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가끔 주식할때 미수로 큰 금액을 손실보구 또 미수를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매매할 때마다 언제, 얼마의 금액으로, 어떤 이유로 미수를 사용했는지, 그리고 그 결과는 어떠했는지 상세히 기록해 보아야 합니다. 객관적인 데이터를 통해 자신의 패턴을 파악하고 감정적인 판단이 아닌 사실에 기반하여 문제점을 인식할 수 있습니다. 자신이 감당할 수 있는 손실의 크기를 미리 정하고, 그 이상 손실이 발생하면 미수 거래를 즉시 중단하겠다는 강력한 원칙을 세워야 합니다. 증권사 앱이나 HTS에서 미수 사용을 비활성화하는 기능이 있다면 적극적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물리적으로 미수 거래 자체를 불가능하게 만드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미수 없이 자신이 감당할 수 있는 소액으로만 거래를 해보며 안정적인 수익을 내는 경험을 쌓아보시기 바랍니다.
Q. 나스닥과 다우지수는 어떻게 다른가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나스닥 지수와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모두 미국 주식 시장을 대표하는 주요 지수이지만 여려면에서 차이가 있습니다.나스닥 지수구성기준: 나스닥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모든 보통주를 대상으로 합니다. 약 5,000개 이상의 종목이 포함되어 있어 미국 기술주 전반의 동향을 가장 잘 나타내는 지수로 평가받습니다.시가총액 가중 방식을 사용하여 계산합니다. 즉, 시가총액이 큰 기업일수록 지수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큽니다.나스닥 종합지수 중에서 금융업을 제외한 시가총액 상위 100개 비금융 기업으로 구성된 지수는 주로 기술주, 소프트웨어, 통신, 바이오화학 등 혁신적인 산업 분야의 기업들이 많이 포함되어 있습니다.주요 기업 예시: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구글, 테슬라, 엔비디아, 메타 등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구성기준: 뉴욕증권거래소와 나스닥에 상장된 기업 중 미국 경제의 주요 산업 분야를 대표하는 30개의 초대형 우량기업(블루칩 기업)으로 구성됩니다. 이 30개 기업은 다우존스 지수 위원회의 판단에 따라 선정되며, 시대의 변화를 반영하여 종목이 교체되기도 합니다.주가 평균방식을 사용하여 계산합니다. 즉, 30개 기업의 주가를 단순히 합산하여 특정 제수를 나눈 값으로 주가가 높은 기업일수록 지수에 미치는 영향이 큽니다. 시가총액과는 관계없습니다.1896년에 처음 발표된 가장 오래된 주가지수 중 하나로 과거에는 주로 제조업 기업들이 많았으나 현재는 서비스, IT 등 다양한 산업의 대표 기업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주요 기업 예시: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보잉, 코카콜라, 맥도날드, 월마트 등(애플과 마이크로스프트는 시가총액이 워낙 커서 나스닥과 다우지수 모두에 포함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