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FTA 통관 수출입 전문가 입니다.

FTA 통관 수출입 전문가 입니다.

홍유영 전문가
자문
무역
무역 이미지
Q.  미국과 중국이 관세를 115%p 인하하기로 합의했다는데, 도대체 이러면 가격이 어떻게 된다는 것인가요?
미국과 중국이 상호 부과 했던 보복관세율을 포함하여 부과 했던 세율, 미국이 중국산 수입품에 145%의 관세를 부과하고 중국은 일부 미국산 제품에 관세 125%를 부과했던 전체 관세율에서 각각 115 %P 를 인하하여 부과하는것으로 미국은 중국산 수입품에 보편 관세 10% + 펜타닐 관세 20% 인 30% , 중국은 미국산 수입품에 10%를 부과하는 것으로 합의 하였고 이는 유예기간을 가진다고 합니다.
무역
무역 이미지
Q.  미국의 관세정책이 큰 이슈인데, 우리나라에서 적용하는 관세중 가장 높은 세율을 적용하는 품목은 무엇이 있나요?
우리나라의 수입 관세는 평균적으로 8% 내외이지만, 일부 농산물과 가공식품에 대해서는 높은 관세율이 부과되고 있습니다. 특히 , 쌀의 경우 관세율이 513%로 대부분의 FTA 협정에서도 제외되어 기본 관세 율이 부과 됩니다. 국내 농업 보호와 식량 안보를 위한 조치로 다른 식량자원인 또한, 마늘, 양파, 고추 등 농산물이 유사한 목적으로고율의 관세율을 유지 하고 있습니다.
무역
무역 이미지
Q.  트럼프가 약값을 인하추진한다면 우리나라 약품 수출이나 수입에 영향이 있는가요?
집권 1기에 이어 또다시 미국 내 약값을 다른 나라 수준에 맞춰 인하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12일 서명했는데 이는 미국 내 비싼 의약품 가격에 대한 소비자 불만을 줄이면서 세금 절감 효과를 노린것이라고 합니다. 하 행정명령은 한국의 제약 및 바이오산업, 특히 미국 수출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분석이 나오고 있는 데 미국이 다른 국가보다 더 낮은 약값을 지불하도록 하는 '최혜국 대우(Most Favored Nation)' 정책을 부활시키는 내용을 포함하기 때문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한국의 바이오시밀러 기업들에게 미국 시장에서의 수출 확대 기회가 제공될 수 있다고 합니다.
무역
무역 이미지
Q.  우리나라와 미국의 관세 협상이 계속 진행중인데요 어떤 품목에 대해 그리고 어떤 것들을 협상하나요
우리나라는 "미국에서 밝힌 상호관세 유예가 종료되는 7월 8일 이전까지 관세 폐지를 목적으로 한 '7월 패키지(July Package)'를 마련할 것과, 양측의 관심사인 관세·비관세 조치, 경제안보, 투자협력, 통화(환율)정책 등 4개 분야를 중심으로 논의한다"는 발표가 있었습니다. 그 이후 미국의 영국과의 협상 타결 , 중국과의 보복관세율 인하등의 많은 변화가 있었기 때문에 7월 패키지전 이 또한 변경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우리나라는 4개 분야에서 의제를 좀 명확히 설정하고 '7월 패키지'라는 이름으로 실질적인 기한이 명시한것은 성과이지만 "다만 전반적인 협상 주도권이 미국 측에 있는 상황이고 최종 결정은 트럼프 대통령이 할 것으로 예상돼서 여전히 불확실성이 남아있다"라는 분석이 우세 합니다.
무역
무역 이미지
Q.  전달 수출물량이 24%나 줄었다는데, 그 원인은 무엇인가요?
2025년 4월 수출입동향에 따르면 4월 수출액은 전년동월대비 3.7% 증가한 582억 불이며, 수입액은 2.7% 감소한 533억 불입니다. 무역수지는 49억 불 흑자를 기록하였습니다.4월 수입은 △2.7% 감소한 533.2억 달러를 기록하였으며, 에너지 수입은 원유(△19.9%), 가스(△11.4%) 수입 감소로 전년 동월 대비 △20.1% 감소한 100억 달러, 반도체 장비(+18.2%) 등을 포함한 에너지 외 수입은 +2.4% 증가한 434억 달러를 기록하였다고 합니다.
9697989910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