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사진의 이런 압정도 전류가 흐르나요?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구본민 박사입니다.압정의 재질에 따라 전류 전달 능력이 다릅니다. 일반적으로 압정은 철, 스테인리스강, 황동, 아연도금 철 등으로 만들어지며, 이 중 철과 스트레인리스강은 전기정도성이 낮고, 황동이나 구리 코팅된 압정은 전도성이 상대적으로 좋습니다. 압정으로 전류전달이 가능할까?전기가 통하는 금속(예, 철, 황동)으로 된 압정이라면 전류를 흐르게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표면이 녹슬거나 산화막이 형성되면 접촉저항이 커서 전류 전달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압정으로 스파크를 낼 수 있을 까요?고전압(수백~수천)을 걸고, 접촉을 순간적으로 떼거나 붙일 때, 전류가 충분히 크다면 스파크가 생길수 있습니다. 하지만 저전아에서는 스파크가 잘 발생하지 않습니다. 정리해 보면, 압정도 금속 재질이면 전류를 흐르게 할 수 있으며, 충분한 전압과 전류를 가하면 스파크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Q. 우리나라가 반도체를 주력산업으로 육성하기 시작한 게 언제부터인가요,
안녕하세요. 구본민 박사입니다.반도체 산업 육성은 1970낸대 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습니다. 정부의 지원 아래 삼성, 현대(현 sk하이닉스) 등이 반도체 사업에 진출했으며, 1983년 삼성전자가 64k DRAM 개발을 발표하면서 경쟁력을 갖추기 시작했습니다. 세계 시장의 강자로 자리 잡기 시작한 시기는 1990년대입니다. 특히 1992년 삼성전자가 세계 최초로 64M DRAM을 개발하면서 메모리 반도체 분야에서 글로벌 1위로 도약했습니다. 이후 D램과 낸드플래시 시장에서 강세를 유지하며 현재까지 세계 반도체 산업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정리해 보면, 한국의 반도체 산업은 1970년대 부터 육성되었고, 1990년대에 세계 시장에서 본격적인 강자로 자리 잡았습니다.
Q. CCTV는 어떤 원리로 작동을 하는것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구본민 박사입니다.CCTV는 보안과 편의성을 동시에 제공하는 중요한 장치입니다. CCTV에 대해 간략하게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CCTV 작동 원리카메라가 영상 신호를 수집하고 이를 디지털 테이터로 변환합니다. 이 데이터는 DVR(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또는 NVR(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에 저장됩니다.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실시간 영상 전송도 가능합니다. 실시간 송출 방식유선(광케이블, 랜선 ) 또는 무선(Wi-Fi)을 이용해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원격 접속 기능이 있는 경우, 스마트폰이나 PC에서 실시간 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CCTV 수명과 연속 사용일반적으로 24시간 연속 사용을 염두에 두고 설계 되지만, 발열과 부품 마모로 인해 수명이 단축 될수 있습니다. 주기적인 유지보수(렌즈청소, 발열관리, 저장장치 교체)가 중요합니다. 정리해 보면, CCTV는 영상을 수집해 디지털로 변환후 저장, 송출하며, 장시간 사용하면 발열과 부품 마모로 인해 수명이 단축 될 수 있습니다.
Q. 충전식 전자기기는 완충후 바로 어댑터를 분리하는것이 좋나요?
안녕하세요. 구본민 박사입니다.충전식 전자기기의 배터리 수명을 고려하면 완충 후 바로 분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리튬이온 배터리 특성 : 대부분의 전자기기는 리튬이온 배터리를 사용하며, 과충전을 방지하는 회로가 내장되어 있습니다. 완충 후 계속 꽂아두면 ? : 배터리가 100% 상태로 유지되면 열이 발생하고 배터리 수명이 단축 될 수 있습니다. 최적의 충전 방법 : 20~80% 범위에서 충전하고 방전하는 것이 배터리 수명에 유리합니다. 장시간 사용하지 않을 경우 50% 정도 충전된 상태로 보관하는 것이 좋습니다. 정리해 보면, 완충 후 바로 분리하는 것이 이상적이며, 배터리를 80% 수준으로 관리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Q. 현재 세계적인 반도체 공정이 아주 작아지는데 어느정도까지 작아졌나요?
안녕하세요. 구본민 박사입니다.반도체 소자의 공정 기술은 나노미터(nm)단위로 점점 작아지고 있습니다. 공정미세화 수준현재 3nm 공정이 상용화 되었으며, 2nm 공정도 개발 중입니다. 새로운 기술 필요성트랜지스터 크기가 작아지면서 기존 실리콘 기반 공정만으로는 한계에 도달해, GAA(Gate-All-Around), EUV(Extreme Untraviolet) 리소그래피 같은 새로운 기술이 도입되고 있습니다. 양자 효과 문제소자가 너무 작아지면 원하는 경로를 벗어나는 양자 터널링 현상이 발생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한 신소재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정리해 보면, 반도체 공정은 현재 3nm 수준까지 작아졌으며, 새로운 제조 기술과 소재가 필수적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