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나는 반딧불 이란 노래에서 '손톱'이 '초승달'이 되었다는 내용은 새로 태어남을 상징하기 위함인가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전문가입니다.저도 이노래 요즘 애들한테 가르치고 있는데요...ㅋㅋ정확하게짚으셨신것 같습니다. "한참 동안 찾았던 내 손톱이 하늘로 올라가 초승달이 되었다"는 표현은 현실적인 해석보다는 상징적, 시적인 의미를 강조한 구절이에요.이 가사에서 “내 손톱”은 작고 하찮게 여겨질 수도 있는 무언가를 뜻할 수 있고, 그것이 “하늘로 올라가 초승달이 되었다”는 것은 작고 소중했던 것의 재탄생, 혹은 뜻밖의 의미 있는 변화로 읽을 수 있어요.반딧불이 작지만 환하게 빛나는 존재로 다시 태어났듯, 손톱도 하늘에서 초승달이라는 아름다운 모습으로 새롭게 의미를 갖게 되는 정말 아름다운 가사라고 생각합니다
Q. 찬송가, CCM, 복음성가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전문가입니다.1.찬송가는 유럽전통교회에서 기원해서 고전적 정형화스타일이고, 교리중심이며 전통예배에 사용됩니다.복음성가는 미국 복음주의에서 기원해서 감정적 간증위주의 스타일로 개인고백,위로가 내용이며 부흥회나 집회에 사용됩니다.CCM은 현대기독교음악의 줄임말로 햔대 대중문화에서 기원됐다고 보면 됩니다. 대중음악 장르를 이용했고 삶의경험,예배의 고백등이 딤겨져 있습니다. 찬양예배나 청년예배에 사용됩니다
Q. 일반적으로 음악 저작권은 어떤 종류의 권리를 포함하고 있나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전문가입니다.음악 저작권의 경우,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권리로 구성됩니다:1. 복제권: 음악을 복사하거나 음반, 디지털 파일 등의 형태로 재생산할 수 있는 권리입니다.2. 공연권: 음악을 대중 앞에서 연주하거나 재생하는 권리입니다. 예를 들어, 콘서트나 방송에서 음악을 사용할 때 해당 권리가 적용됩니다.3. 전송권: 인터넷이나 방송을 통해 음악을 전송할 수 있는 권리입니다.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음악을 틀 때 이 권리가 필요합니다.4. 배포권: 음악 CD나 음원을 판매하거나 배포할 수 있는 권리입니다.5. 2차적 저작물 작성권: 원곡을 편곡하거나 리믹스, 번안하는 것과 같이 원 저작물을 바탕으로 새로운 저작물을 만드는 권리입니다.6. 동시송신권: 방송과 동일한 내용을 인터넷이나 다른 매체로 동시에 송신할 수 있는 권리입니다.음악 저작권은 주로 작곡가, 작사가, 편곡가, 음악 출판사, 그리고 녹음한 음반사의 권리로 나뉘어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관련되어 있습니다.
Q. 가장 작은 관악기인 하모니카 전공도 따로 있나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전문가입니다.정식으로 하모니카만을 전공으로 개설한 대학은 드뭅니다. 하지만 다음과 같은 경우로 하모니카 교육을 받을 수 있습니다.한세대학교, 서울예술대학교, 백석예술대학교 등 실용음악과에서는 일부 교수나 외래강사로부터 하모니카 레슨을 받을 수 있는 기회가 있습니다.전공은 아니지만 평생교육원, 음악학원, 문화센터 등에서 전문적인 하모니카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기도 합니다.대표적인 하모니카 연주자로는 시각장애인 연주자인 전재덕씨, 박종성,김병철 등이 있습니다
Q. K-POP의 성공 요인과 글로벌 확산의 긍정적인 영향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전문가입니다.세련된 음악, 화려한 퍼포먼스, 감각적인 뮤직비디오 등 완성도 높은 콘텐츠가 세계적인 주목을 받았습니다. 아울러 연습생 시스템 / 소셜미디어 활용 / 팬덤 문화 / 다문화 전략이 먹혀들어갔지요이러한 kpop 문화는 글로벌 문화 확산의 긍정적 영향을 끼쳤습니다.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 증가했습니다.K-POP을 계기로 한국어, 한식, 한복, K-드라마 등 한국 문화 전반에 대한 관심이 커졌습니다.국가 이미지가 상승했지요^^한국이 창의적이고 현대적인 이미지로 전환되며 "문화 강국"으로 인식되는 데 기여했습니다.경제적 파급 효과가 엄청납니다.앨범 판매, 공연, 굿즈뿐 아니라 관광, 화장품, 의류 등 연관 산업의 수출이 증가했습니다.또한세계 여러 나라 사람들이 한국 문화를 받아들이면서 문화 간 이해와 소통의 기회가 확장되었습니다.그리고글로벌 Z세대가 K-POP을 통해 자신의 문화적 취향과 정체성을 공유하며 전 세계적인 문화 연결고리를 형성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