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김창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전문가입니다.

김창현 전문가
COSCO
주식·가상화폐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Q.  상장되는 코인에다가 투자하는건 위험한 방법일까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신규 상장 코인은 아직 시장에 정보가 충분히 공개되지 않거나, 검증되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초기에는 정보에 빠른 소수 투자자들 사이에서 가격이 급등할 수 있지만, 이후에는 큰 폭의 하락이 뒤따르는 경우가 흔합니다. 상장 초기의 작은 거래량에도 가격이 크게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특정 세력이나 고래들이 시세를 조작하여 펌핑 앤 덤핑을 시도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주식과 달리 암호화폐 시장은 가격 제한 폭이 없으므로, 상장 직후 수백 퍼센트 급등했다가 순식간에 수십 퍼센트 또는 그 이상 폭락하는 것이 비일비재합니다. 새로 상장되는 코인들은 프로젝트의 기술력, 실현 가능성, 팀 구성, 로드맵 등에 대한 정보가 충분하지 않거나, 과장되게 홍보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투자자들이 합리적인 판단을 내리기 어렵습니다.
주식·가상화폐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Q.  상폐되는 코인들이 마지막에 갑자기 시세가 급등하던데 왜 그런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대부분의 거래소는 특정 코인이 상장 폐지될 예정이라고 공지하면, 투자자 보호를 위해 해당 코인의 입금을 중단시킵니다. 즉, 외부에서 해당 코인을 더 이상 거래소로 들여올 수 없게 됩니다. 새로운 공급이 차단된 상태에서 해당 거래소 내에서만 거래가 가능하게 되면서, 유통량이 제한되는 효과가 발생합니다. 동시에, 일부 투기적인 투자자들이 이 마지막 기회를 노리고 매수세에 뛰어들면, 제한된 공급량 속에서 가격이 급등할 수 있습니다. 이를 흔히 '가두리 펌핑'이라고 부릅니다. 상장 폐지 코인은 가치가 0에 수렴할 가능성이 매우 높지만, 극단적인 변동성으로 인해 단기간에 큰 수익을 얻을 수 있다는 환상을 일부 투기 세력에게 심어줍니다. 이들은 폭탄 돌리기와 유사한 형태로 진입하여 가격을 급등시키는 경우가 있습니다.
주식·가상화폐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Q.  자산운용사랑 증권사랑 무슨 차이 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두 회사는 서로 다른 역할을 수행하는 별개의 법인이며, 대부분의 경우 지분 관계를 통해 같은 금융 그룹에 속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증구너사는 주로 투자자와 주식 시장을 이어주는 중개자 역할을 합니다. 다양한 금융 상품을 판매하고, 기업의 자금 조달을 돕는 투자은행 업무도 수행합니다. 개인이 주식이나 채권을 사고팔 수 있도록 HTS, MTS 같은 거래 시스템을 제공하고, 거래 수수료를 받습니다. 자산운용사는 고객으로부터 모은 자금을 전문가가 직접 운용하여 수익을 창출하는 역할을 합니다. 즉, 물건을 만드는 제조사라고 할 수 있습니다. 불특정 다수의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모아 주식, 채권, 부동산 등 다양한 자산에 투자하는 펀드 상품을 개발하고, 펀드매니저가 이를 전문적으로 운용합니다.
자산관리
자산관리 이미지
Q.  요즘 소비가 다 정기구독으로 되어가는데 괜찮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매번 구매하는 것보다 구독료가 저렴하고, 정기적으로 필요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면 가성비가 높습니다. 예를 들어, 매일 음악을 듣거나 주 2~3회 이상 특정 OTT서비스를 이용한다면 구매보다 구독이 이득일 수 있습니다. 특정 소프트웨어, 고가의 가전제품, 자동차 등을 직접 구매하는 대신 구독으로 이용하면 초기 비용 부담을 줄이고, 최신 기능을 유지하며 유지보수 걱정 없이 이용할 수 있어 가성비가 높아집니다. 하지만 월 몇 천 원이니까 괜찮겠지라는 생각으로 여러 서비스를 구독하다 보면, 개별 금액은 작지만 합치면 예상보다 큰 고정 지출이 됩니다. 무심코 결제되어 잊힌 서비스도 많습니다. 한두 번 쓰고 방치하는 구독 서비스가 많다면, 이는 명백히 낭비입니다. 언젠가 쓰겠지하는 마음으로 유지하는 것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예금·적금
예금·적금 이미지
Q.  월급이 일정치 않거나 적더라도 현실적인 저축 습관을 만들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단순히 쓰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나의 고정 지출과 변동 지출을 명확히 분류해야 합니다. 앱, 엑셀, 수기 가계부 등 어떤 형태든 좋습니다. 최소 2~3개월간 기록하면 나의 소비 패턴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매달 나가는 고정 지출 중 줄일 수 있는 부분이 없는지 점검해야 합니다. 알뜰폰으로 교체하거나 요금제를 낮출 수 없는지 확인하고, 사용하지 않는 OTT나 앱 구독은 없는지 해지해야 합니다. 불필요한 보장이 있거나 너무 과도한 보험료를 내고 있지는 않은지 점검해야 합니다. 당장 큰 금액이 어렵다면, 월 수입의 최소 5%라도 저축하는 것을 목표로 삼어야 합니다. 수입이 불안정하다면, 최소 보장 저축액을 정하는 것도 좋습니다. 예를 들어 수익이 적어도 월 10만원은 무조건 저축한다고 정하는 것입니다.
45645745845946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