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학문
유전자 재조합 기술이 정확히 무엇인가요?
유전자 재조합 기술은 간단히 말해 한 생물의 DNA에서 유용한 유전자를 분리하여 다른 생물의 DNA에 결합, 즉 재조합시키고 숙주 세포에서 발현시키는 기술을 말합니다.이를 긍정적으로 본다면 의학적인 약품이나 치료법의 개발이 가능하고, 해충이나 질병에 강한 작물을 개발하여 식량 생산성을 높이고 농약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염 물질을 분해하는 미생물 개발 등을 통해 환경 정화에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하지만 유전자 재조합 기술로 만들어진 GMO 식품 섭취에 대한 장기적인 안전성과 알레르기 유발 가능성 논란이 있고, 재조합된 유전자가 야생종으로 전이되어 생태계를 교란하거나 슈퍼 잡초를 만들 우려가 있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3일 전
0
0
유전자의 상위와 신호전달의 상위는 어떻게 다른가요?
유전자의 상위(Epistasis)와 신호전달의 상위(Upstream)는 모두 생물학적 조절을 설명하지만, 그 관점과 대상이 다릅니다.먼저 유전자의 상위는 한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다른 유전자 돌연변이의 최종 표현형 발현을 가리거나 변경하는 현상으로 유전자 간의 상호작용 및 결과에 중점을 둡니다.반면 신호전달의 상위는 세포 경로 내에서 시간적 순서상 더 일찍 일어나거나, 특정 분자를 활성화하는 단계나 분자를 지칭하며 신호가 전달되는 순서와 메커니즘의 흐름에 중점을 둡니다.결론적으로, 유전자의 상위는 유전자 발현의 최종 결과에 대한 관계이며, 신호전달의 상위는 분자 경로상의 순차적 위치를 나타냅니다.
학문 /
생물·생명
3일 전
0
0
생물복제 윤리적으로 문제가 없나요?
당연히 상당히 복잡한 윤리적 문제가 수반됩니다.단순히 기술의 타당성이나 권리 보장의 문제를 넘어, 생명의 존엄성과 자연의 질서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기 때문이죠.즉, 기술의 불완전성 및 안전성은 물론이고 생명 존엄성 훼손 및 수단화, 자연의 질서와 생태계 교란은 물론 인간 복제로의 위험성도 여전히 상당한 논란이 있습니다.게다가 말씀하신 것처럼 복제된 생물에게 원래 존재했던 생물과 같은 권리를 보장해야 하는가에 대해서도 윤리적 논쟁이 상당합니다. 특히 대부분의 국가에서 복제된 동물의 법적 지위에 대한 명확한 규정은 아직 부족합니다.하지만 복제된 개체가 유전적으로는 같을지라도, 서로 다른 환경에서 자라나며 개별적인 경험을 통해 고유의 정체성을 형성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복제된 개체를 단순히 원본 생명체의 사본나 대체품이 아닌 독립된 생명체로서 권리를 인정해야 한다는 시각이 우세합니다.
학문 /
생물·생명
3일 전
0
0
바소체와 각인은 어떤 차이가 있나요?
바소체는 포유류 암컷의 X 염색체 불활성화를 통해 유전자 발현량을 수컷과 동일하게 맞추는 선량 보상 기전입니다.이 과정에서 두 개의 X 염색체 중 하나 전체가 무작위로 응축되어 바소체라는 구조를 형성하며, lncRNA(Xist)가 핵심 역할을 합니다.반면 각인은 상염색체 상의 특정 유전자 쌍 중 부모 중 한쪽에서 물려받은 유전자 하나만 발현되도록 조절하는 기전입니다.이는 특정 유전자 영역에 집중된 DNA 메틸화 패턴을 통해 이루어지며, 태아의 성장과 발달에 중요한 단일 대립유전자 발현을 유도하죠.무엇보다 핵심적인 차이는 바소체가 염색체 전체를 무작위적으로 침묵시켜 선량 보상하는 반면, 각인은 특정 상염색체 유전자를 부모 유래 특이적으로 침묵시킨다는 점입니다.
