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국내외 주식 시장의 판도는 어떻게 되어가고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국내외 주식 시장은 여러 복합적인 요인에 의해 복잡한 판도를 보이고 있습니다. 전반적인 세계 경제의 흐름이 좋지 않다는 말씀처럼, 여러 불확실성이 시장에 영향을 미치고 있어 투자자들이 손실을 경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2025년 글로벌 경제 성장률은 2024년 대비 둔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유럽과 중국, 한국 등은 팬데믹 이전 대비 성장률이 크게 하락한 상황이며, 저성장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미국 경제는 여전히 견조한 성장세를 보이지만,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가 상존합니다. 특히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2기 행정부 출범으로 인한 무역 정책의 불확실성이 더욱 높아져 글로벌 무역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이는 각국의 수출을 둔화시키고 성장의 하방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Q. 돈을 잘 모으는 사람들은 하루에 돈을 얼마나 적게 쓰는건지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하루에 돈을 얼마나 적게 써야 잘 모으는 사람이라고 단정하기는 어렵습니다. 왜냐하면 개인의 소득, 생활 방식, 목표에 따라 적게 쓴다는 기준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돈을 잘 모으는 사람들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이며, 이를 통해 하루 지출을 효과적으로 관리합니다. 한 달 수입과 지출 계획을 세우고, 각 항목별로 예산을 정합니다. 설정한 월별 예산 내에서 얼마까지 쓸 수 있는지 역산하여 대략적인 일일 한도를 정하고 지키려고 노력합니다. 예를 들어, 한 달 식비가 50만원이라면 하루에 약 1.6만원 정도를 쓰는 것을 목표로 하는 식입니다. 주거비, 공과금, 식비 등 필수적인 지출을 먼저 고려하고, 나머지 금액으로 저축 및 기타 지출을 계획합니다.
Q. 미국의 신용등급 강등으로 인해서 주식시장이 폭락할것 같았는데 왜 폭락하지 않은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미국의 재정 적자 심화 문제는 이미 시장에 상당 부분 알려져 있었고, 일부에서는 신용등급 강등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있었습니다. 따라서 무디스의 이번 결정이 시장에 갑작스러운 충격으로 다가오지 않았을 수 있습니다. 과거 S&P나 피치의 신용등급 강등 사례에서도 일시적인 하락은 있었지만, 장기적인 폭락으로 이어지지는 않았습니다. Moody's 역시 미국의 강력한 경제적, 금융적 강점을 인정했습니다. 비록 재정 지표에는 우려가 있지만, 전반적인 경제 펀덤멘털이 여전히 튼튼하다는 인식이 시장에 작용한 것으로 보입니다. 신용등급 강등에도 불구하고 미국 국채는 여전히 글로벌 안전 자산으로 인식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오히려 시장 불안감이 커질 경우, 투자자들이 안전 자산으로 몰리면서 국채 금리가 하락하고 주식 시장의 하락을 방어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