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최윤덕 장군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어떤인물인지 어떤 업적을 남겼는지 등등요
안녕하세요. 김수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조 초기의 무장, 자는 여화, 호는 임곡, 시호는 정열공, 본관은 통천, 지중추부사 운해의 아들. 고려 우왕 (1376년)에 창원시 북면 내곡리 무등촌에서 태어났으며, 1446년에 사망하였다. 인물연혁14세때 활쏘기를 잘하여 주위의 칭송을 받았다. 학문은 양촌 권근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19세 때인 조선조 태조 3년에 갑무과에 합격하였다. 21세 때 부친을 따라 영해의 반포에서 왜적을 격파하였다.1419년(세종 원년)에 삼군도절제사로서 대마도에 출정하여 점령하고 천신산에서 대마도 도주의 항복을 받았다. 세종 15년 계축에 야인 이만주가 압록강의 지류인 파저강을 건너 침입하여 인민을 학살하므로 장군이 도절제사로서 평안·황해 2도 군병 1만5천을 거느리고 출정하여 야인을 격퇴하였다. 세종 15년 왕은 선위사 박신생을 군영에 보내어 여러 가지 물품을 하사하였다. 장군이 개선하는 날, 세종은 근정전에서 큰 연회를 베풀고 왕이 친히 술잔을 잡아 위로하였다. 세종 16년 우의정이 되었다. 이것은 무인에게는 전례가 없는 일이었다. 장군은 관직을 맡아서는 청렴결백하여 청백리로서 이름이 남았고 장수로 30년을 지내면서 그 위력이 변경에까지 알려졌다. 유래70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는데, 세종은 애도하여 3일간 조회를 하지 않았으며, 제사 물품을 하사하고 시호를 정열공(貞烈公)이라 하였다. 세종 조정에 배향되었고 평안도 안주 청천서원에 봉향되었으며 통천 풍계사(楓溪祠)에 봉향하였다. 묘소는 창원시 북면 대산리 갈전 부락 뒷산에 위치하고 있으며, 조선조 초기의 방형묘로 이 부근에서는 볼 수 없는 큰 분묘이다.정열공은 우리 고장 창원에서 탄생한 역사적 인물로 우리 고장의 자랑이 아닐 수 없다.공의 정려각(旌閭閣)은 창원시 소답동(구 창원읍 동문 밖)에 있고, 정열공 최윤덕 장상 신도비를 1996. 5. 20 건립 창원시 용지공원에 있다. 출처.....창원의인물 자료인용
Q. 조선후기에 환국 에서 탕평으로 바뀐 이유가 궁금합니다.
환국 : 조선 숙종의 정치 방식으로, 왕의 힘으로 주도권을 쥔 붕당을 갈아치우는 것을 말합니다. 즉, 엄밀히 말해서 겉만 붕당정치이고 실제로는 왕의 권력이 매우 막강했던 시절에만 가능했던 왕의 독주정치입니다.탕평 : 조선 영정조 시대의 정치 방식으로, 어느 하나의 붕당만 편애하지 않고 골고루 인재를 등용한다는 뜻입니다. 일단 이것도 왕 스스로가 강력하지 못하면 해낼 수 없다는 점은 환국과 비슷하나, 환국이 붕당 하나에 권력을 몰빵했다가 빼앗았다가를 반복하는 식이라면 탕평은 애초부터 제한된 권력을 여러 붕당에게 나눠주는 식이었습니다.환국은 요즘으로 치면 집권당을 숙종이 바꾸며 정국을 자신의 뜻에 맞게 꾸릴수 있는 숙종의 정치적 수단입니다이렇게 되면 집권당 측은 왕의 말을 들을수밖에 없고 숙종은 자신의 왕권강화를 위해 환국을 이용한거죠여기서 떨어진 붕당은 숙청 소외되었고요..
Q. 우리나라에는 다양한 둘레길이 있습니다. 이런 둘레길은 언제 처음 만들어졌나요?
안녕하세요. 김수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둘레길이라고 명한게 언제부터인지는 모르지만 지리산이먼저 불려진것 같습니다.지리산둘레길중 1,2,3코스는 마을을 많이 지나기때문에걷기에도 그렇게 힘들지 않고 봄의생동감이 넘치는 그런곳이라 봅니다.또 2코스운봉읍은 4월20일정도부터 5월중순까지는 바래봉 철쭉제와 허브축제가 열리는구간으로볼거리와 먹거리가 있는 곳입니다.마을마다 민박이 있어 숙박을 구하기도 쉽고 지리산둘레길 처음 만들어진곳인 만큼 좋은곳입니다.또 인월면에 5일장(3.8일장)열리는곳으로 장날 오신다면 둘러보시고.3코스중간에 실상사도 가보시고..1,2,3코스를 다 걸으실러면 2박3일은 하셔야하며 1박2일로 하실거면 3코스정도 추천드려요.
Q. 흡혈귀는 정말 존재했나요? 흡혈귀는 아니더라도 흡혈 동물이 정말 존재하나요?
안녕하세요. 김수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모기,거머리,흡혈박쥐외에 피빨아먹는 동물, 곤충에는 체체파리, 진드기, 칸디루라고 하는 작은 투명한 메기입니다. 체체파리는 파리종류인데 아프리카에 주로 많이 살죠. 진드기는 주로 개의 피를 빨아먹습니다. 그리고 칸디루라고 하는 작은 투명한 메기는 물고기의 피에 대한 식욕이 무척이나 강하다고 합니다.
Q. 6.25전쟁에서 유엔군이 참전하게 된 이유는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수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유엔 평화 유지군(PKO, United Nations Peacekeeping Operations) 파병에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의 승인이 필요합니다. 안보이사회는 유엔 창립국 중 5개국(미국, 영국, 프랑스, 중국, 러시아)의 상임 이사국과 10개국의 비상임 이사국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1950년대 한국전쟁 당시, 유엔 안보이사회는 북한의 남침에 대한 대응으로 남한 정부 요청에 따라 유엔군 파병을 승인하였습니다. 중국과 소련은 당시 안보이사회의 이사국으로 참여하였지만, 북한에 대한 지원으로 인해 유엔군 파병에 대한 승인에는 반대하였습니다.따라서, 유엔군 파병이 가능하려면 이사국 중 5개국(상임 이사국) 중 최소 9개국의 승인이 필요합니다. 한국전쟁 당시 상황에서는 중국과 소련의 반대가 있었지만 유엔군 파병이 승인되었습니다.1950년 6월 25일 북한이 남한을 침공하면서 한국전쟁이 발발하면서 상황이 급변했습니다.유엔 안보리는 북한의 침공을 규탄하고 대한민국에 군사적 지원을 약속했습니다. 이에 따라 미국을 비롯한 유엔군은 남한에 투입되어 전투를 벌였습니다. 소련과 중국은 이에 반발하면서 북한을 지원하기 위해 군사적 개입을 시작했습니다.그 결과, 한국전쟁은 북한과 중국, 소련이 지원하는 북한군과 유엔군이 충돌하는 대규모 군사 충돌으로 확대되었습니다. 이후 1953년까지 전쟁이 이어졌지만, 이후 양측은 정전 협정을 체결하고 전쟁을 종료시켰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