학문 /
생물·생명
3일 전
0
0
순환적광인산화와 비순환적 광인산화의 의의는 무엇인가요?
광합성 명반응에서 ATP와 NADPH를 합성하는 비순환적 광인산화와 순환적 광인산화는 서로 다른 의의를 가집니다.비순환적 광인산화는 광계1과 2를 모두 사용하여 ATP와 NADPH를 동시에 생성하는 광합성의 주 경로입니다.NADPH는 이산화탄소를 환원하여 포도당을 만드는 데 필요한 환원력을 제공하는데, 이 과정에서 물이 분해되며 산소가 부산물로 발생합니다.따라서 유기물 합성에 필수적인 동화력 ATP와 NADPH를 제공한다는 의의를 가지죠.반면 순환적 광인산화는 광계1만 사용하며 전자가 순환하여 ATP만 추가적으로 합성합니다.캘빈 회로에서 ATP가 NADPH보다 더 많이 필요하므로, 이 경로는 ATP의 부족분을 보충하여 에너지 비율을 조절하는 데 중요합니다. 또한, 빛이 너무 강할 때 NADPH의 과잉 축적을 막고 광계를 보호하는 역할도 하죠.결론적으로 비순환적 광인산화는 근본적인 재료를, 순환적 광인산화는 균형을 맞추는 역할을 하는 것입니다.
학문 /
생물·생명
3일 전
0
0
그릇에 입이 닿으면 그 닿는부위를 닦지 않으면 세균이 생긴다고하는데 그 세균은 어디서 오는건가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우리 입안에 원래 살고 있는 세균들이 그릇에 옮겨가서 증식하게 된 것입니다.다시 말해, 세균은 입안에서 온 것들이죠.참고로 침 1ml에는 5~10억마리의 세균이 살고 있다고 합니다.
학문 /
생물·생명
3일 전
0
0
이 블라인드 글 신뢰성 있는 글인가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신뢰성이 없습니다.원 글도 길지만, 답변도 좀 길어질 수 있겠습니다.먼저 국내 친자 불일치율이 38%를 넘는다고 하는데, 공식 통계나 연구 결과로 입증된 바가 없습니다.물론 친자 확인 기관에서 공개되는 통계가 있긴하지만, 이는 의뢰된 경우만을 대상으로 하기에 전체 인구를 대표하지 않으며, 불일치율이 38%에 달한다는 것은 상당히 악의적인 과장으로 보입니다.게다가 친자 확인 검사를 의뢰하는 경우는 이미 불일치를 의심하는 상황이기 때문에 실제 불일치율보다 훨씬 높게 나타날 수밖에 없습니다.그리고 현재 사용되는 표준적인 친자 확인 검사는 STR(Short Tandem Repeat) 분석을 이용합니다. 이는 부모와 자녀의 특정 유전자 위치인 마커에서 반복되는 염기서열의 횟수를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죠.원 글의 딸이 확인이 잘 안 된다는 주장은 틀린 주장입니다. 딸이든 아들이든, 상염색체(autosome)의 STR 마커를 최소 15~20개 이상 분석하여 충분한 확률(보통 99.99% 이상)로 친자 여부를 확인합니다.또한 상동 염색체를 가지고 장난질한다는 것도 악의적으로 보이네요. 모든 사람은 어머니로부터 하나, 아버지로부터 하나씩 한 쌍의 상동 염색체를 물려받으며, 이 쌍의 마커를 동시에 분석하여 부모-자녀 관계를 확인하게 됩니다.또 Y-STR은 아들(XY)에게만 있는 Y 염색체의 마커를 검사하는데, 이는 부계 혈통 확인에는 매우 유용하지만, 친자 확인 자체에는 상염색체 STR 검사가 필수적입니다. 원 글에서 'Ystr 검사 한방에 끝나버림'이라는 말 자체가 원리를 크게 오해한 상황에서 한 말이 아닌가 싶네요.