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조선 전기에 붕당이 동인 서인으로 나뉜 이유와 주 인물들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수희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임난 일어나기 불과 몇년 전에 정여립의 난이 터집니다이것을 계기로 동인들은 1000여명이라는 엄청난 수의 선비가 죽거나 귀양가고 실각하게 됩니다.그리고 정권을 잡은 서인측의 우두머리인 정철이 선조에게 광해군의 세자책봉을 건의했다가선조의 미움을 받게 됩니다. 이에 동인측에서 다시 정철을 처벌하자는 의견이 나오는데요여기서 갈립니다이산해, 이발 등 정철을 강력히 처벌하자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북인, 강경파구요유성룡 등이 다시 분란을 일으키지 말자고 온건히 가자 주장하는게 남인입니다. 이후에는 북인이 광해군의 지지세력이 되었으나 인조반정으로 북인은 아예 사라져버립니다.북인에는 임난 당시 의병장 출신이 많죠 이후에는 서인-남인의 구도에서 인조반정의 공신인 서인의 주도아래 이어져 내려오다가다시 효종 사망 후 현종의 상복 기간에 대해서 문제가 불거져 다시 서인은 노론-소론 갈라지고노론- 소론,남인쯤으로 가다가 다시 사도세자 건으로 노론이 대북,소북으로 나뉘어집니다
Q. 암행어사는 언제부터 시작되었으며, 실제 하는 일은 무엇이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수희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에서 암행어사라는 말은 제13대 명종 5년(1550)에 쓰여졌으나 실질적으로 암행어사를 파견한 것은 제11대 중종 4년(1509)으로서 중종 때부터 암행어사 제도가 본격적으로 시행되었다고 보여집니다. 중종 4년(1509) 11월에 부원군(府院君) 김수동(金壽童)이 "근일 암행어사를 분견해 수령의 범죄를 적발하는 것은 편치 못한 일이오."라고 한 발언을 미루어볼 때 이 말은 중종이 당시 암행어사를 비밀리에 많이 파견했다는 사실을 뒷받침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때 누가 암행어사로 분견됐는지는 명시되지 않아, 최초의 암행어사를 구체적으로 말하기에는 부족합니다.그런데 그 이전인 성종 21년(1490) 암행어사와 유사한 활동을 한 조지서란 인물에 대한 기록이 있습니다. 당시 조지서는 왕의 측근 관원으로 응교직에 있었는데"지서가 어사가 되어 항상 번개와 같이 관부에 출입함이 야골(野結 : 들에 사는 매)과 같으며, 순찰할 때는 복색이 무상해 혹은 관복하고 혹은 미복(微服 : 변장하는 것)해 사람들이 그의 행동을 알 수 없다고 하더라."라는 기록이 있습니다.어사이면서도 사람들이 그의 행색을 알지 못하도록 변장하며 다니며 관부를 매와 같이 출입했다는 기록은 암행어사의 활동상과 유사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즉 중종 이후 본격화된 암행어사의 활동을 성종때의 조지서가 이미 수행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런 점에서 조지서를 최초의 암행어사로 봐도 무방할 것 같습니다.
Q. 고려시대에 난들이 많은 이유가 궁금합니다.
무신정변 원인 : 무신에 대한 차별 대우, 문신 위주의 정치에 불만, 열악한 대우에 시달린 하층 군인들의 불만, 국왕과 문신들 사이의 갈등 경과 : 정중부, 이의방 등을 중심으로 무신 정변 발생(1170년) → 다수의 문신 제거, 의종을 폐위하여 거제도로 귀양 → 명종을 세워 정권 장악 → 문신인 김보당의 의종 복위 실패 → 의종의 제거 무신 간 권력 쟁탈 전개 : 정중부 → 경대승 → 이의민 → 최충헌
Q. 정치에 있어 좌파, 우파라는 말을 쓰잖아요
안녕하세요. 김수희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우파와 좌파라는 개념과 정의가 어떻게 생겨났느냐는 사전에 정확히 나와있습니다.우리나라의 좌파는 민족주의적 친북 세력들로 이루어 져있고 진보적 성향이 강합니다.우리나라의 우파는 국제주의적 친일 친미 세력들로 이루어 져있고 보수적 성향이 강합니다.하지만 정치가 혹은 교수들은 흔히 우리나라의 진보적 성향과 보수적 성향은 진보안에서 또 다르게 나뉜 두 개념을 진보와 보수라고 하고 반대적 개념은 아니라고 말을 합니다.여기서 친북과 친일은 왜구와 빨갱이들을 말하는것이 아닌 정책이나 외교, 명분, 실리, 당의 입장에 있어서 더욱 치우쳐져 있는것을 말합니다.현재 좌파는 우파들을 토착왜구 일베라고 아울러 말하며 우파는 좌파를 빨갱이 조선족 중꿔등을 아울러 여전히 갈등이 매우 심한 상태입니다. 당연히 우리나라의 좌파에는 진보와 보수세력이 썩여있고 우파에도 진보와 보수세력이 썩여있다고도 봅니다.아이러니 하게도 우리나라의 근현대사와 현실을 본다면 우파세력과 좌파세력이 과연 국민들을 위한, 나라를 위한 진보적 성향과 보수적 성향을 나타내고 있지는 않아 보입니다. 오히려 당을 위한, 표를 위한 성향이 보수적이고 진보적이다가 맞습니다. 그러니 굳이 나눠서 정의를 내린다면 친북 세력과 친일 친미 세력이라고.. 그렇게 나눌수 밖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