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김창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전문가입니다.

김창현 전문가
COSCO
자산관리
자산관리 이미지
Q.  해외 이민갈 때 한국에 빚이 남아 있으면 출국 전 다 갚아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해외 이민을 계획하고 계시면서 한국에 은행 대출이 남아있으시군요. 해외 이민시 한국에 빚이 남아 있다면 출국 전에 원칙적으로 다 갚거나, 채무 조정을 통해 상환 계획을 명확히 해야합니다. 다 갚지 않고 출국하는 것은 법적으로 문제가 될 수 있으며 장기적으로는 본인에게 큰 불이익이 될 수 있습니다.
예금·적금
예금·적금 이미지
Q.  해외여행을 하면서 해외에서 카드사용시 원화결제와 외화결제중 어떤 것이 더 유리할까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해외여행 시 카드 결제는 무조건 현지통화(외화)로 하는 것이 압도적으로 유리합니다. 불필요한 이중 환전 수수료가 발생하지 않아 훨씬 경제적입니다. 원화 결제는 해외원화결제라고 불리며 여러 단계의 불필요한 환전 수수료가 붙어 소비자에게 큰 손해를 입힙니다. 결제액의 3~8%에 달하는 불필요한 수수료를 더 지불하게 됩니다.그렇기때문에 해외에서 카드 결제시에는 항상 현지통화(외화)로 결제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며, 불필요한 수수료를 절약하는 유일한 방법이겠습니다.
경제동향
경제동향 이미지
Q.  코로나시기에도 우리나라 사람들은 커피를 많이 애용했는데, 최근에는 커피구입률이 떨어졌다고 하는데, 커피판매량이 줄어든것은 어떤 이슈가 있어서 그런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말씀하신 것처럼 우리나라 젊은 층에서 커피 소비는 매우 보편화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 들어 커피 판매량이 줄어들고 있다는 이야기가 나오는 것은 여러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한 결과로 보입니다.원두 가격 상승, 인건비, 임대료 등 제반 비용 상승으로 인해 주요 커피 프랜차이즈들은 꾸준히 가격을 인상해왔습니다. 또한 고금리, 고물가 상황이 장기화되면서 전반적인 소비 심리가 위축되고 있습니다.커피는 여전히 많은 사람들에게는 애용되는 음료이지만 고물가, 경쟁 심화, 소비 트렌드 변화 등의 양향으로 과거와 같은 폭발적인 성장은 어려워지고 있으며, 일부 프랜차이즈의 폐점으로 이어지는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물론 모든 커피 프랜차이즈가 문을 닫는 것은 아닙니다. 시장이 재편되는 과정이라고 볼 수 있으며, 특정 브랜드는 여전히 성장세를 유지하거나 새로운 전략으로 활로를 모색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저가 커피 브랜드는 매장 수를 공격적으로 늘리며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또한 배달 서비스를 강화하거나, 프리미엄 전략으로 차별화를 꾀하는 브랜드도 있습니다.
경제동향
경제동향 이미지
Q.  한동안 하늘이 높은 줄 모르고 치솟던 물가중에서 과일,야채,채소등 그 상승률이 높았는데, 최근에 이러한 채소가격하락 요인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가장 큰 요인은 최근 기상 여건이 농산물 생육에 좋게 작용하여 작황이 개선되고 출하량이 늘어난 것이겠습니다. 또한 긴급 가격안정 자금 투입, 수입 확대 및 비축 물량 방출의 정부의 적극적인 농산물 물가 안정화 대책도 가격 하락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봅니다.높은 물가가 지속되면서 소비자들이 장바구니 부담을 느끼고 구매를 중이는 현상도 간접적으로 가격 하락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습니다. 수요가 줄어들면 가격은 자연스럽게 내려가기 마련입니다.좋은 기상여건으로 인한 생산량 회복 및 정부의 시장 개입, 그리고 일정부분 소비 위축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최근 채소 가격 하락을 이끌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다만, 과일류, 특히 사과나 배처럼 작년 기상 재해의 여파가 큰 품목들은 여전히 높은 가격을 유지하고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예금·적금
예금·적금 이미지
Q.  퇴직연금은 근로자의 노후를 위해서 가입을 필수적으로 하고 있는데, 퇴직연금을 가입하지 않는 기업도 많은지 궁금하며, 예전처럼 퇴직금제도가 그대로 유지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현재 우리나라의 퇴직급여 제도는 퇴직연금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지만 아직 퇴직금 제도가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닙니다.안타깝게도 퇴직연금에 가입하지 않은 기업이 아직 많습니다. 2024년 6월 보도에 따르면 전체 사업장의 약 70%가 퇴직연금에 가입하지 않고 있다는 통계가 있었습니다. 특히 영세 사업장의 가입률이 낮은편입니다.하지만 정부는 근로자의 노후 소득 보장과 퇴직급여 체불 방지를 위해 퇴직연금제도의 도입을 단계적으로 의무화하고 있습니다.현재 퇴직연금제도는 권고 사항이지만 2025년부터는 단계적으로 의무화될 예정입니다.
43643743843944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