그리고 X-STR의 경우 딸(XX)과 아들(XY) 모두에게 있긴 하지만 검사 목적이 다릅니다. X-STR만으로는 일반적인 친자확인을 대체하지 않습니다.더군다나 딸은 친자로 맞춰내기 쉽다는 주장 자체가 겉핥기 식 얕은 지식으로 하는 말로 보입니다. 표준 STR 검사는 성별에 관계없이 동일한 정확도로 친자 여부를 판별하는데, 일반적으로 1~2개 마커만 불일치해도 친자 관계가 배제됩니다. 원 글의 주장처럼 '95% 이상의 유사성'이라는 것이 어디서 나온 것인지 모르겠지만, 유전학적 친자 확인 기준에서도 한참 벗어나 있습니다.그 외에도 낙태라던지 외조부 X-STR 검사의 경우도 유전학이나 생물학적으로도 이미 친자로 확인된 결과를 뒤집을 수 있는 절대적인 방법도 아닙니다.결론적으로 원글을 신뢰할 수는 없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3일 전
0
0
원핵생물인 세균은 어떻게 광합성을 수행하나요?
세균의 광합성은 흔히 알고 있는 식물의 광합성과는 여러 가지 면에서 큰 차이가 있습니다.그 중에서도 가장 큰 차이점은 산소 발생 여부입니다.세균의 광합성은 산소를 발생시키지 않는 무산소성인데 반해 식물의 광합성은 산소를 발생시키죠.이 차이는 전자의 공여체의 차이로 인해 발생합니다. 세균은 물 대신 황화수소(H2S)나 유기물 등을 사용합니다. 식물은 잘 아시다 시피 전자를 얻기 위해 물을 분해하고 그 과정에서 산소가 발생하는 것입니다.그리고 세균은 박테리오클로로필을 사용하는데, 이는 식물의 클로로필보다 더 긴 파장의 빛을 흡수합니다.또한 세균은 광계1 또는 광계2 중 하나만을 사용하여 전자를 순환시키는 반면, 식물은 두 가지 광계 모두를 사용합니다.마지막으로 구조에도 차이가 있는데, 세균은 엽록체 없이 세포막 구조를 이용하지만, 식물은 광합성 전용 기관인 엽록체에서 광합성이 일어납니다.
학문 /
생물·생명
4일 전
0
0
앵무새가 다른새와 달리 더 사람과 친화적인 이유?
앵무새의 높은 지능과 뛰어난 사회성, 특화된 신체 구조 덕분입니다.앵무새의 종류에 따라 다르긴 하지만, 대형 앵무새의 경우 사람에 비유하자면 약 5세 어린이 수준의 지능을 가지는 것으로 보고 있으며, 문제 해결 능력과 복잡한 학습 능력을 보여줍니다. 그래서 단순히 소리를 모방하는 것이 아니라 훈련된 앵무새의 경우 단어의 뜻을 이해하고 구사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하고 특히 앵무새의 뇌에는 청각과 동작을 연결하는 신경 부위가 발달해 있어 정교한 발성 학습이 가능합니다.게다가 야생에서 무리 생활을 하는 사회적 동물로, 사람과의 관계에서도 강한 애착과 유대를 형성하는 능력이 뛰어납니다.이러한 이유들로 앵무새는 사람의 말을 따라 하고, 교감하며 학습하는 새로 진화할 수 있었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4일 전
5.0
1명 평가
0
0
파타고니아마라(Patagonian Mara)는 시속 몇키로미터나 달릴 수 있나요?
환경에 따라 다르긴 하지만, 시속 40~70km까지 달릴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실제 파타고니아마라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설치류 중 하나로 꼽힐 만큼 뛰어난 주력을 자랑합니다.
학문 /
생물·생명
4일 전
0
0
1
2
3
4
5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