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해외에서 제가 직접 위스키 구매 후 택배로 한국으로 보낼 시 세금?
법령에서 지정한 '수입통관 사무처리에 관한 고시' [별표11] 에 의하면 주류의 경우 1병 1L 까지는 자가사용을 인정하며 그 인정기준을 초과하는 물품에 대해서는 수입요건 확인을 위한 보완서류 등 제출이 필요합니다.우리나라 거주자가 해외에서 발송된 주류를 수취하는 경우, 물품가격이 미화 150불 이하이며 자가사용인정기준(1ℓ이하 & 1병)을 모두 충족하는 경우 관세와 부가가치세는 면세되나, 주세 및 교육세는 과세됩니다. 상기의 면세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과세가격 전체에 대하여 관세, 주세, 교육세, 부가가치세를 과세합니다. 세율은 주류의 종류에 따라 달라집니다.예상되는 세액울 관세청에서 제공하는 계산식으로 대략 계산한 내용 제공해드립니다.
Q. 면세금액에 담배나 술같은것은 포함이 되나요?
해외 여핵객의 휴대품 ( 면제점 구매 포함) 면세적용은 1인당 800불까지입니다. 여기에 담배 , 술, 향수는 별도의 면세제한을 두어 구분하고 있습니다. 여행자가 휴대반입하는 담배는 궐련 200개비, 엽궐련 50개비, 전자담배 니코틴 용액 20ml 이하인 경우 등 면세 처리됩니다. ㅇ 담배는 여행자 휴대품 기본면세범위(US$800)에서 제외되어 별도로 면세처리됩니다. ㅇ 면세범위 초과시 관세, 부가가치세, 개별소비세 외에 지방세(담배소비세, 지방교육세)가 부과됩니다. 향수의 여행자 휴대품 면세범위는 100㎖ 이하(병수 제한 없음)이며, 이 경우 관세 및 부가가치세 등이 면제됩니다.ㅇ 향수는 여행자 휴대품 기본면세범위(US$800)에서 제외되어 별도로 면세처리됩니다.여행자가 휴대 반입하는 주류 중 합계 용량이 2L이하로서 총 가격이 US$400 이하의 것 2병은 면세 처리됩니다.ㅇ 주류는 여행자 휴대품 기본면세범위(US$800)에서 제외되어 별도로 면세처리됩니다.ㅇ 술에는 관세 이외에 주세, 교육세, 부가세 등이 부과되며, 술의 종류에 따라 최종세율*이 달라집니다.* 와인 68%, 브랜디·보드카·위스키 156%, 고량주 177%
Q. 버터가 함유된 가공식품의 수출의 절차가 궁금합니다
KATI 농식품 수출정보에서안내하고 있는 미국 대상 유제품 수출시의 유의점을 아래와 같이 소개해 드립니다. -----------------------미국에 수입되는 모든 Food제품은 FDA의 검역대상임. FDA는 수입 이전에 개별수입 업자, 제품, 라벨, 선적품에 대해서 인증이나 승인을 해준다거나 라이센스를 발급해 주지 않음. 수입업자들은 Food제품을 생산, 포장, 보관, 다루는시설(공장)이 FDA에 등록이 되어 있고, FDA규정을 준수하는 한 해당Food제품을 수입할 수 있음 Food를 다른 공장에서 제조과정을 거쳐 수출한다면, 제조과정을 거친 공장이Registration대상임. - 하지만, OEM을 준 공장에서 라벨을 붙이는 것과 같이 제조과정에서 부차적인 작업을 하는 공장이라면, 소유 공장과 OEM 공장이 모두 Registration 대상이 됨상업적인 용도로 미국에 수입되는 식품은 미국관세청(US Customs and Border Protection)에서 통관을하며,통관과정에서 아래 기관의 검열을 거치게 됨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USDA) Animal Plant Health Inspection Service(APHIS) •Food Safety Inspection Service(FSI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FDA) 수입되는 제품의 성격에 따라 검열을 거치는 기관이 달라지지만, 유제품의 경우에는 위의 세 기관에서 규정하는 모든 규율을 준수해야 함 이는 FDA규정을 따라야 할 뿐만아니라 USDA, APHIS와 FSIS에서 요구하는 해당 permit and/or certification을 취득해야 한다는 것임 수입되는 모든 식품은 FDA에 PriorNotice–사전신고를 등록해야 하며, 해당식품이 육류, 계란, 우유, 가금류 등을 포함하고 있다면 APHIS나 FSIS의 VS Permit and/or Health Certificates을 받아야 하며, USDA로부터 importer license를 취득하여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