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김창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전문가입니다.

김창현 전문가
COSCO
경제정책
경제정책 이미지
Q.  나토 회의에 참석을 안 하면 자국에 단점이 더 많은가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참석을 안 한다고 해서 단점이 많다는 것은 아닙니다. 대한민국은 나토 회원국이 아닙니다. 우리나라는 미국, 중국, 러시아, 유럽, 중동 국가 등과의 외교를 통해 돈을 벌어야 합니다. 나토를 굳이 방문함으로써, 다른 나라와의 외교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그러니 방문할 이유가 없는데도 불구하고, 굳이 미국과의 관계때문에 갈 필요는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주식·가상화폐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Q.  금은방 하시는 분들은 보통 금을 얼마정도 매입한다음에 차리시나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금은방 창업 시 가장 큰 비중은 차지하는 것이 바로 '상품 매입비용' 입니다. 금은방 규모, 취급하는 제품의 종류, 그리고 지역 상권에 다라 천차만별입니다. 총 창업 비용은 최소 2억~3억 원 이상으로 볼 수 있습니다. 여기에는 임대료 보증금, 인테리어, 집기류, 보안 시스템, POS 시스템, 초도 상품 매입비용 등이 포함됩니다. 상품 매입비용만 놓고 보면, 최소 7천만 원에서 1억 원 이상, 많게는 4억 원 이상의 물건을 보유하는 곳도 많습니다. 특히 순금 제품을 다양하게 구비하려면 상당한 자금이 필요합니다. 어떤 금은방은 14K 제품 위주로 1억 원, 순금 제품을 300돈 기준 1억 2천만 원을 정도를 최소 비용으로 제시하기도 합니다.
주식·가상화폐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Q.  비트코인의 거래소는 보관하기 안전한가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코인을 거래소에 보관하는 것은 편리함 때문에 가장 일반적인 방법이지만, 보안적인 측면에서는 항상 위험이 따릅니다. 가장 큰 위험은 거래소가 해킹당할 가능성과 거래소 파산 시 자산을 잃을 가능성입니다. 거래소는 방대한 양의 암호화폐를 보유하고 있어 해커들의 주요 표적이 됩니다. 은행과 달리 대부분의 암호화폐 거래소는 예금자 보호 제도의 대상이 아닙니다. 만약 거래소가 해킹당하거나 파산할 경우, 고객의 자금을 보전해 줄 의무가 없거나 보험이 적용되지 않아 자금을 돌려받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매년 수많은 해킹 사고가 발생하며, 피해액도 수십억 달러에 달합니다. 2024년에만 22억 달러 이상의 암호화폐가 도난당했으며, 전체 암호화폐 거래량에서 불법 활동이 차지하는 비중은 1% 미만으로 비교적 낮지만, 여전히 상당한 규모의 피해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자산관리
자산관리 이미지
Q.  롯데케미칼의 미래 전망은 어떨까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화학 산업은 팬데믹 이후 공급 과잉, 글로벌 경기 둔화, 유가 변동성, 중국의 자급률 상승 등으로 인해 전반적으로 어려운 시기를 겪고 있습니다. 롯데케미칼 역시 최근 몇 년간 영업 손실을 기록하는 등 힘든 시간을 보냈습니다. 롯데케미칼은 이러한 위기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적극적인 개혁과 사업 포트폴리오 재편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기존 범용 석유화학 제품 위주의 사업 구조에서 벗어나, 전기차 배터리 소재, 수소 에너지, 리사이클 플라스틱 등 고부가가치 스페셜티 소재 중심으로 사업을 재편하고 있습니다. 미래 핵심 사업과의 연계성이 낮은 분야는 과감히 정리하고 자산을 매각하여 현금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최근 수처리 사업 매각, 파키스탄 자회사 지분 매각, 인도네시아 자회사 지분 활용 자금 조달 등 적극적인 포트폴리오 재편을 진행했습니다.
주식·가상화폐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Q.  코인 백서가 없는 코인도 있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원칙적으로 블록체인 프로젝트나 암호화폐는 해당 기술, 목표, 토큰 경제, 로드맵 등을 설명하는 '백서'를 발행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또 권장됩니다. 백서는 해당 프로젝트의 청사진이자 투자자들이나 개발자들이 프로젝트를 이해하는 데 가장 기본적인 문서이기 때문입니다. 백서가 없거나 찾기 어려운 경우는 사기 코인이 가장 흔한 경우입니다. 사기를 목적으로 만들어진 코인들은 애초에 진지한 기술적 목표나 비전이 없기 때문에 제대로 된 백서를 만들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투자자들은 현혹하기 위한 허위 정보만 있거나, 아예 백서 자체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도지코인이나 시바이누처럼 특정 커뮤니티의 유머나 문화적 현상에서 시작된 밈 코인들은 처음부터 기술적인 백서를 목표로 만들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물론, 나중에 프로젝트가 커지면서 뒤늦게나마 관련 정보나 '라이트페이퍼'와 같은 간략한 문서를 공개하기도 합니다.
19119219319419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