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문신제거 시술시 딱지에 잉크염료가 섞여서같이나오는데 잉크가 진피깊은층에있으면 레이저시술후 상처가아물때 딱지에 잉크입자가 잘안섞여나오나요?
안녕하세요. 박성민 의사입니다. 문신 제거 과정에서는 피부에 남아 있는 잉크 입자를 없애기 위해 레이저 시술이 많이 사용돼요. 레이저는 주로 잉크 입자를 작은 입자로 부수면서 피부의 방어 체계가 자연스럽게 이를 제거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잉크가 피부의 깊은 층에 위치하게 되면, 여러 번의 시술이 필요할 수 있어요. 첫 시술 후에는 잉크가 딱지와 함께 나오는 경우가 많지만, 잉크가 깊숙이 자리 잡고 있을수록, 즉 문신이 희미해질수록 딱지에 잉크 입자가 덜 섞여 나올 수도 있어요. 이는 피부의 치유 과정과 연관이 있으며, 몸이 자연적으로 외부 물질을 처리하는 데 시간이 걸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시술 후에는 피부를 깨끗이 유지하고 필요한 경우 추가 시술을 통해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아요.
Q. 귀를 파면 귀지가 가루형태가 아닌 약간 껌처럼 뭉쳐져서 나오는데 귀에 문제가 있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박성민 의사예요. 귀지가 가루 대신 껌처럼 나오면 당황스러울 수 있어요. 사실 귀지는 개인에 따라 그 형태와 양이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답니다. 귀지는 보통 습한 타입과 건조한 타입으로 나눌 수 있는데, 질문자분처럼 뭉쳐져 나오는 습한 귀지는 지극히 정상일 수 있어요. 귀지는 외부의 이물질과 균으로부터 귀를 보호하고, 자연적으로 떨어져 나오기도 해요. 하지만 귀지가 평소와 달리 심하게 변하거나 불편함을 느끼신다면 병원에 가서 한번 확인해보는 게 좋아요. 특히 귀에 가려움증, 통증, 청력 변화가 있다면 더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해요. 평소에 귀 청소를 너무 자주 하거나 깊게 하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도 건강한 귀를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Q. 버간점안겔 눈 주위에 발라도 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박성민 의사입니다. 버간점안겔은 주로 눈에 직접 사용하는 약제로, 눈 표면의 감염을 막거나 치료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하지만 대상포진으로 인해 눈주위에 발진과 수포가 생긴 경우, 약사가 안내한 대로 면봉을 이용하여 눈주위에 부드럽게 발라 주셔도 됩니다. 특히 면봉을 사용하면 세균 감염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되고, 직접 손으로 바르는 것보다 더 위생적이에요. 그러나 눈 안쪽이 아니라 눈 주변 피부에만 바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만약 바른 후에 자극이나 통증이 발생하면 즉시 사용을 중지하고 병원에 다시 방문하여 의사와 상의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약 사용 시 주의사항이나 부작용에 대해 추가로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지 병원이나 약사와 상담해 주세요. 빠른 회복을 바랄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