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코인시장에서 비트코인 제외하고 왜 다 지지부진하죠?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최근 암호화폐 시장은 비트코인의 독주가 두드러지고, 비트코인을 제외한 다른 알트코인들은 상대적으로 힘을 못 쓰고 있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대장 코인이 잘 가면 그 옆에 있는 코인도 잘 간다'는 말이 일반적으로는 맞지만, 지금처럼 비트코인만 강세를 보이는 시기에는 몇 가지 복합적인 이유가 있습니다. 비트코인 도미넌스는 전체 암호화폐 시가총액에서 비트코인이 차지하는 비중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이 수치가 높다는 것은 시장의 자금이 비트코인으로 쏠리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최근 비트코인 도미넌스가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이는 투자자들이 다른 알트코인보다는 비트코인에 집중적으로 투자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미국에서 비트코인 현물 ETF가 승인되고 상장되면서, 그동안 가상자산 시장에 직접 투자하기 어려웠던 기관 투자자들의 자금이 대규모로 유입되고 있습니다.
Q. 워렌버핏은 주식을 어떻게 투자하라고 하는거죠?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워렌 버핏의 투자 방식은 '가치 투자'로 요약될 수 있습니다. 복잡하게 느껴지실 수 있지만, 핵심 원칙은 매우 간단하고 명확합니다. 주주 서한이 어렵게 느껴지는 것은 아마도 구체적인 기업 분석이나 회계적인 내용 때문일 텐데, 기본적인 원칙만 이해해도 큰 도움이 됩니다.워렌 버핏은 내가 잘 아는 분야의 회사에만 투자하라고 합니다. 워렌 버핏은 자신이 사업 모델을 명확히 이해하고, 미래를 예측할 수 있는 기업만에 집중합니다. 아무리 유망해 보여도 잘 모르는 복잡한 기술이나 산업에는 투자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오랫동안 IT 기업에 투자하지 않았던 이유도 이 때문입니다. 좋은 기업의 조건 중 하나인 경제적 해자는 경쟁자가 쉽게 침투할 수 없는 강력한 경쟁 우위를 가진 기업입니다. 마치 성 주위에 깊은 해자를 파서 적의 침입을 막는 것처럼, 기업이 경쟁 우위를 유지할 수 있는 방어벽을 의미합니다. 아무리 좋은 기업이라도 너무 비싸게 사면 수익을 내기 어렵습니다. 기업의 가치를 스스로 분석하고, 그 가치보다 시장 가격이 낮을 때 매수하여 '안전 마진'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Q. 국내에서는 위믹스(WEMIX)의 퇴출이 확정됐다고 하는데, 무슨 이유때문에 그런거죠?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위믹스가 국내 주요 가상자산 거래소에서 퇴출된 것은 복합적인 이유가 있지만, 크게 해킹 피해와 그에 대한 미흡한 대응, 그리고 투명성 문제가 주요 원인으로 꼽힙니다. 2025년 2월, 위믹스에서 약 88억 원 상당의 위믹스 코인 약 865만 개가 해킹으로 탈취되는 사건이 발생했습니다. 중요한 문제는 이 해킹 사실을 위믹스 측에서 늦게 공지했다는 점입니다. 투자자들에게 즉시 알리지 않아 신뢰를 훼손했다는 비판을 받았습니다. 디지털자산거래소 공동협의체는 이러한 공지 지연과 피해 원인 소명 부족을 문제 삼았습니다. 위믹스는 2022년 12월에도 유통량 공시 문제로 국내 거래소에서 한 차례 상장 폐지된 전례가 있습니다. 당시 위믹스 측이 공시한 유통량과 실제 유통량이 달라 투자자 보호에 미흡했다는 지적이 있었습니다. 비록 이후 재상장되었지만, 이번 해킹 사건과 더불어 과거의 문제가 다시 부각되면서 신뢰 회복에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Q. 한미반도체가 자사주를 소각했다고 하는데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한미반도체가 최근 1300억 원 규모의 자사주 소각을 완료했습니다. 이는 창사 이래 최대 규모의 자사주 소각입니다. 자사주 소각의 가장 큰 목적은 주주가치 제고입니다. 회사가 보유하고 있던 자사주를 없애면 발행주식 총수가 줄어들게 됩니다. 전체 주식 수가 줄어들기 때문에, 회사의 가치는 그대로라고 가정할 때 한 주당 가치가 상대적으로 높아집니다. 동일한 순이익을 가정할 때, 주식 수가 줄어들면 주당순이익이 증가하여 투자 지표가 개선됩니다. 발행 주식 수가 줄어들면서 기존 주주들이 보유한 주식의 상대적 지분율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습니다. 기업이 동일한 배당 성향을 유지하더라도, 발행 주식 수가 줄어들면 각 주주에게 돌아가는 배당금이 늘어날 가능성이 있습니다. 즉, 주주환원 정책을 강화하는 효과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