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미국의 관세정책이 큰 이슈인데, 우리나라에서 적용하는 관세중 가장 높은 세율을 적용하는 품목은 무엇이 있나요?
우리나라의 수입 관세는 평균적으로 8% 내외이지만, 일부 농산물과 가공식품에 대해서는 높은 관세율이 부과되고 있습니다. 특히 , 쌀의 경우 관세율이 513%로 대부분의 FTA 협정에서도 제외되어 기본 관세 율이 부과 됩니다. 국내 농업 보호와 식량 안보를 위한 조치로 다른 식량자원인 또한, 마늘, 양파, 고추 등 농산물이 유사한 목적으로고율의 관세율을 유지 하고 있습니다.
Q. 우리나라와 미국의 관세 협상이 계속 진행중인데요 어떤 품목에 대해 그리고 어떤 것들을 협상하나요
우리나라는 "미국에서 밝힌 상호관세 유예가 종료되는 7월 8일 이전까지 관세 폐지를 목적으로 한 '7월 패키지(July Package)'를 마련할 것과, 양측의 관심사인 관세·비관세 조치, 경제안보, 투자협력, 통화(환율)정책 등 4개 분야를 중심으로 논의한다"는 발표가 있었습니다. 그 이후 미국의 영국과의 협상 타결 , 중국과의 보복관세율 인하등의 많은 변화가 있었기 때문에 7월 패키지전 이 또한 변경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우리나라는 4개 분야에서 의제를 좀 명확히 설정하고 '7월 패키지'라는 이름으로 실질적인 기한이 명시한것은 성과이지만 "다만 전반적인 협상 주도권이 미국 측에 있는 상황이고 최종 결정은 트럼프 대통령이 할 것으로 예상돼서 여전히 불확실성이 남아있다"라는 분석이 우세 합니다.
Q. 전달 수출물량이 24%나 줄었다는데, 그 원인은 무엇인가요?
2025년 4월 수출입동향에 따르면 4월 수출액은 전년동월대비 3.7% 증가한 582억 불이며, 수입액은 2.7% 감소한 533억 불입니다. 무역수지는 49억 불 흑자를 기록하였습니다.4월 수입은 △2.7% 감소한 533.2억 달러를 기록하였으며, 에너지 수입은 원유(△19.9%), 가스(△11.4%) 수입 감소로 전년 동월 대비 △20.1% 감소한 100억 달러, 반도체 장비(+18.2%) 등을 포함한 에너지 외 수입은 +2.4% 증가한 434억 달러를 기록하였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