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우리나라가 세계 각국 상대로 수.출입을 하는데..
안녕하세요. 박재성 관세사입니다.올해 기준으로 10대 흑자 국가 순위는 베트남, 미국, 홍콩, 싱가포르, 인도, 필리핀, 폴란드, 튀르키예, 헝가리, 멕시코 순입니다.반면 10대 적자 국가 순위는 사우디아라비아, 호주, 일본, 카타르, 독일, 쿠웨이트, 아랍에미리트 연합, 러시아, 이라크, 칠레 순입니다.적자 국가에 중동 국가가 많은 것은 우리나라가 에너지(석유, 천연가스 등)를 수입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기 때문입니다.이러한 우리나라의 국가별 무역수지 흑자/적자국가 내역은 관세청 유니패스 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합니다.링크 첨부드리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https://unipass.customs.go.kr/ets/index.do?menuId=ETS_MNU_00000177감사합니다.
Q. 저희 회사는 매출의 절반 정도를 수출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재성 관세사입니다.일반적으로 완제품의 관세율이 원료, 부품, 제품 보다 낮은 편입니다. (예: 자동차)그렇기 때문에 낮은 관세를 적용받기 위해 완제품 형태로 수출하는 대신 부품 단위로 분해하여 수출하기도 하는데, 이를 KD 방식이라고 합니다.KD 는 Knockdown의 약자로 기계 및 자동차 등을 부품단위로 분해한 뒤 수출하여 현지 공장에서 조립, 생산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완성품을 수출하지 않고 부품 단위로 분해하는 것은 관세 부담을 줄이기 위함인데, 이는 일반적으로 완성품에 부과되는 관세보다 부품에 부과되는 관세가 낮기 때문입니다. 다만, 수입국 현지에서 조립을 할 수 있는 시설 및 설비가 반드시 필요합니다.이러한 KD 방식은 CKD, SKD, DKD 방식으로 구분되며, 각 방식에 대한 설명은 아래와 같습니다.- CKD : Complete Knockdown 의 약자로, 개별 부품 단위로 완전히 분해 한 후 수출하여 수입국 현지 공장에서 조립하는 방식으로, KD 방식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함.- SKD : Semi Knockdown의 약자로 일부는 조립된 상태로, 나머지는 개별 부품 단위로 분해하여 수출하여 수입국에서 조립하는 방식- DKD : Disassembled Knockdown의 약자로 제품을 큰 덩어리로 분해 후 수출하여 현지에서 단순 조립 과정을 거치는 방식으로, 현지에서 단순 조립만 거치면 된다는 장점 보유https://blog.naver.com/k_customs/221327066793다만, 완제품의 세율이 원료, 반제품의 세율보다 낮은 경우도 있는데 이는 국내산업을 보호하기 위하여 완제품에 높은 세율을 부과하기 때문입니다. 즉, 소재 및 부품 산업을 보호하고 육성하기 위해서 부품에 높은 관세를 부과하는 것입니다. 실제로, 우리나라의 경우UR협상과 WTO의 정보기술협정(ITA, 1997년) 등 국제협상에 따른 완제품 무세화로 인하여 철강, IT 등 일부 산업분야에서 역관세가 발생하기도 합니다.감사합니다.
Q. EU(유럽연합) 무역에 관한 질문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재성 관세사입니다.먼저, 무역규모는 한 국가의 총 수출액과 수입액을 합한 것을 말합니다.우리나라 산자부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EU 회원국 중 무역규모가 가장 큰 나라는 독일입니다. 전 세계로 봐도 중국, 미국 다음으로 독일의 무역규모가 큽니다.그 다음은 네덜란드로 전 세계로 봐도 4~5위권에 해당할 정도로 무역 대국입니다.네덜란드 다음으로는 프랑스, 이탈리아, 영국 순으로 무역규모가 큽니다.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