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박진혁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진혁 전문가입니다.
박진혁 전문가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경제
자격증
부동산
2022년 3월 27일 작성 됨
Q.
준부동산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부동산코칭 박샘" 박진혁 공인중개사입니다.준부동산은 공업재단. 광업재단. 등기된 입목. 자동차. 선박. 비행기 등 입니다. 준부동산은 경매의 대상이 되어 경매가 가능 합니다.
부동산
2022년 3월 27일 작성 됨
Q.
살던 집이 경매로 넘어가 퇴거시 도배비용에 대해
안녕하세요. "부동산코칭 박샘" 박진혁 공인중개사입니다.살고있는 집이 경매가 들어가면 돌려받을 보증금이 없다면 그냥 이사를 나가면 됩니다. 낙찰이 되어 낙찰자와 만날 필요가 없습니다. 도배비를 물어줄 이유가 없습니다. 낙찰자가 알아서 하기 때문입니다.
부동산
2022년 3월 27일 작성 됨
Q.
취득세 절세 방법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부동산코칭 박샘" 박진혁 공인중개사입니다.취득세 절세는 특별히 없습니다. 채권 매입금액을 절약하려면 4월40일까지 소유권이전을 해야 합니다. 채권에서 절약된 금액보다 재산세가 더 크므로 잔금을 6월2일 이후로 하는것이 바람직 합니다.
부동산
2022년 3월 27일 작성 됨
Q.
임장이란 곳은 뭐하는곳인가요?? 임장에 대해 알고싶어요
안녕하세요. "부동산코칭 박샘" 박진혁 공인중개사입니다.부동산경매에서 임장 이라함은 어디서 찾는것이 아니고 경매물건에 가서 물건을 확인하고 부동산에 가서 시세와 전세나 월세를 알아보는 활동을 말합니다. 사이트에서 보는 것과는 확연히 다릅니다. 임장활동을 꼭 해야 합니다.
부동산
2022년 3월 27일 작성 됨
Q.
1주택자 상태에서 주거용 오피스텔을 구매시 다주택이 되나요?
안녕하세요. "부동산코칭 박샘" 박진혁 공인중개사입니다.오피스텔은 주택이 아니므로 취득할때는 주택수에 포함이 안됩니다. 그러나 취득후에 주거용으로 세를 놓으면 주택수에 포함이 됩니다. 원룸은 주택공시가격이 1억 이하인 경우는 취득시에 주택수에 포함이 안되지만 취득후에 주택이 됩니다.
부동산
2022년 3월 27일 작성 됨
Q.
지금 전세로 집을 살고있는데요
안녕하세요. "부동산코칭 박샘" 박진혁 공인중개사입니다.임대차 계약기간이 지났는데 보증금을 돌려주지 않으면 먼저, 내용증명을 보내세요. 그리고 정한 기간이 지나면 "임차권등기"를 하고 판결문을 받아서 경매신청을 하면 됩니다. 아마 임차권등기가 되면 바로 돌려줄 것입니다.
부동산
2022년 3월 26일 작성 됨
Q.
경매로 낙찰받은 상가의 체납 관리비 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부동산코칭 박샘" 박진혁 공인중개사입니다.미납된 관리비를 납부해야 상가를 사용할수 있을 것입니다. 그러면 납부를 해야 합니다.억울하면 소송을 해야 합니다. 공용부분은 낙찰자가 부담을 하고 전용부분만 돌려받을수 있습니다.
부동산
2022년 3월 26일 작성 됨
Q.
전세 만료 전 개인사유로 이사
안녕하세요. "부동산코칭 박샘" 박진혁 공인중개사입니다.임대차 기간 중도에 이사를 가는 경우에 어머니를 전입신고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이사갈 오피스텔에 어머니를 전입신고하고 현재 오피스텔에는 본인 주민등록을 그대로 두고 보증금을 받으면, 이사갈 집으로 전입신고를 하면서 어머니와 세대합가를 하세요.
부동산
2022년 3월 25일 작성 됨
Q.
동사무소에서 언제쯤 실 입주를 확인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부동산코칭 박샘" 박진혁 공인중개사입니다.임타인의 계약갱신요구권을 임대인이 실거주 이유로 거절을 했으니 수시로 확인해보면 됩니다. 사람이 거주하는지도 밤에 가서 확인도 해보세요. 특별히 기간을 정하지는 않습니다. 수시로 확인해 보세요
부동산
2022년 3월 25일 작성 됨
Q.
전세 계약 대항력 및 우선변제권 관련 질문
안녕하세요. "부동산코칭 박샘" 박진혁 공인중개사입니다.임타인의 전입신고가 빠르고 실제 잔금이 늦은 경우에 임차인의 대항력은 잔금일 다음날입니다. 5월16일 0시 입니다. 임대인은 소유권이 바뀌어도 임차인의 보증금을 자동승계하므로 임대인의 대항력은 의미가 없습니다. 등기부가 깨끗하다면 문제될것이 없습니다.다만, 시세에 비해 전세금이 높은 경우는 임대인이 신용줄량자이어서 보증금을 돌려주지 못하는 경우가 있을수 있습니다.
41
42
43
44
4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