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김채원 전문가
연세대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생물·생명
약 2개월 전 작성 됨
Q.
요즘 모기들이 잘 보이지가 않던데.. 더위 때문에 그런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모기는 너무 더운 지금같은때에 활동성이 줄어들어서 개체수가 많이 급감합니다.이 모기를 먹는 생태계또한 모기개체수감소로인해 함께 감소를하거나다른 대체 곤충들의 개체수가 감소하는 영향이 있을 수 있습니다.
생물·생명
약 2개월 전 작성 됨
Q.
인간의 자발적 가축화의 진행이 진화에 미친 영향은 무엇이라 볼 수 있는가?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자기가축화는 사회성을 높이고 인지발달을 높여 인간의 협력중심문화를 만들어냈습니다.스스로 생물학적 변화를 만들어내고 공격성을 줄이면서 사회성을 늘려나간 현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생물·생명
약 2개월 전 작성 됨
Q.
침대 보에 뭔가 쪼그만 벌레가 가끔 보이는데 이거 퇴치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사진속벌레는 카펫 딱정벌레유충일 수 있습니다.집먼지나 섬유 동물성조직들을 먹으면서 서식하는데, 방치하면 피해가 누정될수있습니다.보통 고온스팀이나 진공청소기로 청소하고 세탁이가능하면 60도이상 온수로 세탁을하면 좋습니다.
생물·생명
약 2개월 전 작성 됨
Q.
완보동물이라고도 하는 물곰은 육안으로도 관찰이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물곰은 0.1~0.5mm 정도라서 육안으로는 거의 보이지않고 현미경으로 관찰이 필요합니다.다만 일부 큰 종은 1.2mm까지 자라서 희미하게 점 형태로 보일수는 있지만 세부관찰은 불가능하다고 보는것이 좋겠습니다.
생물·생명
약 2개월 전 작성 됨
Q.
신내림을 받게 되는것, 정말 가능한일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신내림은 과학적으로는 문화적해석을 동반한 정신질환 증상으로 설명될 수 있습니다.주로 분열증이나 스펙트럼이나 해리성장애와 연관된다고합니다.심리적인 갈등이 신앙체계내에서 신병으로 표현되고, 사회적인 승인과 해석이 증상완화로 이어지는 문화적인 치료효과도 볼 수 있다고합니다.
생물·생명
약 2개월 전 작성 됨
Q.
고대 생물들의 크기는 왜 지금보다 훨씬 컸나요?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고대에는 대기중 산소농도가 높아서 생물의 대사 효율이 좋았고, 포식자 압력이 낮아서 큰 체형이 생존에 유리했다고합니다. 또한 기후가 안정적이고 광범위한 서식지가 존재해서 대형 생물이 진화하기 좋은 환경이었습니다.
생물·생명
약 2개월 전 작성 됨
Q.
러브버그는 올해 어떤 이유로 이렇게 확산된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올해 러브버그 급증현상은 따듯한겨울과 높은 봄의 강수량으로인해서 유충 생존률이 높아졌기때문입니다. 유기물이 많은 토양과 도심조명, 배기가스 등 인위적인 환경도 성충유인 밀집을 부추겨 내년 확산가능성도 높이게됩니다.
생물·생명
약 2개월 전 작성 됨
Q.
날씨가 덥고 습하면 힘이 빠지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더운날씨와 높은습도는 땀 증발을막아서 체온조절이 어려워지고, 그로인해서 심부체온상긍과 탈수로 피로감과 무기력이 심해질 수 있습니다. 그리고 체내 전해질 불균현이 근육기능을 떨어뜨려서 팔다리에 힘이 빠지는 느낌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생물·생명
약 2개월 전 작성 됨
Q.
기후변화로 대한민국 기준으로 사라지는 동식물과 새롭게 출현한 동식물은 몇종 정도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환경부 자료 기준, 최근 수십년간 기후변화로인해서 국내 자생종 약 100여종 이상이 위기종으로 전환되고, 일부는 국지적 절멸상태로 본다고합니다. 반면 열대, 아열대성 외래종 포함해서 100~200종이상이 새롭게 출현해서 생태계교란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생물·생명
약 2개월 전 작성 됨
Q.
해양쓰레기가 많이 발생하는 원인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해양쓰레기의 주 원인은 육지에서 유출된 쓰레기와 어업해운중 발생한 관리 미흡한폐기물 유입입니다.제도는 존재하지만 분리배출이 준비되어있지 않거나 불법투기, 처리인프라부족등이 실효성을 떨어뜨리는 주요 원인입니다.
11
12
13
14
1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