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이재명 대통령 취임이후 코스피가 500포인트 정도 오르는 등 3년 9개월만의 최고가를 탈환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코스피가 크게 오른 건 국내 정치만 보고 반응한 건 아닐 수도 있습니다. 글로벌 투자 흐름이 다시 신흥국 쪽으로 돈을 돌리는 분위기도 있고, 반도체 주가가 급등한 영향도 컸습니다. 한국 경제의 강점이라면 뭐니 뭐니 해도 it랑 제조업 기반의 수출 경쟁력인데, 이게 전 세계 경기 반등과 맞물릴 때 힘을 발휘합니다. 반대로 약점은 내수 취약하고, 인구 줄고, 고령화 심화되는데 이런 구조적인 문제는 정책 한두 개로 금방 바뀌진 않는다는 겁니다. 당장은 증시가 반긴다고 해도 실물경제는 아직 체감 회복까진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Q. 전국민 소비쿠폰에 대한 전문가분들의 의견을 듣고싶습니다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그 생각이 전혀 틀린 게 아닙니다. 전국민 소비쿠폰이나 재난지원금처럼 직접 돈을 푸는 정책은 단기적으로는 소비를 자극할 수 있지만, 시점이 애매하면 물가만 자극하고 체감 경기는 더 답답해질 수도 있습니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갈리긴 하지만, 지금처럼 물가가 높거나 금리가 애매한 국면에선 무턱대고 돈 풀면 자칫 뒷감당이 더 힘들어진다는 우려도 많습니다. 단순히 돈 푸는 것보다 필요한 사람한테 정확히 가는 구조가 중요하고요, 그걸 설계 없이 진행하면 말씀하신 대로 생활이 더 팍팍해질 수 있습니다.
Q. 대만 경제 구조와 한국 경제 구조 비교 질문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대만은 한국하고 좀 다릅니다. 겉으론 tsmc 같은 초거대 기업이 눈에 띄지만, 실제 산업 뼈대는 중소기업이 훨씬 많고, 이들이 밑에서 기술 쌓고 부품 납품하면서 튼튼하게 돌아가는 구조입니다. 한국은 대기업 계열에 중소기업이 종속된 모양새가 강한 반면, 대만은 자율적이면서도 유연하게 흩어진 생태계에 가까운 편입니다. 특히 it, 전자 쪽은 중소업체들끼리 협업하면서도 기술 경쟁력 꽤 있는 데가 많고요, 정부도 일부러 대기업 키우기보단 중소기업 기반 넓히는 방향으로 산업 전략을 짰던 흐름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