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실비보험은 돈이 없어도 꼭 유지하는게 정답이겠죠?
안녕하세요. 강진영 손해사정사입니다.현대인들은 살면서 많은 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그것이 상해든, 질병이든, 갑자기 개인에게 닥치는 위험은 경제적으로부터 많은 부담을 갖게 할 수가 있습니다.하지만, 보험을 해지했다고 갑자기 위험이 닥친다든지, 불행에 빠진다는 것은 사람들이 만들어 낸 것에 불과합니다.보험이 없어도 건강하게 위험 없이 살아가는 사람들이 대부분입니다.다만, 실비보험은 살아가면서 갑자기 닥치게 될 상해나 질병으로부터 오는 경제적 부담을 줄여 줄 수 있다는 것이기 때문에 최소한 유지하는 것이 좋다라고 말하는 것입니다.그럼에도, 경제적 여건이 되지 않아 유지하기 힘들다면, 억지로 가지고 가는 것 보다는 향후 경제적 여건이 됐을 때 가입하는 것도 나쁜 선택은 아닙니다.도움 되셨길 바랍니다.
Q. 퇴행성과 사고와의 관여도를 어떤 기준으로 평가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강진영 손해사정사입니다.퇴행성과 사고와의 관여도 산정 방법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겠으나,대한척추신경외과학회지에 보시면,손상기전, 병소위치, 과거력, 추간변의 변성, 주치의 판단, 임상적 검사로 나누어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위 방법으로 의사가 평가하여 산정하면, 점수가 나오는데, 그 점수로 외상 기여도를 산정할 수 있습니다.도움 되셨길 바랍니다.
Q. 당장 필요한 보험은 없는데 수술한 사람은 어느정도 기간이 지나야 보험가입이 된다던데 무슨 수술이냐에 따라 다를까요?
안녕하세요. 강진영 손해사정사입니다.연금보험은 상해, 질병에 해당하는 것이기 아니기 때문에, 언제든 가입 가능합니다.다만, 연금보험 안에 다른 상해, 질병 담보를 넣게 된다면, 부담보(일정 기간 보장 안됨) 설정 가능성은 있습니다.도움 되셨길 바랍니다.
Q. 핸드카(구루마)로 주차된 차를 파손했을 경우 어떻게 처리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강진영 손해사정사입니다.업무 중 사고여서 회사 쪽에 일부 부담을 지울 수 있으면 좋겠지만, 만약 질문자님의 부주의로 인한 사고라면 회사 쪽에서 협조를 안 해 줄 수도 있어, 안타까운 상황이네요.일상생활 배상책임은 성립되지 아니하니, 결국 질문자님께서 민법 750조에 의해 배상할 책임이 발생합니다.수리비 명세서 등 확인하시어 피해자와 원만한 합의를 하는 것 외에는 방법이 없을 듯 합니다.다만, 혹 주차된 차량이 불법주차 상태였다면 일부 과실을 차주에게도 돌릴 수 있으니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도움 되셨길 바랍니다.
Q. 실비 말고 다른 보험은 어떤게 좋은가요?
안녕하세요. 강진영 손해사정사입니다.일단 보험은 장기납입 상품입니다. 보험료 납입 기간(경제 활동 기간을 고려), 납입 보험료등 잘 판단하셔서 가입하시기 바랍니다. 의료실비를 가입하셨다면, 그 다음 준비하실 보험은 진단비(암, 뇌혈관, 심혈관질환)입니다.그 다음 여력이 되신다면 상해후유장해, 질병후유장해를 고려해 보시기 바랍니다.나머지, 수술비, 간병비, 입원일당 등은 여력이 되시면 가입하시고, 그렇지 않다면 현재로서는 고려하지 않아도 됩니다.한가지, 갱신형보다는 비갱신형을 가입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도움 되셨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