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무역 분야 진로 문의드립니다 관심분야 외국어 등등?
안녕하세요? 아하(Aha) 무역 분야 지식답변자 박재성 관세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질문주신 것처럼 외국어는 무역업계에 취업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입니다. 무역이란 국가와 국가 사이에 서로 필요한 물품, 자본, 기술 등을 거래하는 경제활동을 말합니다. 무역의 정의에서 볼 수 있듯이 무역은 국가와 국가 사이의 거래이기 때문에 소통의 수단으로 외국어가 필수일 수 밖에 없습니다.외국어 중에서도 영어가 가장 기본이며, 추가적으로 중국어, 일본어와 같은 제2외국어를 구사하실 수 있다면 취업에 굉장히 유리하다고 판단됩니다.그렇기 때문에 무역 회사 취업이 목표라면 외국어를 1순위로 두고 준비하시는게 좋습니다.그 다음은 '자격증'입니다. 전공자이든 비전공자이든 무역에 대한 지식과 관심을 면접관에게 어필하기 위해서는 자격증이 필요합니다.무역회사에서 가장 선호하는 무역 관련 자격증에는 '국제무역사'와 '무역영어'가 있습니다. 두 시험이 무역에 대해서 가장 광범위하게 물어보는 시험이기 때문에 물류관리사, 원산지관리사와 같은 자격증 보다 우선적으로 취득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Q. 한-영 FTA 관련(한-EU FTA 인증수출자)
안녕하세요? 아하(Aha) 무역 분야 지식답변자 박재성 관세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질문자 분과 같이 한-EU FTA 인증을 받은 품목에 대해 한-영 FTA 인증을 추가로 신청한 경우, 추가신청한 한-영 FTA 인증의 유효기간은 기존 한-EU FTA 인증 유효기간의 만료일까지로 동일합니다.다만 이는 영국의 브렉시트로 인해 한-영 FTA가 새로 발효됨에 따라 발생되는 혼란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한-영 FTA가 발효된 순간부터 한-EU FTA와 한-영 FTA는 별개의 FTA에 해당합니다.따라서 한-EU FTA 인증을 연장(갱신)한다고 해서 한-영 FTA까지 자동 연장(갱신)되는 것은 아니며, 한-영 FTA에 대해서는 별도로 인증 연장(갱신) 신청을 하셔야 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Q. 물류와 유통의 차이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무역 분야 지식답변자 박재성 관세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유통이란 ‘상품을 생산, 공급하여 판매함으로써 소유권과 화폐를 이전시키고 장소적/시간적 효용을 창출하는 행위’입니다. 여기서 소유권과 화폐를 이전시키는 역할을 담당하는 것이 ‘상류’이고, 상품의 물리적인 이동을 통해 상류를 뒤받쳐주는 활동이 ‘물류’인 것입니다. 즉 상거래(Commerce)를 담당하는 기업을 ‘유통기업’이라고 정의 내릴 수 있습니다. 유통기업의 대표적인 예로는 상품을 판매하는 이마트, 홈플러스, 롯데마트 등이 있으며 물류기업의 대표적인 예로는 물품을 이동시켜주는 CJ대한통운, 롯데글로벌로지스 등이 있습니다.참고로 유통과 물류의 차이에 대해 인천항만공사 블로그에 잘 정리된 글이 있어 링크 첨부하오니 확인하시기 바랍니다.https://incheonport.tistory.com/2987
Q. 인코텀즈 개정시기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무역 분야 지식답변자 박재성 관세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인코텀즈의 경우 1923년에 초판이 발행됐고, 그 이후에도 Incoterms는 Incoterms 1936, Incoterms 1953, Montreal Rule 1967 및 supplement 1976 보안, Incoterms 1980, Incoterms 1990, Incoterms 2000, Incoterms 2010, Incoterms 2020까지 수정을 거치며 총 8차 개정이 있었습니다.1980년 이후를 보면 인코텀즈의 경우 10년 주기로 개정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다음 개정시기는 아마도 2030년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개정시기를 임의적으로 10년으로 설정한 것은 아니기 때문에 개정시기는 예상과 다를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