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구본민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구본민 전문가입니다.

구본민 전문가
대영산전주식회사
Q.  유리기판 기술이란 무엇일까요? 무엇이기에 열광하는걸까요?
안녕하세요. 구본민 박사입니다.유리기판 기술이란 기존의 플라스틱이나 세라믹대신 유리를 소재로 한 반도체 기판입니다. 매끄러운 표면과 우수한 전기적 특성으로 고성능 반도체에 적합합니다. 장점높은 내열성 : 700도 이상의 고온에서오 안정적입니다.우수한 유전 특성 : 낮은 유전율로 고주파 신호 전송에 유리합니다. 매끄러운 표면 : 미세회로 패턴을 정밀하게 구현할 수 있습니다.단점가공의 어려움 : 유리는 깨지기 쉬워 가공이 까다롭습니다.열팽창 계수 차이 : 실리콘과 달라서 열 변형 관리가 필요합니다. 정리해 보면, 유리기판은 고성능 반도체 구현에 유리한 특성을 가지지만, 가공의 어려움 등 해결해야 할 과제도 있습니다.
Q.  스마트폰 충전 90~100% 구간에서 느려지는 이유?
안녕하세요. 구본민 박사입니다.배터리 충전 속도가 뒤로 갈수록 느려지는 이유는 배터리 보호를 위한 전압 조절 때문입니다. Constant Current 단계 - 빠른충전배터리 충전 초기(0~80%)에는 고정된 전류로 충전하여 속도가 빠름전압이 올라가지만, 일정 수준이라 안전함2.Contrant Voltage 단계-속도 감소배터리가 80%~90%이상 차면, 전압이 거의 최대치에 도달함이때 전류를 줄여서 발열과 배터리 수명 저하를 방지함이 과정에서 충전 속도가 느려짐3.Tricle 충전 - 마지막 보충99~100% 구간에서는 극 소량의 전류만 공급됨배터리가 과충전되지 않도록 조절하는 안전 장치임정리해 보면, 배터리는 발열과 수명 보호를 위해 90% 이후 전류를 점점 줄이면서 충전하기 때문에 마지막 10% 충전은 느려지는 것입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Q.  한국전력 한전이 여러개로 쪼개지게 된 배경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구본민 박사입니다.한전이 쪼개진 이유는 전력 산업 구조 개편 때문입니다. 과거에는 한전이 발전, 송전, 배전, 판매까지 독점했지만, 1990년대 말 전력 산업의 경쟁 도입을 목표로 개편이 이루어 졌습니다.1.세계적인 전력 산업개편 흐름1990년대 세계적으로 전력산업에 경쟁을 도입하는 개혁이 진행됨.한국도 IMF 외환위기 이후 공기업 개혁의 일환으로 추진됨2.발전 부문 분리(2001년)한전의 발전 부문을 6개의 발전 자회사(5개 화력 + 한국 수력원자력)로 분리송배전과 전력판매는 여전히 한전이 담당3.유사한 공기업들은 왜 안 쪼개졌나?가스, 수도, 철도 등은 물이적 망이 필요해 독점 성격이 강함전기는 발전(생산)과 송배전(운반) 분리 가능해 경쟁 도입이 쉬웠음하지만 전력 판매 경쟁까지는 도입되지 않아 한전이 여전히 독점 중,정리해 보면, 한전은 전력산업 경쟁 도입 정책에 따라 발전 부문이 분리되었고, 송배전은 독점이 유지되었습니다. 반면 다른 공기업은 자연 독점 성격이 강해 구조 개편이 덜 이루어졌습니다.
Q.  과도함수의 특성근과 제어함수의 특성근은 같은 개념인가요? 아니면 전혀 다른 개념인가요? 만약 다르다면 서로 어떻게 다른지요?
안녕하세요. 구본민 박사입니다.1.과도할수의 특성근과도응답을 결정하는 미분 방정식의 특성방정식에서 나오는 근입니다.시스템의 고유한 응답 형태(지수 감쇠, 진동 등)를 결정합니다. 일반적으로 폐루프 시스템에서 과도응답을 분석할 때 사용됩니다. 제어함수의 특성근제어 시스템의 특성방정식에서 나오는 근으로, 시스템의 안정성과 동특성을 결정합니다.개루프 및 폐루프 시스템의 전달함수 분모의 근으로 해석됩니다. 위치, 속도, 가속도 등의 응답 특성을 조정할 때 사용됩니다. 정리해 보면, 과도함수의 특성근은 시스템의 응답 특성을 나타내고, 제어함수의 특성근은 시스템의 안정성과 제어 성능을 결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Q.  전기차 배터리 기술의 최신 발전 동향과 가장 주목할 만한 차세대 배터리 기술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구본민 박사입니다.전고체 배터리 : 액체 전해질 대신 고체 전해질을 사용하여 안전성과 에너지 밀도를 높인 차세대 배터리입니다. 도요타는 2027년까지 전고체 배터리를 탑재한 전기차를 실용화할 계획입니다.리튬황 배터리 : 황을 양극재로 사용하여 에너지 밀도를 높이고 비용을 절감한 배터리 입니다. 영남 대학교 연구팀은 리튬황 배터리의 성능 향상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나트륨이온 배터리 : 리튬 대신 나트륨을 사용하여 비용을 절감하고 자원 고갈 문제를 해결하려는 배터리입니다. 현재 전고체 배터리와 함께 가장 실용화에 근접한 기술로 평가 받고 있습니다. 정리해 보면, 전고체 배터리, 리튬황 배터리, 나트륨 이온 배터리 등이 차세대 전기차 배터리 기술로 주목 받고 있으며, 특히 전고체 배터리는 실용화 가능성이 가장 높습니다.
111213141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