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곽대영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곽대영 전문가입니다.
곽대영 전문가
리치공인중개사사무소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경제
자격증
부동산
2025년 4월 15일 작성 됨
Q.
아파트 매도 후 넓은 평 아파트를 볼 때 순서가 어떻게 하는게 좋을까요?
보통 매매는 계약 후 세달 내외로 잔금을 하는게 일반적입니다.내 집을 매도하고 다음 집을 매수하는게 순서에는 맞지만 그럼에도 내 집이 나가면 바로 매수를 할 수 있도록 이사 갈 집은 계속해서 봐주시는게 좋습니다.안보고 있으면 매도인이 나타나도 선뜻 계약을 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부동산
2025년 4월 15일 작성 됨
Q.
요즘은 권리금이 거의 없는지 궁금합니다.
권리금은 지역마다 업장마다 인테리어등의 수준마다 차이가 있어 일관되게 있다 없다 말하기는 어렵지만 예전보다는 많이 낮아졌다 정도의 느낌은 있는것 같습니다.확실히 영업이 잘되서 그런 부분에 대한 높은 권리금을 요구하는곳은 거의 없고 시설비나 몫이 좋아 받는 경우 정도들만 남은 듯 합니다.
부동산
2025년 4월 15일 작성 됨
Q.
이재명의 최대 10년 무한전세갱신권 어떤가요?
세입자에게는 좋을수도 있지만 아마 높은 확률로 부동산 가격을 많이 올리는 정책이 될것으로 보입니다.개개인의 재산에 대한 재산권을 행사하는것에 제한을 두게 되면 매매가가 많이 올라가거나 세를 놓지 않게 되거나 할 가능성이 큽니다.그런 경우는 지금보다도 더 똘똘한 한채 심리가 강해져 오르는곳은 더 오르고 하는 양극화가 더욱 심화될 가능성이 큽니다.
부동산
2025년 4월 15일 작성 됨
Q.
아파트 매도 세입자 있는 상태에서는 보통 어떤식으로 매도 하나여.
매도 하는데 세입자 허락은 필요없지만 세입자가 집을 보여줘야 하기에 협조는 필요합니다.집을 안보고 매매 하겠다는 매수자가 있으면 협조도 필요없긴 합니다.세입자 있는 상태에서는 세입자까지 넘기는 식으로 계약합니다.다만, 세입자가 본인의 계약이 새로운 매수자에게 넘어가길 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매매잔금시 세입자의 보증금을 매도인이 반환해야 합니다.
부동산
2025년 4월 15일 작성 됨
Q.
전세안고 매도하는거 세입자가 거절할수 있나여.
세입자가 거절한다는게 집 아예 매매를 못하게 하는것이라면 세입자에게는 그럴 수 있는 권한이 없습니다.세입자가 있건 없건 집을 매도 하는것은 주인의 재산권 행사의 자유입니다.다만, 세입자는 만약 집 매매시 매수인(다음 주인)에게 자신의 계약이 넘어가는것을 원하지 않을 경우에는 매도인에게 보증금 상환을 요구할 수는 있습니다.이런 경우는 매매 잔금일에 매도인에게 보증금을 상환받고 이사를 나가셔야 합니다.
291
292
293
294
29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