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업비트와 빗썸에서 시행한다는 공매도시스템이 어떤 구조인가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2025년 현재, 업비트를 포함한 국내 암호화폐 거래소에서는 주식시장의 전통적 공매도(Short Selling)와는 다소 다른 방식으로 레버리지와 숏 포지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가령, 업비트의 실제 공매도(숏) 서비스를 요약하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직접적인 공매도(Short Selling) 기능 없음 > 업비트는 주식 시장처럼 실제로 "없는 코인을 빌려 파는" 형태의 공매도 시스템을 공식적으로 지원하지 않습니다. 즉, 거래소 내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주문 방식은 매수(롱)와 매도(보유 자산 내 판매) 기능에 한정되며, 이용자가 보유하지 않은 코인을 먼저 팔 수는 없습니다.레버리지 기반 파생상품 및 숏 포지션 > 지만, 업비트를 비롯해 일부 국내외 거래소는 2024~2025년 사이에 자체 파생상품(예: 선물, 무기한 계약 등) 또는 ETF 상품을 통해 레버리지(롱/숏) 포지션 거래 환경을 제공하기 시작했습니다. 이 경우, 이용자가 간접적으로 가격 하락에 베팅하는 숏 포지션(Short Position)을 취할 수 있습니다.이상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Q. 외환 보유액이 대략 어느정도 있어야 평균인가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적정 외환보유액 규모는 아래 사항을 고려하면 좋을 듯합니다. 수입 커버리지 기준: 보유 외환은 최소 3개월치 수입 결제 규모를 커버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 전통적 규칙입니다.단기외채 상환 능력(그린스펀-가이도티 룰): '외환보유액은 단기외채(만기 1년 이하) 총액의 100% 이상'이어야 sudden stop(외화유출 급증) 상황에도 버틸 수 있습니다.국내총생산(GDP) 대비 비율: 신흥국 기준으로 외환보유액이 GDP의 10% 안팎일 때 적당하다고 보는 연구도 있습니다.복합지표 활용: 최근에는 수입, 단기외채, 외국인 투자자본 유출 등을 동시에 고려한 복합지표 활용이 늘고 있습니다.나라마다 외환위험, 경제 개방도, 환율제도 등에 따라 적정 수준이 달라집니다.이상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