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워렌버핏 자산은 얼마인가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워런버핏은 딱히 알려진 바대로 항상 글로벌 10대 부호에 포함되는 데 워크셔헤서웨이 펀드의 대주주입니다. 그의 최근 재산은 1,110억 달러로 현황 약134조원 내외빕니다. 그는 어릴 때부터 투자에 대한 감각을 유지하며 다양한 투자 활동을 했습니다만 그의 재산 99%가 50대 이후 형성 되었다고 합니다. 참고로 워런버핏은 세계 7위권 부자이며 1위는 일론 머스크, 2위 제프 베이조스, 3위 베르나르 아르노(루이비통을 가진 LVMH 대주주), 4위 빌 게이츠, 5위 & 6위 래리 페이지 & 세르게이 그린(이상 구글)이며 이어서 워런버핏빕니다. 이상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Q. 사인간 채무란 무엇인가요? 또한, 금융채무와의 차이점은?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사인간 채무는 등록 금융 기관이 아닌 지인이나 친지에게 빌린 채무를 의미합니다. 물론 사인간 채무 약정 시에도 계약서나 차용증을 주고 받으며 민간 금융 채권채무로 취급되어 공소 시효도 10년에 이릅니다. 금융채권과의 차이는 앞서 말씀 드린 자금 출처에 있어서 차이가 있고 개인간 약정에 의해 채결된 사인간 채무와 달리 이자율, 만기, 채무불이행 시 처리 규정 등에 있어 차이가 있습니다. 당연히 금융실명제 하에 사인간 채무는 일반 채무로서 금융 시스템에 잡히지 않습니다. 이상 간략히 말씀 드립니다.
Q. 기축통화와 플라자합의에 대해 궁금한 점 있어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말씀 하신 대로 미달러는 브레튼우즈 체제 이후 기축 통화가 되었습니다. 기축 통화는 막대한 통화 공급량에 비해 타통화 대비 상대적으로 높은 가치를 유지하는 특성이 있습니다. 1985년 플라자합의에 의한 엔화와 마르크화의 약7% 평가절상(=가치상승, 환율 하락)은 1980년초 출범한 레이건 행정부의 쌍둥이 적자 해소를 위해 양국에 압력을 넣은 결과입니다. 미달러화가 기축통화로 상당한 유통량을 보였으나 플라자합의 이전까지만 해도 미국의 수출 경쟁력은 일본과 독일에 비해 열악했고 이를 타개 하기 위해 엔화, 마르크화를 대비 큰 폭의 평가절하를 이끌었습니다. 용어 관련해서 환율은 상대적인 비교 수치입니다. 미달러당 엔화, 원화, 유로화 등으로 표현하고 당연히 반대로 표현할 수도 있습니다. 가령, 1달러당 1,100원하던 환율이 최근 1,200원대로 상승했습니다. 이는 원화가 달러 대비 평가절하 되었고 환율은 상승(1,100 > 1,200)한 것입니다. 이상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