼실 수는 있겠습니다.
카이로프락틱의 경우에 관절이 부드러워지는것 이외에도 근육을 스트레칭해주기 때문에 일시적으로 갖고있던 불편감들이 줄어들기는 하지만 관절을 맞추는 치료인건 아닙니다. 쉽게 설명한다고 관절을 맞춘다 이렇게 표현할 수는 있지만 정말 틀어진 관절이 바로 맞춰지는건 절대로 아닙니다.
안녕하세요. 김지훈 물리치료사입니다.
우리 몸은 움직이게 되면 대사작용을 하는데요.
대사 작용의 결과로 인하여 체액과 가스가 생성됩니다.
이 가스는 관절 내에 빈 공간에 쌓이게 되는데,
과도하게 쌓이게 되면 다른 조직을 압박하여 통증이나 불편감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이 때문에 이런 가스를 순간적으로 풀어주게 되면 시원하고 관절이 부드러워지게 됩니다.
관절을 맞춘다기보다 관절 내에 데미지를 해소해 좀 더 편하게 만들어준다고 생각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카이로프랙틱도 적절히 사용하게 되면 좋지만, 근육이 풀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관절내에 데미지만 가할 때
혹시 모를 부상의 위험이 있으니 충분히 숙련된 선생님께 받으시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최우영 물리치료사입니다.
말씀해주신건 카이로프랙틱이라고 하는 치료방법이며, 척추뼈의 분절 움직임을 만들어 관절내 압력과 신경과민성을 줄이고 운동범위를 회복하기 때문에 시원하다고 느낄 수 있습니다.
최근 논문에 의하면, 관절의 약간의 움직임을 만들 뿐이지 척추뼈의 교정은할 수 없다고 하며, 교정이된다는 심리적인 플라시보 효과로 인해 좋아지는 거라고 합니다.
관절에서 소리가 나는 이유는 관절 활액내에 가스 기포가 터지는 소리입니다.
하지만, 후관절에 문제가 있거나 적절한 카이로프랙틱으로 인해 좋아지는 환자분들도 계셔 논문이 말한것처럼 효과가 없다라고는 말할 수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동진 물리치료사입니다.
카이로플랙특 치료기법이 궁금하시군요.
관절이 뚝뚝거리는 소리는 관절 내부에 공간이 생기며 관절낭 안에 공기가 들어오면서 관절액의 거품이 터지면서 발생하는 소리입니다.
이러한 기법을 사용하는 것은 카이로플랙틱이라는 치료기법입니다.
카이로플랙틱기법이 척추와 관절의 정렬 교정, 자세교정, 통증완화, 신경기능개선 등의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뚝뚝거리는 소리가 척추를 정렬 시키는 소리는 아닙니다.
하지만 뚝뚝소리가 플라시보 효과를 주어 왠지 치료가 되어 시원해지는 느낌을 줄 수는 있을 것입니다.
궁금증에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강록 물리치료사입니다.
보통 관절 내에서 소리가 나는건 관절내의 가스(질소)가 터지면서 나는 소리입니다.
소리가 나면서 심리적으로 시원하다고 느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질문하신 카이로프랙틱 같은 경우는 교정이 필요한 척추 분절의 교정을 하는건데 소리가 날 수도 있고
안 날 수도 있습니다. 소리가 안난다고 교정이 안되는건 아니기에 교정은 가능합니다.
손가락 우두둑과 소리나는 원리는 비슷하지만 이 부분은 해당 전문가(카이로프랙터 닥터)들에 한해 가능하며
전문가가 아닌 비전문가에 의해 교정시 사고 위험이 있기에 주의 하시길 바랍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소준헌 물리치료사입니다.
뚜뚝 하는 소리가 나는걸 팝핑사운드라고 이야기하는데요. 관절안에 있는 활액막이 움직이면서 액체를 끌어가게 되면서 안에 있는 공기가 기포를 형성할때 혹은 그 기포가 터지면서 나는 소리를 말합니다. 콜라 캔 따실때 치익하면서 펑 소리나는 거라고 생각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소리 자체가 시원함을 유발하기도 하고 안에서 액체가 움직이면서 시원함을 느낄구도 있습니다.
근육은 뼈에 붙어 있고 뼈는 인대로 연결이 되어 있는데, 심부에 깊숙하게 있는 곳은 근육이 컨택되기 어렵고 이런 뚜뚝 소리를 통해서 심부 근육이 풀어지는 케이스도 있습니다.
관절 자체가 틀어진경우도 있을 수 있구요 그걸이용해서 교정을 한다고 표현하기도 합니다.
답변에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현태 물리치료사입니다.
관절에 소리를 내게되면 관절 사이에 있던 질소가스가 움직임에 의해 빠져나오게 되며 주변에 혈액순환을 촉진하게 되고, 자율신경반응등에 의해 몸에 시원한 느낌을 받게 됩니다.
통증이 없는 소리는 크게 건강에 영향을 주지 않지만, 조직이 서로 부딫히거나, 마찰등으로도 뚝 하는 소리가 발생하고 보통 통증이나 불편감을 동반하는 경우에는 일주러 소리를 내거나 소리가 날 수 있는 동작을 하시지 않는것이 좋겠습니다.
서구권에서는 카이로프랙틱을 구사하는 카이로프랙터, 오스테오파시를 구사하는 닥터등의 직업군이 관절을 교정하거나 통증을 완화하기 위한 요법으로 사용하고, 국내에서는 의사에 의해 시행되는 치료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궁금증이 어느정도 해결되셨기를 바라며, 도움이되셨다면 별점5점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이창우 물리치료사입니다.
관절을 꺾어서 나는 이유는, 관절 속 내에 있는 기포가 터지면서 나는 소리와 함꼐 떨어진 가동성을 정상화 하는 과정에서 시원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다만 해당 과정을 스스로 하기보단 전문적으로 숙련된 의사 치료사에게 받는걸 추천드립니다.
추가적으로 궁금한게 있다면 언제든지 질문해주세요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환자분의 건강을 응원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