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자유무역과 보호무역은 뭐가 다른가요?
안녕하세요. 박재민 관세사입니다.보호무역주의란 국가끼리 무역을 하면서 한 나라에 불리한 점이 생기면 자국의 경제 또는 산업을 보호하는 것입니다. 트럼프 정부 시절을 시작으로 보호무역주의가 강화되고 있으며 코로나 펜데믹,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인하여 원자재 인플레이션이 일어나고 공급망이 중요한 시점에서 점점 전 세계적으로 자유 무역을 지양하고 있는 형국이긴 합니다. 또한 중국의 고속 성장을 견제하기 위하여 미국은 계속적으로 보호무역주의를 취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미국은 중국 등 주요 무역 상대국에 대해 고율의 관세 조치를 취하고 있으며, 특히 미-중 관계에서는 관세 전쟁이라 불릴 만큼 높은 수준의 대규모 관세 부과한 적이 있고, 우리나라 철강에 대해서도 고액의 반덤핑 관세를 부과한 일례도 있습니다. 또한 미국의 IRA법, 유럽의 CRMA법 등 원소재의 공급망 확보를 위한 원소재 자국내 생산성 강화 등 보호무역 정책도 계속적으로 검토 및 시행되고 있습니다.반대로 자유무역주의란 국가 귄력에 의한 보호, 통제, 제한, 금지 등의 간섭이 없는 자유로운 무역을 의미하며 국내 산업의 생산성 향상과 기초개발에 자극을 주고, 품질이 좋은 상품을 손쉽게 확보하게 하여 물가를 안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자유무역주의의 대표적인 예시는 국가간 FTA(자유무역협정)이 있으며 협정 체결국간 수입되는 물품에 대하서 관세 장벽을 철폐하는 낮은 특혜세율이 적용됩니다.답변 내용이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겠습니다.'추천'과 '좋아요'를 눌러주시면 많은 힘이 됩니다.감사합니다.
Q. 수출입 관세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어떤식으로 계산이 되나요?
안녕하세요. 박재민 관세사입니다.맞습니다. 수입하려는 물품에는 예외적인 경우도 있지만 기본적으로 모두 관세가 부과됩니다. 관세는 물품에 대하여 부과되는 세금이기 때문입니다.관세는 물품마다 부여되는 품목번호 즉, HS코드에 따라 관세율이 정해져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수입하는 모든 물품의 종류, 특징, 용도 등에 따라 10자리 HS코드가 있으며 해당 코드별 관세율이 정해져 있습니다.또한 정해진 관세율에 따른 관세의 계산 방식은 종가세 또는 종량세 기준으로 부과됩니다. 기본적으로 가격 기준으로 정해진 관세율에 따라 부과되며 영화용 필름 등 예외적인 품목은 일정 수량 등에 따라 부과 됩니다.답변 내용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추천' 및 '좋아요'는 저에게 큰 힘이 됩니다.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